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실태
The Current Status of Parental Capacity for Children's Happines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2, 2014년, pp.295 - 317  

장혜진 (육아정책연구소) ,  윤은주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역량 제고를 위하여 영유아의 행복이라는 관점에서 부모역량 Self-checklist 를 개발하여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학계 전문가, 유치원 어린이집 교사, 영유아 부모, 유아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Self-checklist 최종 문항 선정을 위해 48인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역량 현황 조사를 위해 전국단위 지역별로 할당하여 영유아 부모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모 580명, 부 420명이 참여하였다. 부모역량 현황을 살펴보면 유형면에서는 인식, 실행, 성장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내용면에서는 영유아 발달과 건강과 안전 영역 점수가 높았고 생활지도나 지역사회 연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모 관련 변인별로는 모든 측면에서 모에 비해 부의 역량이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부모 연령이 낮을수록,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역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rove parental capacity from the viewpoint of children's happiness. It extracts a core parental capacity for children's happiness from the international index such as OECD well-being, UNICEF Children's welfare, International survey of children's well-being, and Korean c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끝으로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행복할 수 있는 사회적 뒷받침이 되어야 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즉, “행복한 영유아는 행복한 부모에게서 나온다”는 전제 하에 모든 사회구성원의 삶의 질이나 행복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사회인식의 변화가 요청되며, 부모역량 제고 측면에서 영유아 행복을 위한 실질적인 부모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궁극적으로 영유아가 행복한 사회가 조성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부모역량 제고를 위해 영유아 행복에 초점을 두고 부모용 Self-Checklist를 개발하여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부모역량의 유형을 보면 앞서 지적하였듯이 크게 지식, 기술, 태도 측면에서 양육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양육지식이나 양육기술뿐만 아니라 자기통제, 스트레스 관리, 부모-자녀 관계 등 부모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태학적 변인까지 포함하여 내용을 구성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부모역량 개념 자체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부모역량에 대한 많은 선행연구들이 유형과 내용을 동시에 고려하지 않은 점과 영유아의 행복을 토대로 논의하지 않은 점 등에 착안하여 부모역량의 유형과 내용을 동시에 다루되 내용 측면에서 영유아의 행복을 부모역량의 구성요인의 근거로 삼았다.
  • 이러한 전반적인 결과를 선행연구와 직접적으로 연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관계로 부모변인별 부모역량 구성요인 관련 유사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부모역량의 출발점을 영유아의 행복에 두고 부모역량의 내용을 명명하였기 때문에 부모변인별 양육지식, 양육효능감이나 양육스트레스나 이들 간의 관계를 주로 연구한 이전의 부모역량의 연구와 직접 비교하기에는 제한이 있다.
  • 이런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행복관점에서 부모역량을 추출하여 개발하고 이렇게 나온 부모용 Self-checklist를 통해 영유아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나와 있는 부모역량은 부모에게 필요한 지식, 행동, 태도라는 점에서 주로 규정되어온 반면에 영유아의 행복을 위한 부모역량은 영유아가 행복한 환경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부모역량을 추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니며 이런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조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으며, 부모역량에 대한 7개의 역량범주와 3개의 역량유형(인식·실행·성장 역량)에 대한 부모의 변인별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변인별 분석은 본 연구가 전국단위 표집을 실시하여 전집의 대표성을 가진다는 가정 아래 이루어졌으며, 부모 연령은 표집 집단의 연령구분을 고려하였고 소득수준은 통계청 소득분위 10분위 경계 값(2인이상 비농가 기준)을 바탕으로(통계청, 2013) 3분위, 6분위를 기준으로 상, 중, 하로 나누 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다수 학자들이 행복을 정의하는 추세는? P. Seligman의 긍정 심리학 영향으로 사변적이거나 정신병리적 접근 중심의 전통적 정의와 달리, 대다수 학자들이 행복을 긍정적 정서 혹은 만족 등 개인이 주관적으로 경험하거나 느끼는 좋은 감정으로 정의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Seligman, 2002). 대표적으로 Diener(2000)의 정의를 살펴보면 행복감이란 자신의 삶 전반에 대한 주관적 평가에 해당하며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 Being, SWB)으로 표현될 수 있다.
주양육자인 부모역량은 영유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러나 이런 국가적 차원의 대대적 관심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영유아 삶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전히 가정환경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양육자인 부모역량은 그 어느 시기보다 자녀의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더욱 강조되는 추세다(김현주, 김은영, 황인주, 이승미, 2008). 이는 영유아의 육아지원기관 이용비율이나 기관이용시간 증가가 부모영향력이나 부모역할의 중요성 감소를 의미하지 않음을 말해준다 (OECD, 2012/2013).
우리나라의 영유아기 지원을 위한 정책과 제도에도 불구하고 영유아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의 일환으로 우리나라에서도 “교육, 보육은 국가가 책임진다”는 구호 아래 무상보육과 3, 4, 5세 누리과정이 재정적 압박과 수많은 논란 속에도 2012년 전격 실시되 었다. 그러나 이런 국가적 차원의 대대적 관심과 지원에도 불구하고 영유아 삶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전히 가정환경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양육자인 부모역량은 그 어느 시기보다 자녀의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더욱 강조되는 추세다(김현주, 김은영, 황인주, 이승미,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기정(2009). 다문화가족 모의 부모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코칭 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3), 111-125. 

