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식음공간에 나타난 초가와 너와집의 전통성표현특성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ity in Restaurants & Cafes which Adopted Thatched Roof & Shingle Roofed House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3 no.2 = no.103, 2014년, pp.147 - 155  

이아영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오혜경 (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ity in restaurants & Ccfes which adapted thatched roof & shingle-roofed house. As a method of this study, a case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for exterior and interior elements(roof type, facade, floor, w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통 민가에 대한 연구는 지리학적 측면의 연구가 가장 깊게 되어 있고, 건축학적 측면의 연구는 지역 별 유형분류에 치중된 것으로 역시 지리학적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4) 그나마 실내공간 측면의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어5) 민가 공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민가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초가와 너와집의 각 공간구성요소가 현대 식음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어 있는지 현황을 분석하여 전통성 표현의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민가를 표방한 공간을 디자인할 때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초가와 너와집 을 표방한 식음공간의 한국 전통성 표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검색을 통해 12사례를 선정한 뒤 방문 조사하여 외부 및 내부 공간구성요소의 각 형태, 재료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5) 반면 민가의 대문은 댓가지나 싸릿가지를 엮어 만든 사립문이 대부분이다.
  • 17) 창은 단순한 띠살문이나 용자살, 정자살이 대부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의 조사대상 범위는 서울, 경기지역에서 식, 음료를 판매하는 공간 중 초가, 샛집, 너와집, 굴피집의 지붕형태를 가진 공간으로 한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 범위는 서울, 경기지역에서 식, 음료를 판매하는 공간 중 초가, 샛집, 너와집, 굴피집의 지붕형태를 가진 공간으로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지붕이 없이 건물 내에 부속되어 있는 많은 식음공간들은 민가인지 반가인지 그 구별이 쉽지 않기 때문이었다. 또 민가를 표방하였지만 위에 열거한 전통 지붕형식이 아닌 공간도 다수 존재하고 있었는데 이들 또한 소속이 정확치 않았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한편 각 식음공간 구성요소의 현장조 사 범위는 외부공간구성요소에서 지붕, 벽체, 기둥, 창과 문의 형태, 재료 및 외부공간구성요소에서 바닥, 벽, 천장, 가구, 조명 장식품의 형태, 재료로 그 범위를 설정하였다.
서민주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7) 초가지붕은 어떻게 만드는가? 재료는 초가지붕, 샛집지붕, 굴피지붕, 너와지붕으로 나누어진다. 서민주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7) 초가지붕은 서까래를 올린 뒤 진흙을 발라 벽체를 만들고 그 위에 볏짚 이엉을 올린다8). 이엉은 비늘이엉법<그림 1>과 사슬 이엉법<그림 2>이 있다.
전통 민가의 지붕은 무엇에 따라 분류되는가? 전통 민가의 지붕은 재료와 형태에 따라 분류된다. 재료는 초가지붕, 샛집지붕, 굴피지붕, 너와지붕으로 나누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김광언, 한국의 주거민속지, 초판, 민음사, 서울, 1988 

  2. 박명덕, 한옥, 초판, 살림출판사, 파주, 2005 

  3. 박영순 외 7인, 우리옛집이야기, 초판, 열화당, 서울, 1998 

  4. 윤원태, 전통민가의 주거생활사 연구, 초판, 민속원, 서울, 2009 

  5. 윤원태, 한국의 전통 초가, 초판, 재원, 서울, 1998 

  6. 이용한, 옛집기행, 웅진씽크빅, 초판, 서울, 2005 

  7. 조성기, 한국의 민가, 초판, 한울아카데미, 2006 

  8. 조전환, 한옥 전통에서 현대로, 주택문화사, 2008 

  9. 주남철, 한국의 전통민가, 초판, 아르케, 서울, 1999 

  10. 한옥공간연구회, 한옥의 공간문화, 초판, 교문사, 서울, 2004 

  11.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서울, 1999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www.encykorea.aks.ac.kr 

  13. 김민정, 한국 전통성 표현의 현대적 접근 방법과 공간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3 

  14. 박소연, 한국 현대 주거용 가구에 나타난 전통성 표현,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2000 

  15. 오혜경, 전통 초가의 현대적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153, 2000 

  16. 강영환, 민가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건축역사학회 창립 10주년 기념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01 

  17. 신경화, 1990년대 이후 우리나라 작품주택에 나타난 전통성의 현대적 구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2003 

  18. 전경희.남경숙, 한국 현대 실내공간에서의 전통성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4권 6호, 2005 

  19. 오혜경.이지현, 레스토랑에 나타난 실내공간과 음식관련요소의 한국성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6권 2호, 2007 

  20. 문선옥, 가구용어연구 2, 한국가구학회지 제20권 2호,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