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관한 구조모형
A Structural Model for the Practice of Life Safety Behavior in School-age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2, 2014년, pp.119 - 128  

채명옥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paths in which the primary factors of anxiety, impulsiveness, knowledge of life safety practice, attitudes towards life safety practice, interpersonal support, and self-efficacy from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influence the practice of life safety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이 요인들로 이루어진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후 그 모형이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검증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촉진하는 종합적이고 실증적인 간호중재 방안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구조모형 구축 연구로써 건강증진모형[8]을 근거로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관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후 횡단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증진모형[8]을 토대로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러한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그 모형이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증진모형[8]을 토대로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러한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이 모형이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연령과 직업의 대상자를 통해 건강증진행위는 물론, 아동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증진행위, 예방접종과 운동행위,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등의 구성요인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통합적 모형으로 널리 사용되고 검증되었던 건강증진모형[8]을 토대로,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 요인들로 이루어진 가설적 모형을 설정한 후 그 모형이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타당한지 검증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촉진하는 종합적이고 실증적인 간호중재 방안의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 참여자가 아동임을 고려하여 담임교사와 보건교사가 참여자 아동에게 설문지에 응답하는 도중에도 참여를 원치 않을 경우 언제든지 거부하거나 중단할 수 있고, 응답을 거부해도 피해를 받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을 포함해 충분한 설명을 하고 난 후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다는 서명을 받았으며, 교사가 참여자들에게 연구의 필요성과 기술방법을 설명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년 사망원인 통계결과는 어떠한가? 2011년 사망원인 통계결과를 살펴보면, 10-14세 사망원인의 1위가 사고사와 같은 사망의 외인(外因)이었고, 10-14세 아동 인구 10만명 당 사망의 외인에 의한 사망자 수는 2위인 신생물에 의한 사망률 2.5명의 2배가 넘는 5.3명에 달하였으며, 사망의 외인을 원인별로 살펴보면 고의적 자해(자살), 운수사고, 익사의 순이었다[2]. 또한, UN아동권리협약 이행 모니터링 사업결과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OECD회원국어린이인구10만명 당 안전사고 사망자 수는 한국이 8.
현대의학의 발달은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가? 현대의학의 발달은 건강의 정의를 질병이 없는 상태라는 수동적 태도에서 생활습관의 개선이나 운동을 통해 건강해지려는 노력 등의 능동적 태도로의 변화를 가져왔다. 더 나아가 어릴 때부터의 올바른 생활습관 형성이 토대가 되어 어른이 되었을 때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계기가 된다는 것을 강조하게 되면서 아동을 대상으로 한 건강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증진모형[8]을 토대로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분석할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 결과, 안전생활 실천태도, 대인관계 지지, 자기 효능감, 충동성은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충동성은 직·간접 효과와 총 효과를, 자기 효능감은 직접 효과와 총 효과를, 불안은 간접 효과와 총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본 연구에서 구축한 안전생활 실천행동 예측 모형이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되며,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안전생활 실천태도와 자기 효능감을 강화하고, 충동성을 낮출 수 있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예측모형은 학령기 아동의 안전생활 실천행동 이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Y. Development of the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3;9(2):162-172. 

  2. Statistics Korea. 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Author; 2012 [cited 2012 November 19].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 read&aSeq260046. 

  3. Kim SK, Kim Y, Lee HN. Monitoring implement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mplementation monitoring report.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Monitoring Center for Children's Rights, 2010. Report No.: 2010-95. 

  4. Lee MS, Park KO. School safety education factors predicting injury prevalence among Korean adolesc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4;21(2):147-165.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upport for children and youth [Internet]. Seoul: Author; 2012 [cited 2012 December 12].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c/sjc0109mn.jsp?PAR_MENU_ ID06&MENU_ID0609020403&page1. 

  6. Choi JS, Cho SC. Assessment of anxiety in childre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0;29(3):691-702. 

  7. Yoon SH, Kim SJ. A study on the relativeness between safety knowledge and safety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chool Health. 2012;25(1):39-50. 

  8. Pender 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Stamford, CT: Appleton & Lange Inc.; 1996. 

  9. Bae B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 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ungram Books; 2011. 

  10. Reynolds CR, Richmond BO. Factor structure and construct validity of "what I think and feel":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79;43(3):281-283.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4303_9 

  11. Barratt ES, White R. Impulsiveness and anxiety related to medical students' performance and attitudes.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1969; 44(7):604-607. 

  12. Lee HY, Kwon BA, Lee YA. The relationship of safety-accidents in school and personal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impulsivity and extraversion- introversion. Korean Journal of Security and Safety. 2002;5(1): 21-34. 

  13. Kim S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injury preven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1):20-29.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1.20 

  14. Coughlan AK, Humphrey M. Presenile stroke: Long-term outcome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Rheumatology and Rehabilitation. 1982;21 (2):115-122. 

  15. Suh MJ.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tate of adaptation of the hemiplegic patient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0;20 (1):88-117. 

  16. Kim SK, Kim Y. An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model for prim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Health. 2008;32 (4):563-574. 

  17.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2):663-671. 

  18. Bagozzi RP,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88;16(1):74-94. http://dx.doi.org/10.1007/BF02723327 

  19. Jung CY, Choe RG.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Win. 2nd ed. Seoul: Muyok Publisher; 1996. 

  20. Yu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2. 

  21. Kim SJ, Lee JE, Song MK. Effect of the safety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injury prevention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3;9(4):349-358. 

  22. Kim SJ, Lee JE, Kim KM, Park MO, Baek SS, Song MK, et al. Safety education needs and knowledge and attitude of injury preven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3;9(3):250-258. 

  23. Kwon SS. Development and effect evaluation of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005;18(2):45-61. 

  24. Kim U, Park YS, Park D. Adolescents' causal attribution of accidents and their cognitive representation safety and safety efficacy.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2001;7(2):39-63. 

  25. Russell KM, Champion VL. Health beliefs and social influence in home safety practices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Image: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96;28(1):59-64. 

  26. Kim CH, Park Y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afety accidents in the schoo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2003;4:1-20. 

  27. Hong YK, Lee KS, Song HJ, Baek MS. The effect of self focused attention, trait anxiety and self-efficacy on social phob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2;51(1):267-286. 

  28. Kim SJ, Lee JE.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accident proneness prospect in preschooler.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0; 6(3):372-386. 

  29. Lee I. The behavior analysis of home injury prevention based on the model of family health protection.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1;12(2):406-416. 

  30. Hockenberry MJ, Wilson D. Wong's essentials of pediatric nursing. 8th ed. Kim YH, Kwon BS, Nam HK, Ahn MS, Yang YO, Oh SE, et al., translator. St. Louis, MO: Mosby Elsevier;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