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임펄스 측정잡음에 강인한 저가형 볼앤빔 시스템의 접촉식 볼 추적센서 개발
Contact-Type Ball Tracking Sensor Robust to Impulsive Measurement Noises for Low-cost Ball-and-beam Systems 원문보기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20 no.11, 2014년, pp.1136 - 1141  

장주영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 ,  이자승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 ,  윤한솔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 ,  나원상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oposes a new contact type ball tracking sensor to improve the control performance of a low cost ball-and-beam system. It is well-known that the impulsive measurement noise contained in ball position measurement is one of the factors which severely degrades the ball-and-beam control perf...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가형 볼 앤빔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접촉식 볼 추적 센서를 제안한다. 볼 추적센서를 구성하고 있는 권선형 니크롬선, 접지선, 그리고 기존 시스템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임펄스 잡음 판별회로가 PCB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 볼 추적센서 및 제어루프 설계에 앞서 제작된 저가형 볼 앤빔 시스템의 동역학 방정식을 모델링 해보자. 그림 3의 볼앤빔 시스템 모델로부터 다음 관계식이 만족됨을 알 수 있다.
  • 제안한 볼 추적센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볼앤빔 시스템의 제어를 위해 고전제어 기법이 적용되었으며, 제어루프 구조는 그림 6과 같다.
  • 본 논문에서는 저가형 볼앤빔 시스템 제어성능 개선을 위해 임펄스 잡음에 강인한 접촉식 볼 추적센서의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임펄스 형태의 볼 위치 측정잡음이 주로 볼과 전도판 혹은 저항선 간의 불완전 접촉에 의해 발생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이를 사전에 검출할 수 있는 전처리 회로를 고안함으로써 볼 추적문제를 누락 측정치를 고려한 상태추정 문제로 재정의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볼앤빔 시스템은 무엇인가? 볼앤빔 시스템은 다양한 선형 및 비선형 제어기법의 교육 및 학습에 두루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불안정 시스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새로운 형태의 볼앤빔 제어시스템을 제작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1-4].
볼앤빔 시스템의 볼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볼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는 크게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된다. 접촉식 센서는 전도 특성을 갖는 금속 볼의 위치에 따라 저항 값이 달라지는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볼앤빔 시스템에 적용되는 접촉식 센서의 단점은 무엇인가? 접촉식 센서는 전도 특성을 갖는 금속 볼의 위치에 따라 저항 값이 달라지는 가변 저항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이 방식은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볼 위치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저항이 큰 소재를 이용하여 센서를 제작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5,6].. 더욱이, 볼의 운동에 따라 저항선과 볼의 접촉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볼 위치 측정치에 임펄스성 측정잡음이 나타나게 되며, 이는 볼앤빔 제어성능을 급격히 저하시키는 요인들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 Hauser, S. Sastry, and P. Kokotovic, "Nonlinear control via approximate input-output linearization : the ball and beam example," IEEE Trans. Automatic Control, pp. 392-398, 1992. 

  2. N. B. Almutaiti and M. Zribi, "On the sliding mode control of a Ball on a Beam system," Springer, 2009. 

  3. S. Sathiyavathi and K. Krishnamurthy, "PID control of ball and beam system-A real time experimentation," Journal of Scientific & Ind. Research, pp. 481-484, 2013. 

  4. Z. H. Pang, G. Zheng, and C. X. Luo, "Augmented state estimation and LQR control for a ball and beam system," IEEE Conference on Industrial Electronics and Application, pp. 1328-1332, 2011. 

  5. W. Wang, "Control of a ball and beam system," Master Thesis, Univ. of Adelaide, Australia, 2007. 

  6. J. Sheng, J. Renner, and W. S. Levine, "A ball and curved offset beam experiment," American Control Conference, pp. 402-408, 2010. 

  7. I. Hasanzade, S. M. Anvar, and N. T. Motlagh,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sual servoing control for ball and beam system,"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echatronics and its Applications, pp. 1-5, 2008. 

  8. H. K. Khalil, Nonlinear Systems, 3rd Ed, Prentice Hall Inc, 2002. 

  9. J. Y. Jang, J. S. Lee, H. S. Yoon, and W. S. Ra, "Development of a contact-type ball tracking sensor for improving control performance of a low-cost ball-and-beam system," Proc. of 2014 29th ICROS Annual Conference (ICROS 2014) (in Korean), pp. 555-556, 2014. 

  10. Y. Bar-Shalom and T. E. Fortmann, "Tracking and data association," Academic Press, pp. 97-100,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