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혈청 25(OH)D 수준과 우울증 및 우울증상 경험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0 분석 결과
Associations of serum 25(OH)D levels with depression and depressed condition in Korean adults: results from KNHANES 2008-2010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2, 2014년, pp.113 - 123  

구슬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경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2008~2010년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 총 18,735명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우울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의사에게 우울증을 진단 받았다고 응답한 경우인 우울증에 대한 유병률은 남녀 각각 약 1.63%, 5.43%이었고, 의사에게 진단을 받지는 않았으나 우울관련 증상을 경험한 경우인 우울증상경험률은 남녀 각각 약 12.5%, 26.1%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증 및 우울증상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우울 상태에 따른 특성을 분석한 결과, 남녀가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즉, 남녀 모두에서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 그룹은 정상그룹에 비해 평균 연령이 더 높았으며, 직업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은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 그룹이 정상그룹에 비해 소득 및 교육수준이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현재 흡연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3) 혈청 25(OH)D 수준과 우울증 유병 위험간의 관계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공변량을 보정한 후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유의적인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동일한 모델을 이용하여 우울증상경험을 결과인자로 두어 분석한 결과에서도, 남녀 모두 비타민 D와 우울증상경험간의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우울상태에 따라 평균 혈청 25(OH) D 농도를 공변량을 보정한 후 다중선형회귀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 위험률에 대하여 유의적인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국외 선행연구 결과에서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간의 유의적인 관계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가능한 메커니즘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검증된 우울증 측정 도구를 이용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임상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Vitamin D has been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brain functions in the human body, and cumulative evidence has shown that vitamin D deficiency might be linked with various mental health conditions. Epidemiologic studies have shown that vitamin D defi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36,37 마지막으로, 인체 내 세포막의 투과성과 신경세포의 축삭 전도에 비타민 D가 관련되어 있어, 간접적으로 신경전달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7 이처럼 다양한 기전을 통하여 비타민 D는 뇌조직과 신경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므로 우울증 발생과 관련될 수 있다고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울증에 대한 비타민 D의 독립적인 효과를 명확히 제시하기 위한 역학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며,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결과이다.
  • 본 연구는 주요 결과 인자인 우울증 유병에 대하여 객관적인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우울증 상태를 진단하지 못한 점에서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수집한 정보 중 우울증 진단 관련 모든 문항을 복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이용하여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을 정의하였다. 두번째,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식이 비타민 D 수준에 대한 정보가 미비하여 분석에 이용하지 못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이용한 혈청 25(OH)D 수준은 피부 합성으로부터 생성되는 비타민 D의 농도뿐만 아니라 식이 비타민 D의 수준이 복합적으로 반영되므로 정확하고 객관적인 생체지표라고 알려져 있다.
  • 특히 한국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8~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우울증간의 관계를 심층분석 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 가설을 검정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영양조사’와 ‘국민건강 및 보건의식행태조사’가 통합된 것으로, 1998년 처음 조사가 시작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인 2008~2010년 자료를 이용하여 혈청 비타민 D 수준과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자 중 남성의 우울증 및 우울증상경험 유병률은 각각 약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타민 D란? 비타민 D는 피부의 자외선 노출 시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활성화되는 비타민으로, 표적 장기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작용하여 칼슘 및 인의 항상성 유지와 골격 건강 유지에 관여하는 인체에 필수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1-3 최근에는 활성형 비타민 D 혹은 비타민 D 수용체가 뇌조직 혹은 뇌신경계에서 특정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 과의4-7 연관성이 제시되고 있다.
비타민 D이 인체에 미치는 특징은? 비타민 D는 피부의 자외선 노출 시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활성화되는 비타민으로, 표적 장기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작용하여 칼슘 및 인의 항상성 유지와 골격 건강 유지에 관여하는 인체에 필수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1-3 최근에는 활성형 비타민 D 혹은 비타민 D 수용체가 뇌조직 혹은 뇌신경계에서 특정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 과의4-7 연관성이 제시되고 있다.
제 4기와 5기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내용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나? 제4기,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순환표본조사 (Rolling sampling survey) 방법을 도입한 연중조사체계로 진행되었고, 각 연도별 표본은 우리나라 전체 인구를 대표할 수 있는 동질적이고 독립적인 순환표본 (Rolling samples)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사내용은 크게 신체계측 및 임상검사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검진조사, 건강관련 지표 및 건강위험행태 등을 파악하는 건강설문조사, 식습관 및 영양실태를 파악하는 영양조사 등 3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ips P. Vitamin D physiology. Prog Biophys Mol Biol 2006; 92(1): 4-8. 

