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부 부식손상에 의하여 비대칭 전단저항 복부단면을 가진 강거더의 전단강도 및 거동평가
Shear Buckling Strength and Behaviors of Steel Plate Girder with Asymmetrical Shear Resistant Web Panel by Local Corrosion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6 no.2 = no.129, 2014년, pp.105 - 118  

이명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안진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인태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는 교량의 공용수명 증가로 노후화 교량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강교량의 경우, 가설위치에 따른 대기부식환경에 따라 구조부재에서의 국부 부식손상이 발생 될 수 있다. 특히 강거더 교량의 경우 부식손상이 복부판과 지점부 보강재에 집중적으로 발생된다. 복부판의 국부부식이 교량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므로 복부판의 국부 부식손상으로 인하여 강거더에서는 전단하중에 대하여 비대칭 복부단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강거더 비대칭 부식 복부단면의 형상비와 부식손상 정도에 따른 전단 좌굴강도 및 전단거동을 거동을 평가하였다. 또한 복부판의 부식손상 부피비와 인장영역에 대한 부식손상비를 고려하여 비대칭 국부 부식손상 단면을 가진 복부판의 전단좌굴강도 감소가 비교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the deteriorated bridge has been sharply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bridge service period in Korea. Local corrosion problem of structural member can be occurred according to atmospheric corrosion environments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steel bridges. Especially,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조해석시 초기편심을 고려하여 해석할 경우와 고려하지 않은 극한전단좌굴강도의 값의 변화는 편심의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초기편심을 고려하지 않은 극한전단좌굴강도 값과 비교하였을 때 최대 5%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극한전단좌굴강도의 경우 초기편심의 영향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식 손상이 비대칭 복부판을 가진 강거더의 극한전단좌굴강도 감소와 전단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명확한 전단좌굴하중을 해석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구조해석에는 복부판의 초기편심에 대한 영향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 기존에 수행된 연구[5]의 경우 단순히 전체체적에 대한 부식 부피만을 고려하여 평가하였으나, 전단좌굴에 저항하는 인장영역에 부식손상이 발생할 경우에도 이를 고려하여 계산해서 전단강도 변화를 평가하게 되므로 전단좌굴 후의 인장영역 내에서의 부식손상에 따른 전단강도 감소 변화를 반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단좌굴 후의 전단좌굴에 저항하는 인장력 영역에 대하여 부식손상량을 추가하여 비교 평가하고, 전체 부식부피비와 인장영역장내의 부식부피비에 대한 전단좌굴감소계수 값의 평가방법을 검토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국부 부식손상에 의하여 비대칭 전단저항 복부단면을 가진 강거더의 전단좌굴강도 및 거동평가를 위하여 실제 강교량의 복부판 형상비와 유사한 단면에 대하여 국부부식 손상에 따른 전단좌굴강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식손상에 의한 전단좌굴 강도 감소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본 해석 모델을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국부 부식된 강거더 실험체의 탄성좌굴하중과 극한전단좌굴강도 실험값[4]과 본 연구에서 수행된 해석값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식손상 높이별 전단좌굴강도 감소를 확인하기 위해서 부식손상된 복부판의 높이를 100mm, 200mm로 달리하여 해석을 진행하였고, 각 해석의 탄성좌굴하중과 극한전단좌굴강도를 비교하였다. Table 3는 부식높이(Ch) 200mm, 100mm, 부식두께(tc)를 1mm에서 5mm까지 1mm씩 달리하여 구조 해석한 탄성좌굴하중과 극한전단좌굴강도로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구조물의 복부판 형상비를 모사하기 위해서 형상비를 0.75, 1.0, 1.5로 달리하여 해석하여, 형상비 변화에 따른 전단좌굴강도 감소를 비교 검토하였다. Table 3에 형상비에 따른 탄성좌굴하중 및 극한전단좌굴강도 그리고 전단강도비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 연구에서는 부식손상에 의하여 복부판에서 나타나는 응력 분포와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단하중에 대한 복부판의 최대-최소 주응력 변화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Fig.

