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 내 흡인 유형이 인공호흡기 대상자의 폐기능과 저산소혈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en or Closed Suctioning on Lung Dynamics and Hypoxemia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2, 2014년, pp.149 - 158  

이은영 (영남대학교 의료원) ,  김수현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effects of open and closed suctioning methods on lung dynamics (dynamic compliance, tidal volume, and airway resistance) and hypoxemia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over repeated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교차실험설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대상자가 시간차를 두고 두 가지 흡인법을 모두 받은 후 그 결과값을 서로 비교하였고, 통계분석을 통해 처치의 이월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는 두 흡인법 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다. 그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으나, 아마도 카테터 세척용액이 기도로 흡인되거나 카테터가 기관내관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최근에 개발된 폐쇄형 카테터의 잠금장치(Isolation valve)[28]로 인해서 공기 흐름에 대한 기도저항이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일회호흡량이 함께 감소되었을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겠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폐쇄형 흡인 카테터는 2009년도에 Vitaltec 회사에서 개발되어 기존에 사용하던 폐쇄형 흡인 카테터 보다 세척 시 안전하게 사용 되도록 보완된 것으로[28], 대부분의 중환자실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모델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개방형 또는 폐쇄형 흡인이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성인 중환자의 폐기능과 저산소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먼저,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성인 중환자에서 동적폐유순도는 개방형과 폐쇄형 기도 내 흡인 모두에서 흡인 전후 간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두 흡인방법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개방형 흡인술과 폐쇄형 흡인술이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성인 중환자의 폐기능(동적 폐유순도, 일회호흡량, 기도저항)과 저산소혈증(산소포화도,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흡인 후 폐기능의 변화, 즉 동적폐유순도, 일회호흡량, 기도저항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개방형과 폐쇄형 흡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저산소혈증, 즉 산소포화도, 심박동수에 미치는 영향은 개방형과 폐쇄형 흡인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큰 차이는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 내 흡인이란? 기관 내 흡인은 기관 내로 흡인 카테터를 삽입하여 기관 내에 축적된 분비물을 음압을 이용하여 무균적으로 제거하는 과정으로[1],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환자의 기도 개방성을 유지하고 객담 정체로 인한 저산소증과 무기폐를 예방하는 중요한 간호행위이다[2]. 그러나 기관 내 흡인은 저산소혈증과 심부정맥,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등의 부작용을 흔히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기관 내 흡인 과정에서 폐 내 공기가 함께 흡인되면 발생하는 문제점은? 그러나 기관 내 흡인은 저산소혈증과 심부정맥,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등의 부작용을 흔히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기관 내 흡인 과정에서 폐 내 공기가 함께 흡인되면서 폐포가 허탈되어 저산소혈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박동수 증가나 심부정맥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고[4], 기도가 오염될 경우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을 초래하고 기관지 분비물로 인해 병원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5].
개방형 기관 내 흡인 방법의 단점은?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는 개방형 또는 폐쇄형 방법 중 선택하여 기관 내 흡인을 시행하게 된다. 대상자로부터 인공호흡기를 분리한 후 기도를 흡인하는 개방형 방법은 폐쇄형 방법에 비해 분비물을 더 많이 제거할 수 있는 반면[6], 폐유순도, 일회호흡량 및 산소포화도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7]. 최근 실무 가이드라인에서는 이러한 개방형 흡인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하여 고농도 산소나 높은 호기말 양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폐포모집해제(derecruitment)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게는 인공호흡기를 분리하지 않는 폐쇄형 흡인을 권장하고 있지만[8], 아직 이에 대한 근거가 불충분 하고 최근 이와 상반되는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어서 추가 연구가 필요한상황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M. Concept analysis of endotracheal suctioning (E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5;35(2):292-302. 

  2. Rolls K, Smith K, Jones P, Tuipulotu M, Butcher R, Kent B, et al. Suctioning an adult with a tracheal tube. Sydney, AU: NSW Health Statewide Guidelines for Intensive Care; 2007. 

  3. Seo MS. A comparison of the open versus closed-system of suctioning in oxygen: In oxygen saturation, vital signs and nursing time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6. 

  4. Clochesy JM, Breu C, Cardin S, Whittaker AA, Rudy EB. Critical care nursing. 2nd ed.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Company; 1996. 

  5. Lee ES, Kim SH, Kim JS. Effects of a closed endotracheal suction system on oxygen saturati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d nursing effic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7):1315-1325. 

  6. Lasocki S, Lu Q, Sartorius A, Fouillat D, Remerand F, Rouby JJ. Open and closed-circuit endotracheal suctioning in acute lung injury: Efficiency and effects on gas exchange. Anesthesiology. 2006;104(1):39-47. 

