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에 따른 제주도 표선 유역의 함양률 및 수위변화 예측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Groundwater Recharge and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in Pyoseon Watershed of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1 no.6, 2016년, pp.22 - 35  

신에스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본부 지하수연구실) ,  고은희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하규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본부 지하수연구실) ,  이은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구환경본부 지하수연구실) ,  이강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obal climate change could have an impact on hydrological process of a watershed and result in problems with future water supply by influencing the recharge process into the aquifer.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hange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by climate change and to predict the sustainabili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기위해서 어떠한 활동을 진행하였습니까? 국내외 유수의 연구진들은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Moon and Woo(2001)는 누적 강수량과 지하수위 변동 곡선을 이용하여 충주, 진주 광주의 지하수 함양률을 추정하였으며, Chung et al.(2010)은 SWATMODFLOW 모델을 이용하여 물수지법에 기초한 지하수 함양률을 계산하였다. 또한 Choi et al.(2011)는 지하수위 변동법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지하수 함양률을 산정하였고, Ahn et al.(2012)은 토지피복 상태와 강수량의 변화가 지하수 함양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마르코브-체인(Makob chain) 모형과 SWAT 모형을 적용하여 지하수 함양률을 분석하였다. 이렇듯 많은 연구진들에 의해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함양량 추정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지하수 함양을 무엇을 의미합니까? 지하수 함양은 대수층으로 충진되어 대수층 내 물의 저 유량을 증진시키는 물의 흐름을 의미하며, 지하수 함양량은 지속가능한 지하수 개발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Koo and Lee, 2002). 국내외 유수의 연구진들은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주도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제주도는 한반도의 남서해성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중앙에 한라산이 위치하고 있으며, 한라산을 중심으로 동서방향은 완만한 경사(약 1~4o)를 남북방향은 급한 경사(약 4~8o)를 가지고 있다(JSSP, 2013). 연구 지역인 표선유역은 제주도의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라산이 위치한 서쪽으로 해발고도 약 1,350 m로 고도가 높으며 해안쪽으로 가면서 점차 고도는 10 m 이하로 낮아진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S.R., Park, M.J., Park, G.A, and Kim, S.J, 2009, Assessing future climate change impact on hydrologic components of gyeongancheon watershed, J. Korea Water Resour. Assoc., 42(1), 33-50. 

  2. Ahn, S.S., Lee, S.I., and Oh, Y.H, 2012, Estimation of long-term groundwater recharge considering land-cover condition & rainfall condition (focusing on seogwipo), J. Korean Geo-Environ. Soc., 13(7), 39-47. 

  3. Allen, R.G. and Pruitt, W.O., 1986, Rational use of the FAO Blaney-Criddle formula, J. Irrig. Drain. Eng., 122(2), 139-155. 

  4. Blaney, H.F. and Criddle, W.D., 1966, Determining consumptive use for water developments, in Methods for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Irrigation and Drainage Specialty Conference, November 2-4, Las Vegas, Nev., Proceedings: New York,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p. 1-34. 

  5. Choi, H.M., Lee, J.Y., Ha, K.C, and Kim, G.P, 2011, The study on time series analysis of groundwater data and groundwater recharge in Jeju Island, J. Eng. Geol., 21(4), 337-348. 

  6. Chung, I.M., Kim, N.W., and Lee, J.W, 2010, Assessing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using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ling: application to Mihocheon watershed, South Korea, Hydrogeol. J., 18(5), 1253-1264. 

  7. Diersch, H.J.G, 2010, FEFLOW 6-User's Manual, WASY GmbH, Berlin. 172 p. 

  8. Eckhardt, K. and Ulbrich, U., 2003,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recharge and streamflow in a central European low mountain rage, J. Hydrol., 284(1-4), 244-252. 

  9. Goderniaux, P., Brouyere, S., Fowler, H.J, Blenkinsop, S., Therrien, R., Orban, P., and Dassargues, A., 2009, Large scale surface-subsurface hydrological model to assess climate change impacts on groundwater reserves, J. Hydrol., 373(1-2), 122-138. 

  10. Hargreaves, G.H. and Samani, Z.A., 1985,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from temperature, Appl. Eng. Agric., 1(2), 96-99. 

