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 강점기 관립 중등학교 특별교실에 관한 연구 -국가기록원 소장 학교건축 도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ecialized Classrooms of Governmental Secondary Schoo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ed on Architectural Drawings for Collect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4, 2014년, pp.2476 - 2483  

이정우 (배재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총독부 생산의 학교건축 도면 분석을 통해 일제 강점기 관립 중등학교 특별교실의 계획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당시 일본의 과학교육 진흥책의 영향으로 과학교과용 특별교실은 필수시설들 중의 하나로 계획되었으며 이화학교실과 박물교실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 이들 교실에는 준비실, 기계실, 표본실 같은 부속실이 설치되며 이론 강의 및 실험시연을 위한 계단교실이 별도로 설치되기도 하였다. 3) 과학 교과 특별교실은 설비 및 안전상의 이유로 다른 시설들과 이격하여 계획하는 경향이 강했다. 4) 예술교과용 특별교실 중 도화실은 남녀학교 모두 설치 빈도가 높은 편이나 음악실의 경우 여학교에서는 특별한 건축 계획적 고려 하에 만들어진데 비해 남학교에서는 설치에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5) 가사교과용 특별교실은 여학교에서는 남학교의 과학교과 특별교실만큼 비중이 있는 시설로 계획되었다. 6) 기타 교과용 특별교실로 한국인에 대한 실업교육 위주의 차별적 교육정책을 상징했던 수공실이 설립년도가 빠른 한국인 학교들에서 계획되었으며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일부 일본인 학교에 지리역사교실이 계획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은 관립 중등학교에 한정된 것이기는 하지만 특별교실이 일반화되지 않았던 당시의 교육시설 상황을 고려하면 국내 학교 건축에 특별교실이 이입되었던 초기 양상들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ized classrooms for governmental secondary schoo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y analyzing architectural drawings collect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건축을 특징짓는 또 다른 중요한 영역인 특별교실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일제 강점기 중등학교 학교건축을 보다 입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교과 특별교실은 필수 시설로 과목별 구분과 다양한 지원시설들을 통해 중요 영역으로 계획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가사실이나 음악실 계획정도에서 나타나는 남녀 학교별 차이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
  • 이상에서 국가기록원 소장의 일제 강점기 학교 건축도면을 통해 관립 중등학교 특별교실의 계획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중등학교의 특별교실을 대상으로 그 계획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별교실은 기존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지지 않기도 했지만 일제강점기 동안 초등 교육기관에는 잘 설치되지 않았던 시설로 중등교육시설을 특징지을 수 있는 영역이므로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과 특별교실에 강하게 나타난 경향은 무엇인가? 2) 이들 교실에는 준비실, 기계실, 표본실 같은 부속실이 설치되며 이론 강의 및 실험시연을 위한 계단교실이 별도로 설치되기도 하였다. 3) 과학 교과 특별교실은 설비 및 안전상의 이유로 다른 시설들과 이격하여 계획하는 경향이 강했다. 4) 예술교과용 특별교실 중 도화실은 남녀학교 모두 설치 빈도가 높은 편이나 음악실의 경우 여학교에서는 특별한 건축 계획적 고려 하에 만들어진데 비해 남학교에서는 설치에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남, 여학교에서 나타나는 예술교과용 특별교실 설치 특징의 차이는 무엇인가? 3) 과학 교과 특별교실은 설비 및 안전상의 이유로 다른 시설들과 이격하여 계획하는 경향이 강했다. 4) 예술교과용 특별교실 중 도화실은 남녀학교 모두 설치 빈도가 높은 편이나 음악실의 경우 여학교에서는 특별한 건축 계획적 고려 하에 만들어진데 비해 남학교에서는 설치에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5) 가사교과용 특별교실은 여학교에서는 남학교의 과학교과 특별교실만큼 비중이 있는 시설로 계획되었다.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부에서 생산한 건축도면들은 일반에 어떻게 공개되고 있는가? 2007년 이후 국가기록원은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부에서 생산한 건축도면들을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이 도면들은 시설 용도별로 분류되어 웹상에 공개되고 있으며 해제집 형태의 단행본으로도 출간되고 있다. 이를 통해 연구자들은 일차 연구자료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되어 관련 연구의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oi, Kwan-Soon, "A Historical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tudent's Heuristic Experiments in Japan", Ph.D. Thesis, Major in Secondary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5 

  2. Gwangju Jeil High School, "65 Years History of Gwangju Jeil High School", 1986 

  3. Japanese Government General, "Bulletin of Chosun Education", 1928 

  4. Joo, Sang-Hun, "Characters of Jeon-ju Governmental Middle School and Normal School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Architectural Draw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18, no4, pp26-31, 2011. 07 

  5. Joo, Sang-Hun, Jeon, Bong-Hee,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ayout Programs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Governmental Middle and High Schools of Seoul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5, pp201-212, 2009. 05 

  6. Joo, Sang-Hun, Jeon, Bong-Hee, "A Study on the Scheme of the Main Building of Governmental Middle Schools from 1911 to 1924 in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11, pp169-180, 2009. 11 

  7. Kyeongbuk High School, "70 Years History of Kyeongbuk Middle and High School", 1986 

  8. http://theme.archive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