  2. Holick MF. Resurrec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d rickets. J Clin Invest 2006; 116(8): 2062-2072. 

  3. Lee HH. A role of vitamin D in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08; 14(2): 109-114. 

  4. Stewart R, Hirani V.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levels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residents from a national survey population. Psychosom Med 2010; 72(7): 608-612. 

  5. May HT, Bair TL, Lappe DL, Anderson JL, Horne BD, Carlquist JF, Muhlestein JB. Association of vitamin D levels with incident depression among a general cardiovascular population. Am Heart J 2010; 159(6): 1037-1043. 

  6. Milaneschi Y, Shardell M, Corsi AM, Vazzana R, Bandinelli S, Guralnik JM, Ferrucci L.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women and men. J Clin Endocrinol Metab 2010; 95(7): 3225-3233. 

  7. Ganji V, Milone C, Cody MM, McCarty F, Wang YT. Serum vitamin D concentrations are related to depression in young adult US populatio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 Arch Med 2010; 3: 29. 

  8. Yang S, Ha YS, Lee GS, Lee JS, Kwon HJ, Lee MH. Mood disorder and nursing. In: Psychiatric-Mental Health Nursing, 4th edition. Seoul: Hyunmoonsa; 2011. p.243-276. 

  9. Peveler R, Carson A, Rodin G. Depression in medical patients. BMJ 2002; 325(7356): 149-152. 

  10. Harris EC, Barraclough B. Suicide as an outcome for mental disorders. A meta-analysis. Br J Psychiatry 1997; 170: 205-228. 

  11. Chen CK, Tsai YC, Hsu HJ, Wu IW, Sun CY, Chou CC, Lee CC, Tsai CR, Wu MS, Wang LJ. Depression and suicide risk in he mo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Psychosomatics 2010; 51(6): 528-528.e6. 

  1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ealth at a glance 2011: OECD indicators [Internet]. [place unknown]: OECD Publishing; 2011 [cited 2014 Feb 3].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787/health_glance-2011-en. 

  13. Shim RS, Baltrus P, Ye J, Rust G. Prevalence, treatment, and control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2005-2008. J Am Board Fam Med 2011; 24(1): 33-38.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1. 

  15. Cho MJ, Chang SM, Lee YM, Bae A, Ahn JH, Son J, Hong JP, Bae JN, Lee DW, Cho SJ, Park JI, Lee JY, Kim JY, Jeon HJ, Sohn JH, Kim BS. Prevalence of DSM-IV major mental disorders among Korean adults: a 2006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KECA-R). Asian J Psychiatr 2010; 3(1): 26-30. 

  16. Chang SM, Hahm BJ, Lee JY, Shin MS, Jeon HJ, Hong JP, Lee HB, Lee DW, Cho MJ. Cross-national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caused by the diagnostic threshold. J Affect Disord 2008; 106(1-2): 159-167. 

  17. Eaton WW, Anthony JC, Tepper S, Dryman A. Psychopathology and attrition in th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urveys. Am J Epidemiol 1992; 135(9): 1051-1059. 

  18. de Graaf R, Bijl RV, Smit F, Ravelli A, Vollebergh WA. Psychiatric and sociodemographic predictors of attrition in a longitudinal study: the Netherlands Mental Health Survey and Incidence Study (NEMESIS). Am J Epidemiol 2000; 152(11): 1039-1047. 

  19. Zhao G, Ford ES, Li C, Balluz LS. No associations between serum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and parathyroid hormone and depression among US adults. Br J Nutr 2010; 104 (11): 1696-1702. 

  20. Jorde R, Sneve M, Figenschau Y, Svartberg J, Waterloo K.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symptoms of depression in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randomized double blind trial. J Intern Med 2008; 264(6): 599-609. 

