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인에서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 우울증의 연관성에 대한 융복합적 연구
Convergence Study for Relationship Between Cholesterol Level on Serum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5, 2015년, pp.269 - 276  

이태용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최세묵 (진주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설문조사와 검사자료에서 우울증상군 834명과 대조군 3,317명을 추출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교차비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우울증상은 가족 월수입, 결혼상태, 교육기간, 직업, 흡연상태, 신체활동을 보정한 상태에서 저밀도지단백이 낮을 때(기준 높음) 교차비가 6.435배(95% CI)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낮은 저밀도지단백은 우울 증상을 높일 위험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아직 콜레스테롤에 의한 우울 기전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후 다양한 분야의 융복합 연구를 통하여 이를 밝힐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olesterol level on serum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this study used data of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834 persons with depressive symptoms were selected as an index group and 3,317 persons witho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저콜레스테롤혈증과 우울증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고, 외국의 연구결과를 우리나라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인종, 생활습관, 사회경제, 문화적 특성 등이 크게 다른 것을 감안할 때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수준을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저콜레스테롤혈증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뇌졸중군이 대조군보다 3배정도 우울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뇌졸중군이 대조군보다 3배정도 우울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년기에 여러 스트레스로 인한 심인성 우울증 외에 혈관성 우울증과 가장 밀접한 질환으로는 뇌졸중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다발성 뇌경색이나 대뇌 미세혈관 순환장애로 인한 뇌조직의 변화가 노년기 혈관성 우울증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이다[21]. 또한 만성질환의 수가 많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아지므로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우리나라에서 국가차원에서 건강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다양한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프로그램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울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울증은 사람들에게 흔한 질환이며 많은 연구에서 자살 및 자살기도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1, 2]. 우리나라는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변화와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정신질환과 관련된 자살률이 급증하고 있다.
우울증의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우울증의 위험요인으로는 불안,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과거력, 알코올 남용, 낮은 자아존중감, 심각한 만성질환(암, 당뇨, 심장질환), 특정 약물복용(고혈압, 수면제), 외상적 또는 스트레스성 사건, 우울증 가족력 등이 있다. 그러나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 Bradvik, C. Mattisson, M. Bogren, P. Nettelbladt. Long-term suicide risk of depression in the Lundby cohort 1947-1997--severity and gender.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 117, No. 3, pp. 185-191, 2008. 

  2. E. T. Isometsa, M. M. Henriksson, H. M. Aro, M. E. Heikkinen, K. I. Kuoppasalmi, J. K. Lonnqvist. Suicide in major depress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51, No. 4, pp. 530-536, 1994. 

  3.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3. 2014. 

  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OECD Health Data 2014. 

  5. H. J. Jeon. Epidemiologic studies on depression and suicide.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Vol. 54, No. 4, pp. 322-328, 2012. 

  6. W. P. Castelli, R. J. Garrison, P. W. F. Wilson, R. D. Abbott, S. Kalousdian, W. B. Kannel.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The Framingham stud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56, No. 20, pp. 2835-2838, 1986. 

  7. J. D. Neaton, H. Blackburn, D. Jacobs, L. Kuller, D. J. Lee, R. Sherwin. Serum cholesterol level and mortality findings for men screend in the multiple resk factor intervention trial. Archuves of Internal Medicine, Vol. 152, No. 7, pp.1490-1500, 1992. 

  8. G. D. Smith, J. Pekkanen. Should there be a moratorium on the use of cholesterol lowering drugs?.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04, pp. 431-434, 1992. 

  9. K. W. Davidson, S. Reddy, P. McGrath, D. Zitner, W. MacKeen. Increases in depression after cholesterol-lowering drug treatment. Behavioral Medicine, Vol. 22, No. 2, pp. 82-84, 1996. 

  10. B. Ploeckinger, K. Dantendorfer, M. R. Ulm, W. Baischer, K. Derfler, M. Musalek. Rapid decrease of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postpartum depression. British Medical Journal, Vol. 313, p. 664, 1996. 

  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Center for Disease Control. National Health Statistics in 2009, 2010. 

  12. V. Lorant, D. Deliege, W. Eaton, A. Robert, P. Philippot, M. Ansseau.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depression: A Meta-Analysis. Americn Journal of Epidemiology. Vol. 157, No. 2, pp. 98-112, 2003 

  13. V. Lorant, C. Croux, S. Weich, D. Deliege, J. Mackenbach, M. Ansseau. Depression and socio-economic risk factors: 7-year longitudinal population stud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 190, pp. 293-298, 2007. 

  14. X. Wu, A. DeMaris. Gender and marital status differenes in depression: The effects of chronic strains. Sex Roles, Vol. 34, pp.299-318, 1996 

  15. R. E. Roberts, G. A. Kaplan, S. J. Shema, W. J. Strawbridge. Are the obese at greater risk for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 152, No. 2, pp.163-70, 2000. 

  16. L. M de Wit, A. van Straten, M. van Herten, B. WJH Penninx, P. Cuijpers. Depression and body mass index, a u-shaped association. BMC Public Health, Vol. 9, No. 14, pp. 1-6, 2009. 

  17. J. M. Murphy, N. J Horton, R. R. Monson, N. M. Laird, A. M. Sobol, A. H. Leighton. Cigarette smoking in relation to depression: historical trends from the Stirling County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 160, No. 9, pp. 1663-9, 2003. 

  18. K. Graham, A. Massak, A. Demers, J. Rehm. Does the associ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depression depend on how they are measured?.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 31, No. 1, pp. 78-88, 2007. 

  19. S. M. P. Pereira, M. C. Geoffroy, C. Power. Depressive symptoms and physical activity during 3 decades in adult life.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71, No. 12, pp. 1373-1380, 2014. 

  20. B. W. J. H. Penninx, T. van Tilburg, A. J. P. Boeke, D. J. H. Deeg, D. M. W. Kriegsman, J. T. M. van EijK. Effects of social support nd personal coping resources on depressive symptoms: Different for various chronic diseases?. Health Psychology, Vol. 17, No. 6, pp. 551-558, 1998. 

  21. D-H Kim. Geriatric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geriatric psychiatry, Vol. 8, No. 2, pp. 90-95, 2004. 

  22. Y-K Kim, H-J Lee, D-K Yoon, S-H Choi, M-S Lee. Low serum cholesterol is correlated to sucidality in a Korean samp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 105, pp. 141-148, 2002. 

  23. M Nakao, E Yano.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on and high serum cholesterol in Japanese men. Tohoku Jouranal of Experimental Medicine, Vol. 204, pp. 273-287, 2004. 

  24. S. N. Young. How to increase serotonin in the human brain without drugs. Journal of Psychiatry and Neuroscience, Vol. 32, No. 6, pp. 394-39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