$\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의 사면과 해발고도별 가뭄 예측
Prediction of Regional Drought considering Aspect and Elevation in Jeju Island under Future Climate Change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4, 2014년, pp.649 - 660  

박종철 (공주대학교 지리정보과학연구소) ,  최광준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송성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occur with regard to aspect and elevation of Mt. Halla in Jeju Island.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edict regional drought associate with them to mitigate of impacts of drought. In this study, regional drought is predicted based on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CCIC의 고해상도 남한상세 기후변화 자료를 활용하여 제주도에서 사면과 해발고도에 따른 미래 가뭄 발생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주도에서 지역에 따른 가뭄 대처 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제주도 각 지역의 가뭄 발생 특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제주도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미래 가뭄에 대비한 수자원 정책을 수립할 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 현재는 CCIC 자료의 기간을 고려하여 2001년부터 2010년(10년)으로 설정하였으며, 미래기간은 가까운 미래에 제주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부터 2044년(30년)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기간의 가뭄을 비교하기 위하여 전체 기간에 대한 가뭄지수를 산정하고 현재와 미래의 가뭄지수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2001~2010년) 제주도의 가뭄 발생횟수, 가뭄 지속기간, 가뭄 심도에 대비해 향후 30년(2015~2044년) 제주도에서 발생할 가뭄의 변화 경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CCIC의 고해상도 남한상세 기후변화 자료를 활용하여 제주도에서 사면과 해발고도에 따른 미래 가뭄 발생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제주도에서 지역에 따른 가뭄 대처 계획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에서 지하수가 차지하는 수자원의 비중은? 제주도는 수자원의 98% 이상을 지하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과 그 영향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지역들 중 하나이다(Song과 Choi, 2012). IPCC(2007)과 Bates 등(2008)에 의하면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는 지역의 수자원은 기후변화에 특히 취약하다.
가뭄의 영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일반적인 자연재해 중에서 가뭄은 홍수에 비해 점진적이고 예측 가능하지만 발생 시에는 그 피해 범위가 광범위하다(Lee 등, 2013). 가뭄의 영향은 1차적으로 농작물 생산량 감소, 식수 및 생활용수 확보의 어려움, 저수지 고갈 등으로 나타나고 2차적으로는 농가의 자산 또는 토지의 매도 압력, 이주, 물리적 또는 심리적인 스트레스 등 사회적 영향으로 나타난다(Ribot, 1996). 따라서 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미래 가뭄을 예측하고 대처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제주도의 수자원이 기후변화에 취약한 이유는? 제주도는 수자원의 98% 이상을 지하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과 그 영향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지역들 중 하나이다(Song과 Choi, 2012). IPCC(2007)과 Bates 등(2008)에 의하면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는 지역의 수자원은 기후변화에 특히 취약하다. 일반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기상학적 가뭄은 토양 함수량을 감소시켜 농업적 가뭄으로 이어지고, 물수지를 악화시켜 수문학적 가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사회․경제적 가뭄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도에서는 수자원이 기후변화에 취약하므로 가뭄의 연쇄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적응계획의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tes, B. C., Kundzewicz, Z. W., Wu, S., Palutikof, J. P., 2008, Climate Change and Water. Technical Paper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ecretariat, Geneva, 200. 

  2. Choi, G. Y., 2011, Variability of Temperature Lapse Rate with Height and Aspect over Halla Mountain, Journal of Climate Research, 6(3), 171-186. 

  3. Choi, G. Y., 2013, Spatial Patterns of Seasonal Extreme Precipitation Events in Mt. Halla, Journal of Climate Research, 8(4), 267-280. 

  4. CCAS, 2014, http://ccas.kei.re.kr 

  5. CCIC(Climate Change Information Center), 2014, http://www.climate.go.kr. 

  6. IPCC(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ange),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uri and A. Reisinger, Eds., IPCC, Geneva, 102. 

  7. Kim, M. K., Park, J. C., Lee, S. W., 2010,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Elevated Water Storage Tank Landscape in the Western Region of J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6(6), 623-634. 

  8. Knutson, C., Hayes, M., Phillips, T., 1998, How to Reduce Drought Risk, Western Drought Coordination Council, 2-9. 

  9. Kwon, H. H., Moon, Y. I., 2005,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PDS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5(5B), 355-364. 

  10. Lee, J. H., Cho, K. J., Kim, C. J., Park, M, J., 2012,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Drought using Potential Drought Hazard Map,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10), 983-995. 

  11. Lee, J. W., Jang, Y. J., Ko, K. K., Park, J. K., 2013, Effects of Meteorological Elements in the Production of Food Crops: Focused on Regression Analysis using Panel Dat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9), 1171-1180. 

  12. McKee, T. B., Doesken, N. J.,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 scale,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January, Aneheim, CA, 179-184. 

  13.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Paper No. 45, U.S. Department of Commerce Weather Bureau, Washington, D.C. 

  14. Park, J. C., 2013, Analysis of future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Rural Research Institute, Ansan. 

  15. Ribot, J.C., 1996, Climate variability, climate change, and social vulnerability in the semi-arid tropics, Cambridge,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Song, S. H., Choi, K. J., 2012, An Appropriate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of Jeju Island with Climate Change (I),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7(2), 62-70. 

  17. Song, S. H., Yoo, S. H., Bae, S. J., 2013, Regional Drought Assess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and Relationship with Agricultural Water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5), 625-638. 

  18. Trenberth, K. E., Jones, P. D., Ambenje, P., Bojariu, R., Easterling, D., Klein Tank, A., Parker, D., Rahimzadeh, F., Renwick, J. A., Rusticucci, M., Soden, B., Zhai, P., 2007, Observations: Surface and Atmospheric Climate Change. In: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Solomon, S., Qin, D., Manning, M., Chen, Z., Marquis, M., Averyt, K. B., Tignor, M., Miller, H. L.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