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 관련 요인 및 개인-조직 가치일치 분위기의 상호작용 효과
Factors related to Nurses' Patient Identification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Climate within Nursing Uni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2, 2014년, pp.198 - 208  

김영미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  강승완 (고려대학교 경상대학) ,  김세영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was an empirical study designed to identify precursors and interaction effects related to nurses' patient identification behavior. A multilevel analysis methodology was used. Methods: A self-report survey was administered to registered nurses (RN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로, 병원 근무기간 보다는 병동 근무기간이 환자확인 행동에 더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간호사의 병동근무기간과 간호단위의 가치일치 분위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두 번째 상호작용항은 현재 간호단위에서 근무한 기간(개인 변수) 과 간호단위의 가치일치 분위기(집단 변수)를 곱하여 생성한 교차 수준(cross-level)의 상호작용항이다.
  • 본 연구에서 가치일치 분위기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변수는 간호단위의 간호사 수와 간호사의 병동 근무기간이다. 먼저, 간호단위의 가치일치 분위기의 정도에 따라서 간호단위의 간호사 수가 환자확인 수행의 정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은 실무적으로 의미가 있기 때문에 이 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상호작용항은 집단수준 변수들 간의 상호작용항으로서 간호단위의 간호사 수(집단변수)와 간호단위의 가치일치 분위기(집단변수)를 곱하여 생성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수준 분석을 활용한 횡단적 상관관계(cross-sectionalcorrelation study)연구이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소진이 직무만족을 떨어뜨리고 이직의사를 높이는 등 직무태도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23]. 본 연구는 간호조직의 관리자는 간호사의 소진을 개인차원의 이슈로만 생각해서는 안 되며, 간호단위 차원의 집단적 이슈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간호조직은 간호사 개개인의 소진을 완화시키려는 노력과 함께 간호단위의 소진분위기를 해소시킬 수 있는 조직운영 및 실제적인 지원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정확한 환자확인을 위하여 투약과 수혈 간호업무에서 표준화된 환자확인 절차를 준수하도록 질 향상 활동을 수행한 후에 간호사들의 환자확인 행동수준을 측정하고 환자확인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개인수준 변수들과 집단수준 변수들을 동시에 파악하기 위하여, 간호단위별로 가치일치 분위기, 조직몰입 분위기, 직업몰입 분위기, 소진 분위기와 같은 집단수준 변수들을 생성하여 자료 총합을 통계적으로 확인하는 절차에 충실하게 다수준분석을 수행하였다[27].
  • 본 연구는 투약과 수혈 간호업무에서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요인과 간호단위의 특성요인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간호사의 개인특성 변수로서 가치일치, 조직몰입, 직업몰입이 높을수록, 그리고 병원 근무기간과 병동 근무기간이 길수록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 수준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 간호단위의 가치일치 분위기가 가지고 있는 두 가지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가치일치 분위기는 간호사 수가 환자확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상호작용 변수로 작용하였다.
  • 따라서, 병동 근무기간이 긴 간호사들에 비해서 근무기간이 짧은 간호사들은 환자확인 수행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지만, 가치일치 분위기가 높은 간호단위일 수록 병동 근무경력이 환자확인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경력부족이 가져오는 부정적인 영향력 또한 줄어들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력이 짧은 간호사일수록 가치일치 분위기가 높은 병동에 배치시킬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간호단위의 업무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신규간호사나 순환근무 간호사는 기존에 근무하고 있는 동료 간호사들로부터 민감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수준 분석을 통하여 간호사 개인수준과 간호단위 집단수준을 동시에 고려하여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며, 특히 간호단위의 가치일치 분위기가 가지고 있는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여 간호조직의 관리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것이다.
  • 지금까지 국내외에서 환자안전을 위하여 투약과 수혈에서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이를 측정한 결과를 찾기 어려우며,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 수준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투약과 수혈간호 과정에서 간호사들이 행하는 환자확인 행동을 측정하고, 가치일치, 조직몰입, 직업몰입, 소진과 변수들을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으로 분석하여 간호사의 환자확인 행동에 대한 선행 요인을 파악하는 다수준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투약과수혈간호과정평가도구는 무엇인가? 이상과 같이 투약과 수혈업무에서 간호사의 환자확인이 매우 중요하며, 바코드 시스템을 활용하더라도 간호사의 정확한 환자확인과 체계적인 의사소통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간호사가 투약과 수혈 과정에서 성명, 등록번호,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중 2가지를 사용하여 환자확인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측정하도록 개발된 투약과수혈간호과정평가도구가있다[9].그러나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환자확인과정에서 발생할수있는 오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투약과 수혈에 앞서 간호사가 환자의 이름을 직접 부르고 환자 정보와 대조하고 확인하는 구체적인 환자확인 행동지침을 개발하고, 간호조직 차원에서 간호사들이 환자확인을 철저히 수행하도록 관리하는 노력이필요하다.
미국 국립의학원 자료에 따르면 매년 얼마의 환자가 의약품 사용과오로 상해를 입는가? 미국 국립의학원은 매년15만명의 환자가 의약품 사용과오로 상해를 입고, 투약오류로 인한 사망자가 7,000명에 이른다고 보고하였고, 영국에서도 연간 투약오류로 인한 사망자가 2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 우리나라 간호사들은 평균 1.
병원에서 표준화된 환자확인 절차가 필요한 이유는? 병원에서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다양한 점검과 확인 절차 중에서 환자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업무라 할 수 있다.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은 혼동하여 배회하거나 다른 침상에 눕기도 하며, 착각이나 청각장애로 다른 이름에도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병원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채혈, 투약, 수혈,진단검사,수술등모든치료과정에서환자확인팔찌를확인하 고, 환자의 이름을 호명하여 부르고, 환자확인 팔찌의 정보와 검사 자료 등과 대조하도록 하는 표준화된 환자확인 절차가 필요하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Renner SW, Howanitz PJ, Bachner P. Wristband identification error reporting in 712 hospitals. A 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Q-probes study of quality issues in transfusion practice. Archives of Pathology and Laboratory Medicine. 1993;117(6):573-577. 