  11.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 p. 

  12.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3,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ter Resources Management,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364 p. 

  13. Jensen, M.E. and Haise, R.H., 1963,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from solar radiation, J. Irrig. Drain. Div., 89, 15-41. 

  14. KIGAM, 2011a, An Assessment of water Development in Jeju, Korea, 107 p. 

  15. KIGAM, 2011b, Assessment of sustainable groundwater availability and development of high value added groundwater in Jeju Island, 591 p. 

  16. Kim, B.S., Hamm, S.Y., Lee, C.M., Ok, S.I., Cha, E.J., and Ko, Y.S., 2011, Features of regional hydrogeology and groundwater distribution of volcanic rocks in Jeju Island, J. Geol. Soc. Korea, 47(3), 263-276. 

  17.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 Climate Data (1990-2015), www.kma.go.kr. (Cited 2 May 2016) 

  18. Koh, G.W., 1997,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and hydrogeologic implication of the Seoquipo formation in Cheju Island, Ph.D.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325 p. 

  19. Koo, M.H. and Lee, D.H., 2002, A numerical analysis of the water level fluctuation method for quantifying groundwater recharge, J. Geol. Soc. Korea, 38(3), 407-420. 

  20. Lee, B.J., Goo, M.H., Park, Y.S., Goh, G.W., and Park, K.H., 2006, Hydraulic diffusivity and possibility of conduit-flow of groundwater in eastern part of Jeju islnad, J. Geol. Soc. Korea, 42(3), 439-454. 

  21. Lee, M.J., Lee, J.H., Jeon, S.W., and Houng, H.J., 2010, Review of policy direction and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J. Environ. Policy, 9(2), 157-184. 

  22. Lee, J.M., Park, Y.S., Jung, Y.H., Cho, J.P., Yang, J.E., Lee, G.J., Kim, K.S., and Lim K.J., 2014, Analysis of spatiotemporal changes in groundwater recharge and baseflow using SWAT and BFlow models, J. Korean Soc. Water Environ., 30(5), 549-558. 

  23. Mair, A., Hagedorn, B., Tillery, S., El-Kadi, A., Westenbroek, S., Ha, K., and Koh, G.W., 2013,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groundwater recharge of Jeju Island, Korea, J. Hydrol., 501(25), 213-226. 

  24. MOLIT, 2011, Basic groundwater management plan of Korea (2012-2021), 156 p. 

  25. Moon, S.K. and Woo, N.C., 2001,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io using cumulative precipitation and water-level change, Korea, J. Soil Groundw. Environ., 6(1), 33-43. 

  26. Raposo, J.R., Dafonte, J., and Molinero, J., 2013, Assessing the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on groundwater recharge in Galicia-Costa, Spain, Hydrogeol. J., 21(2), 459-479. 

  27. Scibek, J. and Allen, D.M., 2006, Modeled impacts of predicted climate change on recharge and groundwater levels, Water Resour. Res., 42, W11405. 

  28. Song, S.H., Lee, G.S., An, J.G., Jeon, S.G., and Yi, M.J., 2015, Groundwater modeling for estimating water balance over pyosun watershed in Jeju Island, Korea, J. Environ. Sci. Int., 24(4), 495-504. 

  29. Thornthwaite, C.W. and Mather, J.R., 1957, Instructions and tables for computing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and the water balance: Centerton, N.J., Laboratory of Climatology, Publications Climatology, 10(3), 185-311. 

  30. Turc, L., 1961, Evaluation des besoins en eau d'irrigation, evapotranspiration potentielle, formule climatique simlifee et mise a jour (In French; original unseen): Annales Agronomiques, 12(1), 13-49. 

  31. WAMIS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2016, www.wamis.go.kr (Cited 10 May 2016) 

  32. Westenbroek, S.M., Kelson, V.A., Dripps, W.R., Hunt, R.J., Bradbury, and K.R., 2010, SWB-A Modified Thornthwaite-Mather Soil-Water-Balance Code for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U.S. Geological Survey Techniques and Methods 6-A31, Reston, 60 p. 

  33. Woo, N.C., 2013, Climate change and groundwater sustainability in Korea for next decade, J. Soil Groundw. Environ., 18(1), 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