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쇄형 흡인술이 인공호흡기 환자의 산소포화도,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및 흡인간호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Closed Endotracheal Suction System on Oxygen Saturatio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nd Nursing Efficacy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4 no.7, 2004년, pp.1315 - 1325  

이은숙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간호과학연구소) ,  김성효 (전남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김정숙 (전남대학교 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losed endotracheal suction system(CES) on oxygen saturation,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VAP), and nursing efficacy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폐쇄형 흡인술의 유용성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 폐쇄형 흡인술 프로토콜을 사용한 1주, 6개월 후 본 연구대상자들에게 직접 흡인 간호를 시행한 간호사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가 보고토록 하였다. 본 도구는 연구팀이 문헌 고찰 과 임상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개발한 것으로서 흡인관리 시 의료인의 감염과 환경오염으로부터의 안전성에 관한 내용(10문항), 흡인관리 시 편리함에 관한 내용(5문항), 흡인 관리 시 만족(5문항)에 대한 Likert 5점 척도이다.
  •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흡인 관리 술의 임상 활용을 도모하고자 폐쇄형 흡인이 산소포화도, VAP 발생 및 흡인 간호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환자와 인공호흡기를 분리하지 않고 흡인할 수 있는 폐쇄형 흡인술의 임상적 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폐쇄형 흡인이 흡인 시간 경과별 산소포화도,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및 흡인 간호 관리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2003년 6월 1일부터 11월까지 6개월 동안 G 광역시 C 대학교 병원 응급중환자실에 입원한 인공호흡기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폐쇄형 흡인(32명)과, 개방형 흡인(38명)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흡인술이 인공호흡기 환자의 산소포화도, VAP 및 흡인 간호 관리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개방형 흡인술과 비교 검토하였다. 산소포화도 변화양상은 폐쇄형 흡인과 개방형 흡인 간에 차이가 있었다(F=11.
  • 이에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환자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흡인술을 파악하고 그 임상 활용을 도모하고자 개방형 흡인술과 폐쇄형 흡인술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산소포화도,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이하 VAP라 칭함) 발생 및 흡인 간호 효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폐쇄형 흡인술을 시행 받은 실험군과 개방형 흡인술을 시 행 받은 대조군 간의 산소포화도,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 흡인 간호 효율성을 비교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lackwood, B. (1998). The practice and perception of intensive care staff using the closed suctioning system. J Adv. Nursing, 28(5), 1020-1032 

  2. Brown, S. E., Stansbury, D. W., & Merrill, E. J. (1983). Prevention of suctioning-related arterial oxygen desaturation. Chest, 83(4), 621-627 

  3. Carlon, G. C., Fox, S. J., & Ackerman, N. J. (1987). Evaluation of a closed-tracheal suction system. Critical Care Med., 15, 522-25 

  4. 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995).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emiannual Report, Am. J Infect. Control, 23, 377-385 

  5. Cereda, M., Villa, F., Colombl, E., Greco, G., Nacoti, M., & Pesenti, A. (2001). Closed system endotracheal suctioning maintains lung volume during volume-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 Intensive Care Med, 27(4), 648-654 

  6. DeHaven, B., Morgan, J., Ball, S., Kirton, O., & Shatz, D. (1998). Closed system suction catheter change q 3 day does not impact nosocomial pneumonia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in a trauma ICU. Critical Care Med., 26(1), 109 

  7. Demers, R. R. (1982). Complications of endotracheal suctioning procedures. Respiratory Care, 1, 453-457 

  8. Depew, C. L., Moseley, M. J., Clark, E. G., & Morales, C. C. (1994). Open vs closed-system endotracheal suctioning : A cost comparison. Critical Care Nurse, 14(1), 94-100 

  9. Deppe, S. A., Kelly, J. W., Thoi, L. L., Chudy, J. H., Longfield, R. N., Ducey, J. P., Truwit, C. L., & Antopol, M. R. (1990). Incidence of cololnization, nosocomial pneumonia, and mortality in critically ill patients using a Trach Care closed-suction system versus an open-suction system: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Critical Care Med, 8, 1389-1393 

  10. Grap, M. J., & Munro, C. L. (1997).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clinic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for nursing, Heart & Lung, 26(6), 419-429 

  11. Haley, R. W. (1998). Cost-benefit analysis of infection control programs. In J. V. Bennett, & P. S. Brachman (Eds.), Hospital infection (pp. 249-265). Philadelphia; Lippincott- Raven publishers 

  12. Harris, J. R., & Miller, T. H. (2000). Preventing nosocomial pneumonia, Critical Care Nurse, 20(1), 51-66 

  13. Hijazi, M. H., & Machantyre, N. R. (2000). Advances in infection control,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Seminar in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1, 245-246 

  14. Johnson, K. L., Kearney, P. A., Johnson, S. B., Niblett, J. B., MacMillan, N. L., & McClain, R. E. (1994). Closed versus open endotracheal suctioning: Cost and physiologic consequences. Critical Care Med, 22(4), 658-666 

  15. Kim, M. S., Ahn, Y. M., Park, I. O., Choi, S. J., & Yoo, M. Y. (1998). The effect of open endotracheal suctioning (ETS) and close ETS on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in premature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J Korean Academy of Nursing, 28(3), 529-539 

  16. Kim, N. C, & Kim, S. Y. (2001). Risk factor for nosocomial pneumonia in patients at NS ICU.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5(2), 239-248 

  17. Lee, E. S., Kim, S. H., Kim, J. S., Shin, E. S. (2004). Incidence of colonization, ventilator-assiciated pneumonia as related to the type of endotracheal suction system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Chonnam Medical Journal, 40(1), 47-54 

  18. McCauley, C. S., & Boller, responses to endotracheal Medicine, 16, 1165-1166 

  19. Munford, F. (1991). Use of a closed-suction catheter system on ventilated patients. Am J Inject Control, 19, 120 

  20. Noll, M. L., Hix, C. D., & Scott, G. (1990). Closed tracheal suction systems: effectiveness and nursing implications. American Association of Critical-Care Nursing, 1(2), 318-326 

  21. Oh, M. D., Oh H. S., Choe, K. W., Jeong, J. S., Pai, C H., Park, E. S., Kim, J. M., & Lee, S. J. (1999). Nosocomial pneumonia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prospective study evaluating attributable hospital stay and cost. J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4, 179-191 

  22. Schifman R. B., Howanitz, P. J. (1994). Nosocomial infection: a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Q-probe study in 512 north american institutions. Arch Pathol Lab Med, 118, 115-119 

  23. Segal-Maurer, S., Urban, C, & Rahal, J. (1996). Current perspectives on multi drug-resistant bacteria, Epidemiology and control. Infect Dis Clin North Am, 10, 939-957 

  24. Weber, D. J. (1994). Prevention of endotracheal suction induced arterial desaturation with a closed airway system catheter. Respiratory Care, 39(6), 620-627 

  25. Weitl, J., & Bettstetter, H. (1994). Indication for the use of closed endotracheal suction : Artificial respiration with high 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Anaeshtesist, 43(6), 359-363 

  26. Zeitoun, S. S., De Barros, A. L., & Diccini, S. (2003).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using a closed vs. open suction system. J Clinical Nursing, 12(4), 484-4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