  2. Williams DJP. Medication errors. The Journal of the Royal College of Physicians of Edinburgh. 2007;37(4):343-346. 

  3. Kim EH. A study on factor analysis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in nurses. Sorabol University Journal. 2002;21:109-126. 

  4. Benjamin DM. Reducing medication errors and increasing patient safety: Case studies in clinical pharmacology.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2003;43(7):768-783. 

  5. Son HM. Functional phases and patterns of dialogue sequence in nurse-patient conversation about med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1):52-63. 

  6. Gray A, Hart M, Dalrymple K, Davies T. Promoting safe transfusion practice: Right blood, right patient, right time.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08;17(13):812, 814-817. 

  7. Sazama K. Reports of 355 transfusion-associated deaths: 1976 through 1985. Transfusion. 1990;30(7):583-590. 

  8. Cho MS, Song MR, Jang MR. Evaluation of the bar 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and blood transfusion system in a tertiar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1):23-32.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1.23 

  9. Kim KS, Kim JA, Kwon SH, Song MS. Development of the nursing process 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tool for medication management and blood transfus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1):177-196. 

  10. Chatman JA. Improving interactional organizational research: A model of person-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989;14(3):333-349. http://dx.doi.org/10.5465/AMR.1989.4279063 

  11. Song JS, Yoo TY.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on person attitude and behavior.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05;18(2):361-384. 

  12. Meyer JP, Allen NJ, Smith CA. Commitment to organizations and occupations: Extension and test of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3;78(4):538-551. http://dx.doi.org/10.1037/0021-9010.78.4.538 

  13. Kim NH.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Seoul; 2007. 

  14. Taris TW.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objective performance? A critical review of 16 studies. Work and Stress. 2006;20(4):316-334. http://dx.doi.org/10.1080/02678370601065893 

  15. Park EK.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leadership between antecedents and burn-out and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on nursing performance [dissertation]. Busan: Inje University; 2010. 

  16. Kozlowski SWJ, Klein KJ. A multilevel approach to theory and research in organization: Contextual, temporal, and emergent processes. In: Klein KJ, Kozlowski SWJ, editors. Multilevel theory, research, and methods in organizations: Foundations, extensions, and new direction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0. p. 3-90. 

  17. Purdy N, Spence Laschinger HK, Finegan J, Kerr M, Olivera F. Effects of work environments on nurse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0;18(8):901-913. http://dx.doi.org/10.1111/j.1365-2834.2010.01172.x 

  18. Ko YK. Identification of factors related to hospital nurs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using a multilevel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2):287-297. http://dx.doi.org/10.4040/jkan.2008.38.2.287 

  19. Hoffman BJ, Bynum BH, Piccolo RF, Sutton AW. Person-organization value congruence: How transformational leaders influence work group effectivenes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11;54(4):779-796. http://dx.doi.org/10.5465/AMJ.2011.64870139 

  20. Posner BZ. Person-organization values congruence: No support for individual differences as a moderating influence. Human Relations. 1992;45(4):351-361. http://dx.doi.org/10.1177/001872679204500403 

  21. Han SS, Kim NE. Effects of nurses' perception of servant leadership on leader effectiveness, satisfaction and additional effor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der trust and value congru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1):85-94. http://dx.doi.org/10.4040/jkan.2012.42.1.85 

  22. Kang SY. Effects of creative nursing practice on hospital nurs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234-243.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234 

  23. Kalliath TJ, O'Driscoll MP, Gillespie DF, Bluedorn AC. A test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in three sample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Work and Stress. 2000;14(1):35-50. http://dx.doi.org/10.1080/026783700417212 

  24. Raudenbush SW, Bryk AS.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002. 

  25. Podsakoff PM, MacKenzie SB, Lee JY, Podsakoff NP.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3;88(5):879-903. http://dx.doi.org/10.1037/0021-9010.88.5.879 

  26. Hair JF, Black WC, Babin BJ, Anderson RE. Multivariate data analysis : A global perspective.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2010. 

  27. Chan D. Functional relations among constructs in the same content domain at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A typology of composition model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98;83(2):234-246. http://dx.doi.org/10.1037/0021-9010.83.2.234 

  28. Klein KJ, Bliese PD, Kozolowski SWJ, Dansereau F, Gavin MB, Griffin MA, et al. Multilevel analytical techniques: Commonalities, differences, and continuing questions. In: Klein KJ, Kozlowski SWJ, editors. Multilevel theory, research, and methods in organizations: Foundations, extensions, and new direction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0. p. 512-553. 

  29. Bliese PD. Within-group agreement, non-independence, and reliability: Implications for data aggregation and analysis. In: Klein KJ, Kozlowski SWJ, editors. Multilevel theory, research, and methods in organizations: Foundations, extensions, and new direction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0. 

  30. Aiken LS, West SG.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