  2. 강기정, 정은미(2008). 여성가장의 부모역할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부모교육연구, 5(1), 117-133. 

  3. 강혜원, 박지연(2011). 부모 역량 강화를 위한 양육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부모-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1), 1-25. 

  4. 국립국어원(2013). 표준국어대사전. (2013. 4. 29)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5. 김도란, 김정원(2008).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6. 김연화, 강문희(2008).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9(6), 35-54. 

  7. 김현주, 김은영, 황인주, 이승미(2008). 자녀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활동집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육아지원연구, 3(2), 177-192. 

  8. 도남희(2013).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위한 실질적 지원대책 필요. 육아정책연구소 브리프 9월호. 

  9. 박수선, 강기정(2008). 부모교육실천을 위한 부모코칭 모형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부모교육연구, 5(2), 27-55. 

  10. 박재국, 서보순, 김혜리(2011).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 핵심역량 요인 탐색.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4(1), 61-85. 

  11. 박현숙, 구현영(2010). 부모역할 핵심역량지원 프로그램이 청소년 학부모의 부모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9(4), 411-419. 

  12. 박희진, 문혁준(2012).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종일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21-137. 

  13. 송미혜, 송연숙, 김영주(2007).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65-183. 

  14. 신용주(2009). 반응적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2(3), 47-72. 

  15. 이명숙(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 구안. 한국가족복지학, 16(3), 209-224. 

  16. 이은경(2013).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이재분, 김혜원, 변종임, 채재은(2009). 다문화가족 역량 개발을 위한 통합적 교육지원방안 모색. 한국교육개발원. 

  18. 이주옥(2008).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비교. 영유아교육연구, 11(-), 41-61. 

  19. 전미경, 장재숙(2009).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7(3), 103-118. 

  20. 정계숙, 김정혜, 김미정(2003).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을 통한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변화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9(-), 117-140. 

  21. 정대현, 신원애(2012). 부모코칭역량의 구성요인 탐색 및 검사도구 개발.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6(1), 181-208. 

  22. 최애경(2012). 부모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경험한 장애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3), 263-281. 

  23. 통계청(2013). 국가통계포털. (2014. 4. 3).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m TabIdM_01_01#SubCont. 

  24. Azar, S. T., Lauretti A. F. & Loding B. V. (1998). The Evaluation of parental fitness in termination of parental rights cases: a functional-contextual perspective.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1(2), 77-100. 

  25. Azar, S. T. & Cote, L. R. (2002). Sociocultural issues in the evaluation of the needs of children in custody decision making: what do our current framework for evaluation parenting practices have to offer?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 25, 193-217. 

  26. Conley, C. (2003). A review of parenting capacity assessment reports. OACAS Journal, 47(3), 16-22. 

  27. Diener, E. (2000). Subjective well-being: the science of happiness, and a proposal for national index. American Psychologist, 55, 34-43. 

  28. OECD (2009). Doing better for children. OECD Publishing. 

  29. OECD (2013). Starting strong 3: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유아교육과 보육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신동주, 장혜진, 이경옥 옮김). 서울: 덕성여자대학교(원판 2012). 

  30. Rees, G., Bradshaw, J. & Goswami, H. (2010). Developing an index of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England. London. The Children's Society. 

  31. Seligman, Martin, E. D.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32. Turnbull, A. P., & Turnbull, III, H. R. (1997). Families, professionals, and exceptionality: A special partnership (3rd ed.). CB: OH Merrill. 

  33. Uusitalo-Malmivaara, L. (2012). Global and school related happiness in Finnish childre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4), 601-6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