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간 골다공증관리교육이 골밀도와 약물순응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ong term Osteoporosis Management Education on BMD Level and Medication Compliance in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1, 2014년, pp.102 - 113  

김동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배영실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대학원) ,  이상화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ng term osteoporosis management education consist of exercise, drug therapy, and nutrition 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medication compliance among postmenopausal women who have just been diagnosed with osteoporosis. Method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폐경 후 첫 골다공증을 진단받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의 약물요법,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에 대한 관리교육을 장기간 적용하여 골밀도와 약물순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첫 골다공증을 진단 받은 폐경 후 여성에게 약물요법,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을 포함하는 골다공증관리교육을 12개월 간 적용하여 골밀도와 약물순응 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첫 외래 방문 시 1차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고, 12개월 후 외래 방문 시 2차 골밀도 측정을 하였으며, 약물순응도 조사는 외래 방문 6개월째와 12개월째로 총 2회 이루어졌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골다공증관리교육이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와 약물순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반면, 골다공증 환자 교육은 아직까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고, 일회성 교육으로 그치고 있어(Choi & Lee, 2003; Yang, 2009; Jo & Lim, 2010),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리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Hager, Loprinzi, & Stone,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첫 골다공증을 진단받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의 약물요법,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에 대한 관리교육을 12개월간 적용하여 골밀도와 약물순응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 50세 이상 성인의 골다공증 유병률은 34.9%이며, 이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90%에 달한다(Minister of Health & Welfare Affairs, 2011). 특히 노인기에 발생하는 골다공증의 경우 남성 보다 폐경 여성들에게서 유병률이 현저히 높은데, 65 세 이상 여성의 61.
골다공증 치료 목적으로 처방되는 약제가 가지는 번거로움은? 약물요법의 치료제제로는 Bisphosphonate, Tibolne, 여성호르몬, Calcitonin, 부갑상선 호르몬 등이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골다공증 치료 목적으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제는 Bisphosphonate로 알려져 있다(Lim & Kim, 2009). 이러한 약제는 경구로 복용하거나 주사로 투여해야 하는데 경구복용을 해야 하는 경우 장에서 음식물과 섞이게 되면 흡수율이 1% 이하로 매우 낮아지므로 기상 하자마자 아침 식사 30분 전에 충분한 물과 복용한 후 눕지 않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Yoo, Park, & Lee, 2009). 주사제제인 경우도 정맥투여 시 발열과 통증, 신장 기능장애, 턱뼈 괴사 등이 보고된 바 있어(Kim, Oh, & Park, 2003), 주기적 복용의 불편함, 약물부작용과 함께 병원 재방문의 어려움으로 환자 스스로 약물요법을 중단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Yoo et al.
약물요법의 치료제제로는 무엇이 있나? 골다공증의 치료는 골절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골절이 없는 경우라면 일반적으로 약물요법, 운동요법과 식이요법을 통해 뼈를 튼튼하게 하고, 골절의 위험을 최소화 하는 데 목적이 있다(Lim & Kim, 2009; Yoon & Kim, 2009). 약물요법의 치료제제로는 Bisphosphonate, Tibolne, 여성호르몬, Calcitonin, 부갑상선 호르몬 등이 있으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골다공증 치료 목적으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약제는 Bisphosphonate로 알려져 있다(Lim & Kim, 2009). 이러한 약제는 경구로 복용하거나 주사로 투여해야 하는데 경구복용을 해야 하는 경우 장에서 음식물과 섞이게 되면 흡수율이 1% 이하로 매우 낮아지므로 기상 하자마자 아침 식사 30분 전에 충분한 물과 복용한 후 눕지 않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Yoo, Park, & Le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3). Exercise Prescription; A Case Study Approach to the ACSM Guidelines (3rd ed). HumanKinetics. U.S.A. 

  2. Bae, J. H. (2005). Effects of aerobic dance and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on postmenopausal women's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Korean Sport Research, 16(2), 193-202. 

  3. Choi, P. B. (2011). Long term combined exercise has effect on regional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of the elderly with osteoporosis. Journal of the Gerontological Society, 31(2), 355-369. 

  4. Choi, Y. H., & Lee, C. J. (2013). The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variables with regular walking exercise in the elderly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N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7(1), 5-15. 

  5. Choi, E. T., & Lee, S. J. (2003). The effect of postmenopausal program of osteoporosis protection exercise on the density of bone and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of middle-age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4(5), 727-734. 

  6. Hager, K. K., Loprinzi, P., & Stone, D. (2013). Implementing diabetes care guidelines in long term car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4(11), 851.27-851.215. 

