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참식나무 생육지 예측과 영향 평가
Habitat prediction and impact assessment of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under Climate Change in Korea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3 no.2, 2014년, pp.101 - 111  

윤종학 (국립생태원 생태평가팀) ,  카츠히로 나카오 (일본산림총합연구소 식물생태학 연구실)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선유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박찬호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climat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Neolitsea sericea, and the potential habitats (PHs) under the current climate and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 by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Four climate factors; the minimum temperatur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참식나무를 대상으로 기후요인을 설명 변수로 하는 통계모델을 구축하여 현재기후에서 참식나무의 분포를 규정하는 기후조건을 정량적으로 밝히고, 현재기후 및 미래기후에서의 시계열에 따른 잠재 생육지의 분포변화를 예측 및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균기온은 향후 100년간 어느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가? 과거 100년간(1906~2005년)의 전지구 평균기온은 0.74℃ 상승하였으며, 향후 100년간 1.1℃~6.4℃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IPCC, 2007). 또한, 기온 상승과 더불어 해수면은 100년간 최대 59cm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적설량과 적설면적도 감소할 것으로 보고하였다(IPCC, 2007).
본 연구 대상지인 한반도, 제주도, 울릉도를 포함하는 지역의 지리적 특징은 무엇인가? 연구 대상지는 북위 33°~38°, 동경 126°~132°에 놓여 있는 한반도, 제주도, 울릉도를 포함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리적으로는 동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과 마주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서해를 사이에 두고 중국과 마주하여 위치하고 있다. 한반도의 산지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급경사를 이루고 서쪽으로는 완만하며, 남서쪽으로는 소백산맥이 이어져 있다.
해수면은 향후 100년간 얼마나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가? 4℃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IPCC, 2007). 또한, 기온 상승과 더불어 해수면은 100년간 최대 59cm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적설량과 적설면적도 감소할 것으로 보고하였다(IPCC, 2007). 기후변화는 생태계 및 생물 생육지 변화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며, 최근 환경조건에 의한 야생 식물종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해 통계 모델을 구축하여 생육지를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중현, 윤종학, 남기흠, 이정현, 최병희, 이병윤, 2011, 덕적군도 내 무인도서의 관속식물상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0, 1-23. 

  2.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3.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춘천. 

  4. 윤종학, 中尾勝洋, 박찬호, 이병윤, 2011a,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후박나무의 잠재 생육지및 분포예측,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903-910. 

  5. 윤종학, 김중현, 오경희, 이병윤, 2011b, 한반도 난온대 상록활엽수의 분포변화와 기후조건,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47-56. 

  6. 中尾勝洋, 松井哲哉, 田中信行, 福島 司, 2009, 日本における常綠カシ類2種の個および優占林の分布を規定する候 件, 日本立地??誌 森林立地, 51, 27-37. 

  7. 津山幾太郞, 松井哲哉, 小川みふゆ, 小南裕志, 田中信行, 2008, 本州東部におけるチチマザサの?在分布域の予測と?候?化の影響評?, GIS-理論と?用, 16, 11-25. 

  8. Armonies, W. and K. Reise, 2003, Empty habitat in coastal sediments for populations of macrozoobenthos, Helgoland Mar Research, 56, 279-287. 

  9. Clark, L. A. and D. Pregibon, 1992, Tree-based models, In: J. M. Chambers and T. J. Hastie, eds., Statistical Models in S, California, Wadsworth & Brooks/Cole Advanced Books & Software, Pacific Grove, pp.377-419. 

  10. De'Ath, G., and K. E. Fabricius, 2000,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A powerful yet simple technique for ecological data analysis, Ecology, 81, 3178-3192. 

  11. Bakkenes, M., J. R. M. Alkemade, F. Ihle, R. Leemans and J. B. Latour, 2002, Assessing effects of forecasted climate change on the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European higher plants for 2050, Global Change Biology, 8, 390-407. 

  12. Berry, P. M., T. P. Dawson, P. A. Harrison, R. Pearson and N. Butt, 2003, The sensitivity and vulnerability of terrestrial habitats and species in Britain and Ireland to climate change,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11, 15-23. 