  21. Kjærgaard M, Waterloo K, Wang CE, Almas B, Figenschau Y, Hutchinson MS, Svartberg J, Jorde R.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 on depression scores in people with low levels of serum 25-hydroxyvitamin D: nested case-control study and randomised clinical trial. Br J Psychiatry 2012; 201(5): 360-368. 

  22. Holick MF, Binkley NC, Bischoff-Ferrari HA, Gordon CM, Hanley DA, Heaney RP, Murad MH, Weaver CM; Endocrine Society.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1; 96(7): 1911-1930. 

  23. Peppone LJ, Huston AJ, Reid ME, Rosier RN, Zakharia Y, Trump DL, Mustian KM, Janelsins MC, Purnell JQ, Morrow GR. The effect of various vitamin D supplementation regimens in breast cancer patients. Breast Cancer Res Treat 2011; 127(1): 171-177. 

  24. Pearce SH, Cheetham TD. Diagnosis and management of vitamin D deficiency. BMJ 2010; 340: b5664. 

  25. Choi HS, Oh HJ, Choi H, Choi WH, Kim JG, Kim KM, Kim KJ, Rhee Y, Lim SK. Vitamin D insufficiency in Korea--a greater threat to younger generati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 J Clin Endocrinol Metab 2011; 96(3): 643-651. 

  26. Lee DM, Tajar A, O'Neill TW, O'Connor DB, Bartfai G, Boonen S, Bouillon R, Casanueva FF, Finn JD, Forti G, Giwercman A, Han TS, Huhtaniemi IT, Kula K, Lean ME, Punab M, Silman AJ, Vanderschueren D, Wu FC, Pendleton N; EMAS study group. Lower vitamin D level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community- dwelling European men. J Psychopharmacol 2011; 25(10): 1320-1328. 

  27. Beekman AT, Deeg DJ, van Tilburg T, Smit JH, Hooijer C, van Tilburg W. Major and minor depression in later life: a study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J Affect Disord 1995; 36(1-2): 65-75. 

  28. Mulsant BH, Ganguli M. Epidemiology and diagnosis of depression in late life. J Clin Psychiatry 1999; 60 Suppl 20: 9-15. 

  29. Wortsman J, Matsuoka LY, Chen TC, Lu Z, Holick MF. Decreased bioavailability of vitamin D in obesity. Am J Clin Nutr 2000; 72 (3): 690-693. 

  30. Kjærgaard M, Joakimsen R, Jorde R. Low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a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n adult Norwegian population. Psychiatry Res 2011; 190(2-3): 221-225. 

  31. Eyles DW, Smith S, Kinobe R, Hewison M, McGrath JJ. Distribution of the vitamin D receptor and 1 alpha-hydroxylase in human brain. J Chem Neuroanat 2005; 29(1): 21-30. 

  32. Newmark HL, Newmark J. Vitamin D and Parkinson's disease--a hypothesis. Mov Disord 2007; 22(4): 461-468. 

  33. Hoogendijk WJ, Lips P, Dik MG, Deeg DJ, Beekman AT, Penninx BW.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25-hydroxyvitamin D and increased parathyroid hormone levels in older adults. Arch Gen Psychiatry 2008; 65(5): 508-512. 

  34. Kuningas M, Mooijaart SP, Jolles J, Slagboom PE, Westendorp RG, van Heemst D. VDR gene variants associate with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old age. Neurobiol Aging 2009; 30(3): 466-473. 

  35. Brown J, Bianco JI, McGrath JJ, Eyles DW. 1,25-dihydroxyvitamin D3 induces nerve growth factor, promotes neurite outgrowth and inhibits mitosis in embryonic rat hippocampal neurons. Neurosci Lett 2003; 343(2): 139-143. 

  36. Shinpo K, Kikuchi S, Sasaki H, Moriwaka F, Tashiro K. Effect of 1,25-dihydroxyvitamin D(3) on cultured mesencephalic dopaminergic neurons to the combined toxicity caused by L-buthionine sulfoximine and 1-methyl-4-phenylpyridine. J Neurosci Res 2000; 62(3): 374-382. 

  37. Jorde R, Waterloo K, Saleh F, Haug E, Svartberg J.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 relation to serum parathyroid hormone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The Tromsø study. J Neurol 2006; 253(4): 464-4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