  7. Im, M. Y., & Mun, Y. H. (2013). The effectivenes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7(2), 384-398. 

  8. Jee, Y. S., Yoon, K. J., Byeun, J. J., & Kim, M. K. (2003). The effects of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relating variables of elderly women with osteoporosis during taking the alendronate.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19, 1455-1466. 

  9. Jo, J. H., & Kim, D. J. (2010).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on lumbar extension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and balance ability in sexagenary women patient with low back pain. Journal of Exercise Science, 12(4), 33-43. 

  10. Kang, B. M., Kim, M. R., Yoon, B. K., Lee, B. S., Chung, H. W., Choi, H., Park, H. M., & Kim, J. G. (2007). The influence of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Science Menopause, 13(2), 131-136. 

  11. Kim, A. R., Lee, S. E., Lee, Y., M., An, J. H., & Choi, S. W. (2010). The effect of resistance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steopenia woma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9(4), 465-471. 

  12. Kim, S. H., Oh, S. D., & Park, Y. S. (2003). Relationship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to body composition.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17(2), 65-74. 

  13. Ko, Y. J., & Park, E. O. (2013). Factors related to blood pressure control in hypertensive patients in Jeju provi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7(2), 267-279. 

  14. Lee, J. K. (2013). Evaluation of medication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for elders with hypertension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3(2), 267-275. 

  15. Lee, H. J., & Kang, S. (2010). Education needs of elderly hypertensive or diabetes patients and educators fo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Journal of Agriculture Medicine Community Health, 35(2), 177-192. 

  16. Lee, Y. W., Lee, K. H., Baek, S. G., & Ko, E. M. (1999). Factors affecting compliance to normonal replacement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42(10), 2270-2274. 

  17. Lim, Y. W., & Kim, Y. S. (2009). The medical treatment of osteoporosis. Journal of Korean Hip Society, 21(3), 211-218. 

  18. Lai, P. S. M., Chua, S. S., Chew, Y. Y., & Chan, S. P. (2011). Effects of pharmaceutical care on adherence and persistence to bisphosphonates in postmenopausal osteoporotic wome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Therapeutics, 36, 557-567. 

  19. Minister of Health &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2011).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 first year of the fifth survey) (Issue No. 11-1351159-000027-10). Seoul: Author. 

  20. Moon, J. S., & Won, K. C. (2008).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Journal of Korean Medicine, 25(1), 19-30. 

  21. Park, H. M., Kim, J. Y., Chung, R. J., & Kim, J. J. (2007). The Vitamin D perception survey o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50(7), 1003-1011. 

  22. Papaioannou, A., Kennedy, C. C., Dolovich, L., Lau, E., & Adachi, J. D. (2007). Patient adherence to osteoporosis medication: problems, consequences and management strategies. Drugs & Aging, 24(1), 37-55. 

  23. Ravn, P., Weiss, S. R., Rodriguez-Portales, J. A., McClung, M. R., Wasnich, R. D., Gilchrist, N. L., Sambrook, P., Fogelman, I., Krupa, D., Yates, A. J., Daifotis, A., & Fuleihan, G. E. (2000). Alendronate in early postmenopausal women: effects on bone mass during long-term treatment and after withdrawal. Alendronate Osteoporosis Prevention Study Group.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 Metabolism, 85, 1492-1497. 

  24. Statistics Korea (2012). Statistics of Hypertension Medication Ratio: 2008-2012. Retrieved Februry 16, 2014,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5. Schousboe, J. T., Debold, R. C., Kuno, L. S., Chen, Y. T., & Abbott, T. A. (2005). Education and phone follow-up in postmenopausal women at risk for osteoporosis: effects on calcium intake, exercise frequency, and medication use. Disease Management & Health Outcomes, 13(6), 395-404. 

  26. Shu, A. D., Stedman, M. R., Polinski, J. M., Jan, S. A., Patel, M., Truppo, C., Breiner, L., Chen, Y. T., Weiss, T. W., & Solomon, D. H. (2009). Adherence to osteoporosis medications after patient and physician brief education: post hoc analysi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American Journal of Managed Care, 15(7), 417-424. 

  27. The Korean Society and the Mineral Research. (2011). The Physician's Guidlin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4th ed.). Retrieved January 10, 2014, from http://ksbmr.org/journal/index4.php 

  28. Yang, S. A. (2009). Effect of an osteoporosis prevention health education for women in an urban area.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16(2), 154-164. 

  29. Yoo, J. S., Park, J. W., & Lee, S. J. (2009). A meta analysis on the effects of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among middle-aged and older women.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e, 20(3), 285-295. 

  30. Yoon, S. H., & Kim, S. Y. (2009). Alendronate use and changes in bone mineral density. Journal of Korean Hip Society, 21(1), 22-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