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 관련 안전사고 특성 및 손상 영향 요인 분석: 상급종합병원 일반병동 환자 중심으로
Factor Associated with Injury Related to Home Mechanical Ventilation in General Ward Patients: A Retrospective Study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2, 2020년, pp.131 - 140  

김향숙 (세브란스병원) ,  최모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 ,  양용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incident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njury for patients with Home Mechanical Ventilation (HMV) at the hospital.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work log of respiratory home care nurses and the p...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 상급종합병원에서 HMV를 장착한 환자를 대상으로 안전사고의 특성 및 손상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EMR 자료와 HMV 관리전담간호사의 업무 일지로 분석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에 입원하여 HMV를 사용 중인 성인 환자에게 발생하는 호흡기 관련 안전사고의 특성과 안전사고로 인한 손상의 정도를 분석하고, 손상 발생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안전사고 발생률은 42.
  •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에 입원한 대상자 중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과 관련하여 발생한 안전사고의 특성을 파악하고, 손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가정용 인공호흡기 관련 안전사고 중 심각한 손상을 유발하는 사고는 없었지만, 호흡기 회로 분리의 문제를 포함한 관리 미숙은 환자의 손상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HMV를 사용 중인 환자에게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특성과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한 손상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s, EMR) 자료와 HMV 관리전담간호사의 업무일지에 기록된 안전사고 관련 기록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HMV 관리 지침과 교육내용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HMV 적용 환자의 간호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호흡 기능부전으로 인해 인공호흡기 이탈이 어려운 환자 중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가정용 인공호흡기로 전환하여 병동이나 가정에서 관리하는 경우는? 0%를 차지하였고[10], 이로 인해 중환자실 침상부족과 장기재원에 따른 의료비용 부담을 초래하였다[3]. 이러한 의료환경의 변화와 가정에서 삶의 질을 유지하려는 요구가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만성 호흡 기능부전으로 인해 인공호흡기 이탈이 어려운 환자 중 보존적 치료만 요구되는 경우에는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HMV로 전환하여 병동이나 가정에서 관리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11,12]. 그러나 HMV를 적용하는 환자들은 질병의 중증도와 돌봄제공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병동에서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는 환자의 기저 질환에 대한 충분한 이해 뿐만 아니라, 인공호흡기와 관련된 감염 관리 및 응급 상황에서 기관 절개관 튜브 교환이나 앰부백을 이용한 양압환기술과 같은 추가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13].
이동이 간편하고 성능이 뛰어난 가정용 인공호흡기 보급 증가의 장점은? 최근 치료 기술과 의료 장비의 발전으로 인하여 신경근육질환이나 만성호흡부전 등을 가진 중증 환자들의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으며, 호흡기능 유지를 위해 가정용 인공호흡기(Home Mechanical Ventilation, HMV)에 의존하는 환자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1,2]. 이동이 간편하고 성능이 뛰어난 HMV 보급의 증가는 환자들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재원일수를 단축시켜 비용 효과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3-6]. 세계적으로 HMV에 의존하는 대상자는 인구 10만 명당 6.
HMV를 적용하는 환자들은 질병의 중증도와 돌봄 제공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병동에서 적절한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것은? 이러한 의료환경의 변화와 가정에서 삶의 질을 유지하려는 요구가 증가하면서, 최근에는 만성 호흡 기능부전으로 인해 인공호흡기 이탈이 어려운 환자 중 보존적 치료만 요구되는 경우에는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HMV로 전환하여 병동이나 가정에서 관리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11,12]. 그러나 HMV를 적용하는 환자들은 질병의 중증도와 돌봄제공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병동에서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는 환자의 기저 질환에 대한 충분한 이해 뿐만 아니라, 인공호흡기와 관련된 감염 관리 및 응급 상황에서 기관 절개관 튜브 교환이나 앰부백을 이용한 양압환기술과 같은 추가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13]. 또한 안전한 장비 사용을 위해서는 전원차단, 기계 부전, 가스공급 장애 등과 같은 상황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하며 복잡한 장비를 조작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확한 지식과 적절한 작동기술이 필요하다[14]. 이처럼 HMV는 정교하고 관리가 복잡하여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부적절한 환기 설정 및 부정확한 알람 설정 등은 환자 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안전한 치료와 환자 결과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훈련된 전문인력에 의한 관리가 중요하다[15,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imonds AK. Home mechanical ventilation: An overview. Annals of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 2016;13(11):2035-2044. https://doi.org/10.1513/AnnalsATS.201606-454FR 

  2. Hazenberg A, Kerstjens HA, Prins SC, Vermeulen KM, Wijkstra PJ. Initiation of home mechanical ventilation at home: A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efficacy, feasibility and costs. Respiratory Medicine. 2014;108(9):1387-1395. https://doi.org/10.1016/j.rmed.2014.07.008 

  3. Lopez-Campos JL, Failde I, Masa JF, Benitez-Moya JM, Barrot E, Ayerbe R, et al.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ceiving home mechanical ventilation. Respiratory Medicine. 2008;102(4):605-612. https://doi.org/10.1016/j.rmed.2007.11.005 

  4. Sison SM, Sivakumar GK, Caufield-Noll C, Greenough WB, Galiatsatos P. Survival outcomes of chronic mechanical ventilation based on venues of care: A systematic review. Poster session presented at: American Thoracic Society 2019 International Conference; 2019 May 17-22; Dallas, TX. https://doi.org/10.1164/ajrccm-conference.2019.199.1_MeetingAbstracts.A1636 

  5. Murphy PB, Douiri A. Patients, caregivers and health system costs of home ventilation. Thorax. 2018;73(7):601-602. https://doi.org/10.1136/thoraxjnl-2018-211659 