  13. Breiman, L., J. H. Friedman, R. A. Olshen and C. J. Stone,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Chapman & Hall/CRC, Boca Raton, FL, US, 358pp. 

  14. Hanley, J. and B. McNeil, 1982, The meaning and use of the area under a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Radiology, 143, 29-36. 

  15. Harrison, P. A., P. M. Berry and T. P. Dawson, eds., 2001, Climate Change and Nature Conservation in Britain and Ireland: Modelling Natural Resource Responses to Climate Change (the MONARCH project), UKCIP Technical Report, Oxford. 

  16. Horikawa, M., I. Tsuyama, T. Matsui, Y. Kominami and N. Tanaka, 2009, Assessing th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alpine habitat suitability of Japanese stone pine (Pinus pumila), Landscape Ecology, 24, 115-128. 

  17.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Iverson, L. R. and A. M. Prasad, 1998, Predicting abundance of 80 tree species following climate change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Ecological Monographs, 68, 465-485. 

  19. Kira, T.(1977) A Climatological interpretation of Japanese vegetation zones. In Miyawaki, A. and Tuxen, R. (eds.) Vegetation scienc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Maruzen, Tokyo, pp.21-30. 

  20. Lee, B. Y., G. H. Nam, J. H. Yun, G. Y. Cho, J. S. Lee, J. H. Kim, T. S. Park, K. K. Kim and K. H. Oh, 2010, Biological indicators to monitor responses against climate chang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202-207. 

  21. MaCarthy, J. J., O. F. Canziani, N. A. Leary, D. J. Dokken and K. S. White, eds., 2001, C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Matsui, T., N. Tanaka, T. Yagihashi, Y. Kominami, I. Tsuyama and K. Takahashi, 2009, Prediction and impact assessment of the changes in suitable habitats for beech (Fagus crenata) forests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Journal of Global Enviroment, 14, 165-174. 

  23. Matsui, T., T. Yagihashi, T. Nakaya, H. Taoda and N. Tanaka, 2004a, Climatic controls on distribution of Fagus crenata forests in Japa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5, 57-66. 

  24. Matsui, T., T. Yagihashi, T. Nakaya, H. Taoda S. Yoshinaga, H. Daimaru and N. Tanaka, 2004b, Probability distributions, vulnerability and sensitivity in Fagus crenata forests following predicted climate changes in Japa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5, 605-614. 

  25. Metz, C. E., 1978, Basic principles of ROC Analysis, Seminars in Nuclear Medicine, 8, 283-298. 

  26. Ohsawa, M., 1990, An interpretation in latitudinal patterns of limits in south and east Asian mountains, Journal of Ecology, 78, 326-339. 

  27. R Development Core Team, 2011,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ISBN 3-900051-07-0, URL://www.R-project.org. 

  28. Swets, K. A., 1988, Measuring the accuracy of diagnostic systems, Science 240, 1285-1293. 

  29. Tanaka, N., 2007, PRDB (Phytosociological Releve Data Base), Environment change impact team, Forestry and Forest Products Research Institute. 

  30. Tanaka, N., E. Nakazono, I. Tsuyama and T. Matsui, 2009, Assessing impact of climate warming on potential habitats of ten conifer species in Japan, Global Environmental Research, 14, 153-164. 

  31. Thuiller, W., 2003, BIOMOD-optimizing predictions of species distributions and projecting potential shifts under global change, Global Change Biology, 9, 1353-1362. 

  32. Thuiller, W., S. Lavorel, M. B. Araujo, M. T. Sykes and I. C. Prentice, 2005, Climate Change threats to plant diversity in Europe,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2, 8245-8250. 

  33. Tsuyama,I., K. Nakao, T. Matsui, M. Higa, M. Horikawa, Y. Kominami and N. Tanaka, 2011, Climatic controls of a keystone understory species, Sasamorpha borealis, and an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n Japan, Annals of Forest Science, 68, 689-699. 

  34. Yim, Y. J., 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1, 269-278. 

  35. Zweig, M. H. and G. Campbell, 1993,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ROC) Plots: a fundamental evaluation tool in clinical medicine, Climical Chemistry, 39, 561-5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