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학생주도 모둠 탐구활동에 의한 초등 과학 수업 변화 탐색
Exploring Chang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 Using Student-Oriented Group Inquiry with Science Writing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2, 2014년, pp.147 - 158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김종영 (인천운서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를 도모하는 과학글쓰기를 이용한 학생주도적 모둠 탐구활동을 실시한 과학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활동 보고서,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담화유형을 변화의 핵심으로 보았다. 학생들의 탐구활동에서 비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과학 글쓰기 활동지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4학년 1학급 2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주도적 모둠 탐구활동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모둠 탐구활동은 2007 개정교육과정 4학년 1학기 4개 단원에서 총 1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고, 이를 모두 녹화하였다. 우선 학생 보고서를 분석하기 위해 Millar (2010)가 제시한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탐구 정합성 평가의 틀로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학생의 과학 수업 및 과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반 1개 반을 선정하여 과학수업 및 과학에 대한 인식을 사전 사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16차시 수업 중, 초기 수업과 말기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의 담화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 통해 학생의 질문과 주장 사이의 정합성은 초기보다 말기에 증가했고, 학생의 자신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이 좀 더 학생 중심 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의 유형이 더욱 교사중심보다는 학생중심에 가까워졌음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ng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 in student oriented group inquiry activities using a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mplate that enhance scaffolding of inquiry. The changes focused on students' written reports and perceptions of their learning environm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양인이란? 오늘날 과학 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학생들에게 과학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화 사회에 학생들이 잘 적응하고 대처하도록 과학적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Millar and Osborne, 1998). 소양인은 ‘다른 사람들이나 주위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과학의 개념, 과정, 기술, 그리고 가치를 사용하며 사회·경제적 발달, 과학, 기술 및 사회의 다른 측면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된다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71).
오늘날 과학 교육의 목표는 무엇을 강조하는가? 오늘날 과학 교육의 목표는 단순히 학생들에게 과학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화 사회에 학생들이 잘 적응하고 대처하도록 과학적 소양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Millar and Osborne, 1998). 소양인은 ‘다른 사람들이나 주위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 과정에서 과학의 개념, 과정, 기술, 그리고 가치를 사용하며 사회·경제적 발달, 과학, 기술 및 사회의 다른 측면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된다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71).
과학글쓰기를 이용한 학생주도적 모둠 탐구활동을 실시한 과학수업에서 나타난 변화를 탐색한 결과는? 마지막으로 16차시 수업 중, 초기 수업과 말기 수업에서의 교사와 학생 간의 담화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 통해 학생의 질문과 주장 사이의 정합성은 초기보다 말기에 증가했고, 학생의 자신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이 좀 더 학생 중심 쪽으로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담화의 유형이 더욱 교사중심보다는 학생중심에 가까워졌음을 발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ikenhead, G., 1985, Collective decision-making in the social context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69, 453-475. 

  2. Aikenhead, G., 1994, What is STS teaching?. In Solomon J., and Aikenhead G. (eds.), STS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reform. Teacher College Press, New York, NY, USA, 47-59. 

  3. Aldridge, J.M., Fraser, B.J., and Taylor, P.C., 2000,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in a cross-national study in Taiwan and Australi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 37-55. 

  4. Carlsen, W.S., 1992, Closing down the conversation: Discouraging student talk on unfamiliar science content.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27, 1-9. 

  5. Cazden, C.B., 1988, Classroom discourse: The language of teaching and learning. Heineman, Portsmouth, NH, USA, 53-79. 

  6. Costa, A.L. and Lowery, L.F., 1989, Techniques for teaching thinking. Midwest Publications, Pacific Grove, CA, USA, 105 p. 

  7. Driver, R., 1989,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 school classrooms. In Millar, R. (ed.), Doing science: Images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outledge, London, UK, 83-106. 

  8. Driver, R., Asoko, H., Leach, J., Mortimer, D., and Scott, J., 1994, Constructing scientific knowledg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Researcher, 23, 5-12. 

  9. Driver, R., Newton, P., and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 287-312. 

  10. Eger, M., 2006, Science, understanding, and justice: The philosophical essays of Martin Eger. In Shimony, A. (ed.), Carus Publishing Company, Chicago, Il, USA,. 538 p. 

  11. Ellis, K., 1993, Teacher questioning behavior and student learning: What research says to teachers. The Western States Communication Association for the 64's, Albuquerque, NM, USA, 31 p. 

  12. Fulwiler, B.R., 2007, Writing in science-how to scaffold instruction to support learning. Heineman, Portsmouth, NH, USA, 202 p. 

  13. Kelly, G., Carlsen, W., and Cunninghum, C., 1993, Science education in sociocultural context: perspectives from the sociolog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7, 207-220. 

  14. Keys, C.W., Hand, B., Prain, V., and Collins, S., 1999,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tool for learning from laboratory investigation in second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 1965-1984. 

  15. Kuhn, D., 1992, Thinking as argu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62, 155-179. 

  16. Kuhn, D., Shaw, V., and Felton, M., 1997, Effect of dyadic interaction on reason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15, 287-315. 

  17. Leach, J., 1998, Influence on teaching of student's ideas. In Wellington J.J.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Routledge, London, UK, 293 p. 

  18. Lee, G.H., Lee, S.K., Shin, M.K., Choi, C.I., Baek, D.S., Chung, G.H., Yu, M.S., Kim, S.J., Son, S.K., Choi, H.S., Lee, G.H., and Lee, J.G., 2011, Exploring epistemological features presented in texts of exhibit panels in the science museum.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124-139. (in Korean) 

  19. Lee, S.h., 2010, Analysis on the participation structure of student-centered group inquiry work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110 p. (in Korean) 

  20. Lemke, J.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orwood, NJ, USA, 269 p. 

  21. Meichtry, Y.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from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389-407. 

  22. Millar, R., 2010, Analysing practical science activities. The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London, UK, 24 p. 

  23. Millar, R. and Osborne,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King's College London, School of Education, London, UK, 1998-11, 32 p. 

  24.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62 p. 

  25.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1971, NSTA position statement school science education for the 70's. The Science Teacher, 38, 46-51. 

  26. Newton, P., Driver, P., and Osborne, J., 1999, The place of argumentation in the pedagogy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553-576. 

  27. Osborne, J., Erduran, S., Simon, S., and Monk, M., 2001,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 in school science. School Science Review, 82, 63-70. 

  28. Seong, T.J., 2005, Validity and reliability. Hakjisa, Seoul, Korea, 191p. (in Korean) 

  29. Shin, M.K., 2004, Change in teacher' belief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inservice program experiences focusing on student-centerednes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53-62. (in Korean) 

  30. Shin, M.K., 2006a,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 earth science with using virtual reality (VR): An exploratory cas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 269-278. (in Korean) 

  31. Shin, M.K., 2006b, Exploring an action research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Focusing on science classroom discourse pattern analy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cience Education, 19, 233-245. (in Korean) 

  32. Stahl, R.J. (ed.), 1996,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A handbook for teacher. Addison-Wesley, Menlo Park, CA, USA, 433 p. 

  33. Wellington, J.J. (ed.), 1989, Skills and processes in science education. Routledge, London, UK, 176 p. 

  34. Wellington, J.J. (ed.), 1998,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Routledge, London, UK, 293 p. 

  35. Yerrick, R.K., Pederson, J.E., and Arnason, J., 1998, Were just spectators: A case study of science teaching, epistemology, and classroom management. Science Education, 82, 619-6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