  6. Nonoyama M, Katz S, Amin R, Mckim D, Guerriere D, Coyte P, et al. Healthcare utilization and costs of pediatric home mechanical ventilation in Canada.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2019;54(suppl 63):PA1043. https://doi.org/10.1183/13993003.congress-2019.PA1043 

  7. Lloyd-Owen SJ, Donaldson GC, Ambrosino N, Escarabill J, Farre R, Fauroux B, et al. Patterns of home mechanical ventilation use in Europe: Results from the Eurovent survey.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05;25(6):1025-1031. https://doi.org/10.1183/09031936.05.00066704 

  8. Rose L, McKim DA, Katz SL, Leasa D, Nonoyama M, Pedersen C, et al. Home mechanical ventilation in Canada: A national survey. Respiratory Care. 2015;60(5):695-704. https://doi.org/10.4187/ respcare .036093 

  9. Kim HI, Cho JH, Park SY, Lee YS, Chang Y, Choi WI, et al. Home mechanical ventilation use in South Korea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ata. Respiratory Care. 2019;64(5):528-535. https://doi.org/10.4187/respcare.06310 

  10. Brar N, Spiegler P. Can we reduc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y performing early tracheostomy? Clinical Pulmonary Medicine. 2011;18(3):148. https://doi.org/10.1097/CPM.0b013e3182189eca 

  11. Lewarski JS, Gay PC. Current issues in home mechanical ventilation. Chest. 2007;132(2):671-676. https://doi.org/10.1378/chest.07-0558 

  12. Povitz M, Rose L, Shariff SZ, Leonard S, Welk B, Jenkyn KB, et al. Home mechanical ventilation: A12-year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cohort study. Respiratory Care. 2018;63(4):380-387. https://doi.org/10.4187/respcare.05689 

  13. Bagnasco A, Zanini M, Aleo G, Catania G, Sasso L. Simulation skill labs to support informal caregivers who care for patients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at hom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18;52(suppl 62):PA3145. https://doi.org/10.1183/13993003.congress-2018.PA3145 

  14. Aloush SM. Nurses' implementa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prevention guidelines: An observational study in Jordan. Nursing in Critical Care. 2018;23(3):147-151. https://doi.org/10.1111/nicc.12323 

  15. Williams LM, Sharma S. Ventilator safety.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FL): StatPearls Publishing; c2019 [updated 2020 Jan 30; cited 2020 May 7]. Available from: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26044/. 

  16. Baid H. Patient safety: Identifying and managing complications of mechanical ventilation. Critical Care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2016;28(4):451-462. https://doi.org/10.1016/j.cnc.2016.07.005 

  17. Kamio T, Masamune K. Mechanical ventilation-related safety incidents in general care wards and ICU settings. Respiratory Care. 2018;63(10):1246-1252. https://doi.org/10.4187/respcare.06109 

  18. Cho SH, Go MG, Jung JH, Won SY, Lee HO, Nam JM, et al. A survey on nurses' and physicians'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on home ventilator.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2012;5(1):56-66. 

  19. Min HJ, Kwon HY, Shin CW, Ha YJ, Kim HJ. Factors influencing stress of nurse who care for patients using a mome mechanical ventilator in general ward.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9;26(1):91-101. https://doi.org/10.22705/jkashcn.2019.26.1.91 

  20. Stuban SL. Home mechanical ventilation.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10;110(5):63-67. https://doi.org/10.1097/01.NAJ.0000372080.63145.13 

  21. King AC. Long-term home mechanical ventilation in the United States. Respiratory Care. 2012;57(6):921-932. https://doi.org/10.4187/respcare.01741 

  22. Lowery WS. Ventilator-disconnect and death: A case study and a safety device. Respiratory Care. 2010;55(6):774-776. 

  23. Thomas AN, Galvin I. Patient safety incidents associated with equipment in critical care: A review of reports to the UK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Anaesthesia. 2008;63(11):1193-1197. https://doi.org/10.1111/j.1365-2044.2008.05607.x 

  24. Joyner MK, Afolabi FC, Payne TL, Hueckel RM. Structured documentation of home ventilator settings in children: A quality improvement project.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017;31(1):111-121. https://doi.org/10.1016/j.pedhc.2016.05.005 

  25. Clemente F, Faiella G, Rutoli G, Bifulco P, Romano M, Cesarelli M. Critical failures in the use of home ventilation medical equipment. Heliyon. 2019;5(12):e03034. https://doi.org/10.1016/j.heliyon.2019.e03034 

  26. Pham JC, Williams TL, Sparnon EM, Cillie TK, Scharen HF, Marella WM. Ventilator-related adverse events: A taxonomy and findings from 3 incident reporting systems. Respiratory Care. 2016;61(5):621-631. https://doi.org/10.4187/respcare.04151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Patient Safety.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Patient Safety:Final technical report [Internet]. Version 1.1.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cited 2020 May 7]. Report No.:WHO/IER/PSP/2010.2.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patientsafety/implementation/taxonomy/ICPS-report/en/. 

  28. Yang L, Nonoyama M, Pizzuti R, Bwititi P, John G. Home mechanical ventilation: A retrospective review of safety incidents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Patient Safety Event classification. Canadian Journal of Respiratory Therapy. 2016;52(3):85-91. 

  29. Jang MS, Hwang MS. Comparison of hospital nurses' knowledge, emergency coping ability and educational need according to nursing care experience for patient applied the home mechanical ventilato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7;24(2):121-132. https://doi.org/10.22705/jkashcn.2017.24.2.121 

  30. Kun SS, Deavenport-Saman AD, Keens TG, Ward SL, Takata GS. Rapid response and code events in hospitalized children on home mechanical ventilation. Respiratory Care. 2019;64(12):1461-1468. https://doi.org/10.4187/respcare.064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