가설 설정

  • 3, 항복강도 359MPa이다. 그리고 재료의 비선형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탄성-완전소성관계를 강재의 재료특성으로 가정하였다. Fig.
  • 그러나 실제 강교량에서 사용되는 강거더 복부판의 형상비는 기존의 해석적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크므로, 실제 교량에서 부식손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합리적으로 적용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검토되지 않았다. 또한 해석적 연구의 경우 복부판의 부식손상을 강거더에 대칭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복부판에서 동일한 전단저항 성능을 가지도록 가정하였다. 그러나 실제 교량에서는 복부판의 부식손상이 모두 동일하게 발생할 수 없으므로, 전단하중에 대하여 저항하게 되는 복부판의 단면을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른 전단강도 변화 역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강거더의 재료특성은 전단실험에서 실시된 재료 실험결과 값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강거더의 강종은 기존에 수행된 강거더의 전단실험[4]과 동일한 강종인 SS400으로 가정하였으며, 재료특성은 기존에 수행된 인장 시험 결과를 사용하였다. 구조해석에 사용된 강재의 재료 특성은 탄성계수 206GPa, 프와송비 0.
  •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구조해석 모델은 실험[4] 및 기존에 수행된 구조해석 모델[5]과 동일하게 높이(h)는 800mm이며, 복부판의 두께(tw)는 6mm로 상하부 플랜지의 두께는 16mm로 하였다. 중간보강재의 두께는 12mm 그리고 부식된 복부판은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부식단면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부식 손상된 복부판의 높이(Ch)는 하부플랜지에서 100mm 또는 200mm로, 강거더 지점부 간격은 200mm로 하였다. 복부판의 국부부식 손상정도는 복부판의 두께 감소로 표현하여 부식두께를 1mm씩 감소시켜, 잔존 복부판 두께가 1mm일 때까지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거더 교량은 어떤 손상발생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가? 노후된 강교량의 경우 강우, 염분, 온도, 습도 등과 같은 대기부식환경 작용과 지속적인 유지관리부족 등으로 국부적인 부식손상이 발생되고 있다[1],[2],[3],[4],[5]. 특히 강거더 교량의 경우 지점부의 상대습도가 높고 신축이음에서 유출되는 강우 및 동결 방지제 용액과 침전물 등에 의하여 지점부 주위 하부플랜지와 지점부 보강재 및 복부판 하부 등에서의 국부적인 부식 손상발생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1]. 이러한 부식손상이 강거더의 지점부에서 발생할 경우, 지점부에 위치한 복부판의 전단좌굴 강도와 지점부의 지압강도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노후된 강교량의 문제는? 현재 국내에는 공용수명이 30-40년 이상 되는 노후화교량 구조물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노후된 강교량의 경우 강우, 염분, 온도, 습도 등과 같은 대기부식환경 작용과 지속적인 유지관리부족 등으로 국부적인 부식손상이 발생되고 있다[1],[2],[3],[4],[5]. 특히 강거더 교량의 경우 지점부의 상대습도가 높고 신축이음에서 유출되는 강우 및 동결 방지제 용액과 침전물 등에 의하여 지점부 주위 하부플랜지와 지점부 보강재 및 복부판 하부 등에서의 국부적인 부식 손상발생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1].
강거더 교량의 지점부에서 부식손상이 발생하면 어떤 문제가 있는가? 특히 강거더 교량의 경우 지점부의 상대습도가 높고 신축이음에서 유출되는 강우 및 동결 방지제 용액과 침전물 등에 의하여 지점부 주위 하부플랜지와 지점부 보강재 및 복부판 하부 등에서의 국부적인 부식 손상발생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1]. 이러한 부식손상이 강거더의 지점부에서 발생할 경우, 지점부에 위치한 복부판의 전단좌굴 강도와 지점부의 지압강도가 감소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복부판의 전단좌굴강도를 지점부 보강재 부식에 의한 지압강도의 감소와 비교하였을 때, 전단좌굴 강도는 복부판의 두께가 얇아 부식손상에 취약하며, 전단좌굴 발생하중이 상대적으로 지압파괴하중보다 작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agai, M. and Miyashita, T. (2009) Recent topics on steel bridge engineering in Japan-design and maintenance. Proceeding of the 10th Korea-China-Japan Symposium on Steel Structures, Korea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pp.65-76. 

  2. 김인태, 장홍주, 정지영(2010) 가시설 부식 강재의 잔존 인장 내하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2권, 제5호, pp.399-409. Kim, I., Chang, H.J., and Cheung, J.Y.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sidual tensile load-carrying capacity of corroded steel plates of temporary structur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2, No.5, pp.399-409 (in Korean). 

  3. 김인태, 신창희, 정지영(2010) 부식 H형 강재의 복부좌굴강도 추정에 관한 기초적 연구, 한국강구조학회논문집, 한국강구조학회, 제22권, 제5호, pp.421-433. Kim, I.T., Shin, C.H., and Cheung, J.Y. (2010) A Fundamental Study on Evaluation of Web Crippling Strength of Corroded H-beam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KSSC, Vol.22, No.5, pp.421-433 (in Korean). 

  4. Kim, I.T., Lee, M.J., Ahn, J.H., and Kainuma, S. (2013) Experimental Evaluation of Shear Buckling Behaviors and Strength of Locally Corroded Web,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83, pp.75-89. 

  5. Ahn, J.H., Kim, I.T., Kainuma, S., and Lee, M.J. (2013) Residual Shear Strength of Steel Plate Gider Due to Web Local Corrosion,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89, pp.198-212. 

  6. Alinia, M.M., Gheitasi, A., and Shakiba, M. (2011) Post Buckling and Ultimate State of Stresses in Steel Plate Girders, Thin-Walled Structures, Vol.49, Issue.4, pp.455-464. 

  7. Hoglund, T. (1971) Simply Supported Thin Plate I Girders without Web Stiffeners Subjeted to Distributed Transverse Load, IABSCE, Colloq, Des Plate Box Girders Ultimate Strength, London. 

  8. 최취경(2002) 플랜지-웨브 두께비에 따른 플레이트거더의 전단좌굴강도,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Kyung, C.C. (2003) Shear Buckling strength of plate Girder with the Ratio of Flange to Web Thickness, Dongguk University (in Korean). 

  9. Basler, K. (1961) Strength of plate girders in shear. Transactions of ASC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New York. 

  10. AASHTO (1994)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s. 1st ed.,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Officials Washington, D.C. 

  11. AISC (2005) Seismic Provisions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Chicag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