  7. Heinze H, Sedemund-Adib B, Heringlake M, Gosch UW, Eichler W. Functional residual capacity changes after different endotracheal suctioning methods. Anesthesia and Analgesia. 2008;107(3):941-944. http://dx.doi.org/10.1213/ane.0b013e3181804a5d 

  8. American Association for Respiratory Care. AAR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Endotracheal suctioning of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with artificial airways 2010. Respiratory Care. 2010;55(6):758-764. 

  9. Stenqvist O, Lindgren S, Karason S, Sondergaard S, Lundin S. Warning! Suctioning. A lung model evaluation of closed suctioning systems. Acta Anaesthesiologica Scandinavica. 2001;45(2):167-172. 

  10. Cereda M, Villa F, Colombo E, Greco G, Nacoti M, Pesenti A. Closed system endotracheal suctioning maintains lung volume during volume- 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Intensive Care Medicine. 2001; 27(4):648-654. 

  11. Cho YA. Effect on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mean arterial pressure as type of endotracheal suctioning system to patients are ventilated in intensive care unit [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12. Fernandez MD, Piacentini E, Blanch L, Fernandez R. Changes in lung volume with three systems of endotracheal suctioning with and without pre-oxygenation in patients with mild-to-moderate lung failure. Intensive Care Medicine. 2004;30(12):2210-2215. http://dx.doi.org/10.1007/s00134-004-2458-3 

  13. Kim MS, Ahn YM, Park IO, Choi SJ, Yoo MY. The effects of open endotracheal suctioning (ETS) and close ETS on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in premature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3):529-539. 

  14. Almgren B, Wickerts CJ, Heinonen E, Hogman M. Side effects of endotracheal suction in pressure- and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Chest. 2004;125(3):1077-1080. 

  15. Morrow B, Futter M, Argent A. Effect of endotracheal suction on lung dynamics in mechanically-ventilated paediatric patients. The Australian Journal of Physiotherapy. 2006;52(2):121-126. 

  16. Kim DS. Clinical respiratory physiology.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1997. 

  17. Maggiore SM, Lellouche F, Pigeot J, Taille S, Deye N, Durrmeyer X, et al. Prevention of endotracheal suctioning-induced alveolar derecruitment in acute lung injury.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3;167(9):1215-1224. http://dx.doi.org/10.1164/rccm.200203-195OC 

  18. Lindgren S, Almgren B, Hogman M, Lethvall S, Houltz E, Lundin S, et al. Effectiveness and side effects of closed and open suctioning: An experimental evaluation. Intensive Care Medicine. 2004;30(8):1630- 1637. http://dx.doi.org/10.1007/s00134-003-2153-9 

  19. Campbell RS, Davis BR. Pressure-controlled versus volume-controlled ventilation: Does it matter? Respiratory Care. 2002;47(4):416-424. 

  20. Jun JH. New modes of mechanical venti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spiratory Care. 2010;7(1):43-50. 

  21. Weitl J, Bettstetter H. Indications for the use of closed endotracheal suction. Artificial respiration with high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Der Anaesthesist. 1994;43(6):359-363. 

  22. Dragerwerk AG & Co. KGaA. Evita 4 edition: Excellent performance and reliability. Lubeck, DE: Author; 2010. 

  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llivue patient monitor MP20: Patient monitoring. Amsterdam, NL: Author; 2003. 

  24. Marino PL. The ICU book. 3rd ed.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ranslator.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6. 

  25. Wellek S, Blettner M. On the proper use of the crossover design in clinical trials: Part 18 of a series on evaluation of scientific publications.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2012;109(15):276-281. http://dx.doi.org/10.3238/arztebl.2012.0276 

  26. Tabachnick BG, Fidell LS. Profile analysis of repeated measures. In: Tabachnick BG, editor.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New York, NY: Harper Collins Publishers Inc.; 1989. p. 437-505. 

  27. Seymour CW, Cross BJ, Cooke CR, Gallop RL, Fuchs BD. Physiologic impact of closed-system endotracheal suctioning in spontaneously breathing patients receiving mechanical ventilation. Respiratory Care. 2009;54(3):367-374. 

  28. Vitaltec Corporation. Vital-CathTM closed suction systems.[Internet] Taichung, Taiwan: Author 2013 [cited 2013 January 3]. Available from: http://www.vitaltec.com.tw/products.php?ProTypeAbout&ProID1. 

  29. Oh H, Seo W.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various interventions in preventing endotracheal suction-induced hypoxemia.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3;12(6):912-92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