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형성
Formation of Weak Ties in Social Medi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4, 2014년, pp.97 - 109  

박차라 (LG전자) ,  임성택 ,  차상윤 ,  이인성 (경일대학교 경영학부) ,  김진우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매개로 하여 의견이나 관점, 경험 등을 공유하고,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온라인 서비스를 소셜미디어라고 한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공유 행동과 사용자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약한 유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 연결망 이론과 불확실성 감소 이론을 기반으로 약한 유대관계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이어리 조사와 심층 인터뷰 등의 정성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근거이론 방법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셜미디어에서는 강한 유대관계 보다 약한 유대관계를 통한 공유와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유사성과 자기개방, 그리고 관련성이 소셜미디어 사용자 간 심리적 거리감을 줄이고 이는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확실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약한 유대관계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cial media is a general term for online services by which users share opinion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It supports interactions between users in sharing contents on it and weak ties among them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This exploratory study attempts to identify crucial fac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 형성의 과정을 탐색적으로 제안하고, 심리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온라인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연구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약한 유대관계 형성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디자인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실용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요인들이 불확실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회적 맥락단서로 작용하여 약한 유대관계 형성을 촉진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 또한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역할을 확인하고 약한 유대관계 형성의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약한 유대관계가 형성된 다이어리 데이터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인터뷰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 유사성과 자기개방 그리고 관련성은 약한 유대관계 형성을 저해하는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는 요인들로 작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사회적 관계를 사회 연결망 이론을 통해 정보의 공유와 참여 행동을 관찰하고 약한 유대관계가 소셜미디어 사용 상황에서 정보의 공유와 확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 형성의 과정을 탐색적으로 제안하고, 심리적 거리감을 중심으로 온라인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 형성에 대한 연구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이론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참여와 공유가 핵심인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약한 유대관계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사용자에 대한 다이어리 조사와 심층 인터뷰 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약한 유대관계의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요인과 영향 관계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역할과 약한 유대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다이어리 조사와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근거이론 방법론(GroundedtheoryApproach)에 기반하여 분석하였다[20][21].
  • 본 연구에서는 약한 유대관계가 형성되었다고 판단되는 다이어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약한 유대관계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사회 연결망 이론을 기반으로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참여와 공유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약한 유대관계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를 통해 약한 유대관계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절에서는 사회 연결망 이론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통하여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약한 유대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불확실성 감소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 4개(총 360개)였으며, 총 482장의 스크린 캡쳐 이미지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사용 맥락과 사회 연결망 이론에서의 강한 유대관계와 약한 유대관계가 어떠한 형태를 보이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분석이 실시되었다.
  • 다이어리 작성은 소셜미디어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참여나 공유가 이루어졌다라고 느껴지는 순간에 스크린 캡쳐를 하고, 그 순간의 느낌이나 생각, 그리고 캡쳐한 이유에 대해 기록하게 하였다. 이는 연구 참가자가 단방향적으로 소셜미디어를 소비하는 상황이 아닌, 다른 사용자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서였다. 또한 연구 참가자가 화면을 캡쳐하는 순간에 기록한 주석은 연구자가 캡쳐한 순간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맥락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다른 사용자들과의 새로운 유대관계 형성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당 매체 사용빈도와 일일 방문자 수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해당 소셜미디어의 사용 경험이 풍부한 사람들을 연구 참가자로 선정하였다. 이는 풍부한 사용 경험을 통해 관계 형성이 어느 정도 안정화에 접어든 상태에서 약한 유대관계 형성을 관찰하고 그 촉발 요인을 쉽게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에 대한 다이어리 조사(Diarystudy)와 심층 인터뷰(In-depth interview) 등의 정성적 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통하여 소셜미디어에서 약한 유대관계의 역할과 소셜미디어 사용자들 간에 약한 유대관계가 어떻게 형성될 수 있는지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미디어가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소셜미디어의 풍부한 상호작용성은 사용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사회적 관계들이 온라인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불특정 사용자들과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에도 도움을 주고 있다[5][6].즉 소셜미디어가 빠른 속도로 성장할 수 있는 이유는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매개로 하여 의견이나 관점, 경험 등을 원활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들 간의 새로운 사회 연결망을 형성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이다[7].
소셜미디어란 무엇인가?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매개로 하여 의견이나 관점, 경험 등을 공유하고, 사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온라인 서비스를 소셜미디어라고 한다[1].최근 Facebook이나 YouTube와 같은 소셜미디어 서비스들은 단기간에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2].
사회 연결망 이론에 의하여 구분된 유대관계의 유형으로 강한 유대관계와 약한 유대관계는 각각 무엇인가? 한편 사회 연결망 이론에서는 유대관계의 유형을 관계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 정서적 강도, 개인적 친밀도, 그리고 호혜적 행위의 정도 등을 기반으로 강한 유대관계(Strongtie)와 약한 유대관계(Weaktie)로 구분한다[8][9].즉 관계 형성의 시간이 짧고 감정의 강도나 개인적 친밀도가 약하며 호혜적 행위가 비교적 적게 나타나는 연결망은 약한 유대관계로, 그 반대의 경우는 강한 유대관계로 설명된다.Granovetter[10]는 정보 교환의 관점에서 약한 유대관계가 강한 유대관계 보다 더 큰의미가 있을 수 있음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강한 유대관계일 때 보다 약한 유대관계에 있을 때 정보 전달력이 더 높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 Lim, S. Y. Cha, C. Park, I. Lee, and J. Kim, "Getting Closer and Experiencing Together: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sychological Distancein Social Media-Enhanced Real-Time Streaming Video,"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8, No. 4, pp. 1365-1378, 2012. 

  2. 임걸, "소셜미디어 콘텐츠 분석에 따른 참여유형 및 학습촉진방안 탐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 495-509, 2011. 

  3. D. Cohen, "Facebook Revenue Up 60%, Reaches 1.19B Monthly Active Users," http://allfacebook.com/3q-2013-earnings_b126458, 2013. 

  4. R. Thackeray, B. L. Neiger, C. L. Hanson, an J. F. McKenzie, "Enhancing Promotional Strategies Within Social Marketing Programs:Use of Web 2.0 Social Media," Health Promotion Practice, Vol. 9, No. 4, pp. 338-343, 2008. 

  5. L. Garton, C. Haythornthwaite, and B. Wellman, "Studying Online Social Network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3, No. 1, 1997. 

  6. D. A. Huffaker and S. L. Calvert, "Gender, Identity, and Language Use in Teenage Blog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0, No. 2, 2005. 

  7. 정화섭, "소셜미디어 혁신저항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 158-166, 2013. 

  8. E. Gilbert and K. Karahalios "Predicting Tie Strength with Social Media,"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211-220, 2009. 

  9. 주우진, 노민정, "소비자의 가치 추구 동인이 블로그 리뷰의 신뢰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유대강도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마케팅저널, 제13권, 제4호, pp. 159-189, 2012. 

  10. M.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s:A Network Theory Revisited," Sociological Theory, Vol. 1, pp. 201-233, 1983. 

  11.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07. 

  12. 문영주, 정철호,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체험마을 이용자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 202-211, 2011. 

  13. C. Haythornthwaite, "Social Network Analysis:An Approach and Technique for the Study of Information Exchang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 18, pp. 323-342, 1996. 

  14. M. Granovetter, "The Strength of Weak Ti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78, No. 6, pp. 1360-1380, 1973. 

  15. J. B. Walther,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Impersonal, Interpersonal, and Hyperpersonal Interac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 23, No. 1, pp. 3-43, 1996. 

  16. L. Sproull and S. Kiesler, "Reducing Social Context Cues:Electronic Mail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Management Science, Vol. 32, No. 11, pp. 1492-1512, 1986. 

  17. R. D. Putnam, Making Democracy Work: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4. 

  18. C. Berger, "Uncertain Outcome Values in Predicted Relationships Uncertainty Reduction Theory Then and Now,"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13, No. 1, pp. 34-38, 1986. 

  19. R. J. Lewicki and B. B. Bunker, Developing and Maintaining Trust in Work Relationships, Sage Publications, 1996. 

  20. B. G. Glaser and A. L. Strauss,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Publishing Company, 1967. 

  21. A. C. Strauss and J. M.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2nd Edition), Sage Publications, 1990 

  22. C. Marshall and G. B. Rossman, Designing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89. 

  23. J. Brown, A. J. Broderick, and N. Lee, "Word of Mouth Communication within Online Communities:Conceptualizing the Online Social Network,"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 21, No. 3, pp. 2-20, 2007. 

  24. E. Fischer and A. R. Reuber, "Social Interaction via New Social Media:(How)canInteractions on Twitter Affect Effectual Thinking and Behavior?,"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26, No. 1, pp. 1-18, 2011. 

  25. G. J. Elliott, E. Jones, and P. Barker,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Modelling Learnability of Hypermedia Authoring Tools," Interacting with Computers, Vol. 14, No. 5, pp. 547-574, 2002. 

  26. S. Pace, "A Grounded Theory of the Flow Experiences of Web Use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 60, No. 3, pp. 327-363, 2004. 

  27. J. Joo, "Adoption of Semantic Web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Innovati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 69, No. 3, pp. 139-154, 2011. 

  28. N. Liberman, Y. Trope, and C. Wakslak, "Construal Level Theory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 17, No. 2, pp. 113-117, 2007. 

  29. F. R. Kardes, M. L. Cronley, and J. Kim, "Construal-Level Effects on Preference Stability, Preference-Behavior Correspondence, and the Suppression of Competing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 16, No. 2, pp. 135-144, 2006. 

  30. Y. Bar-Anan, N. Liberman, Y. Trope, and D. Algom, "Automatic Processing of Psychological Distance: Evidence from a Stroop Task,"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ol. 136, No. 4, pp. 610-622, 2007. 

  31. P. M. Wallace, The Psychology of the Intern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2. M. R. Parks and M. B. Adelman,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Development of Romantic Relationships:An Expansion of Uncertainty Reduction Theory,"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10, No. 1, pp. 55-79, 1983. 

  33. I. Altman and D. A. Taylor, Social Penetration: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lt, Rinehart and Winston, 1973. 

  34. M. L. Antheunis, P. M. Valkenburg, and J. Peter,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Attraction:An Experimental Test of Two Explanatory Hypothes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 10, No. 6, pp. 831-835, 2007. 

  35. D. Sperber and D. Wilson, Relevance:Communication and Cognition, Blackwell Publishing, 1996. 

  36. 임도빈, "질적 연구 방법의 내용과 적용전략:양적인 질적 연구와 질적인 질적 연구", 정부학연구, 제15권, 제1호, pp. 155-187. 

  37. A. M. Kaplan and M. Haenlein, "Users of the World, Unit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Social Media," Business Horizons, Vol. 53, No. 1, pp. 59-6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