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러티브 몰입을 위한 입체영상의 공간연출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f Space Planning Process in Stereoscopic 3D for Narrative Immers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3, 2014년, pp.94 - 102  

손정현 (경기대학교 애니메이션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1세기에 들어 입체영상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다시 집중시킨 곳은 극장이었다. 2009년을 기점으로, 입체영상에 대한 관심은 폭발적으로 증가했지만, 콘텐츠 부재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했다. 그러나 TV 방송 시장에서의 전망이 불투명한 반면, 입체영화는 할리우드를 중심으로 꾸준히 제작되고 있다. 또한 탄탄한 스토리텔링을 갖춘 영화들은 흥행에서도 괄목할만한 성적을 기록했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입체영상이 주는 공간감이 내러티브 몰입을 효과적으로 보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입체영상 기술은 극장을 중심으로 내러티브 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시각기술로서 유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몰입과 입체영상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내러티브 몰입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입체영상의 공간연출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21th century, audiences were fascinated with stereoscopic 3d in the theaters again. Since 2009, interest in stereoscopic 3D had been increased explosively, but shortfall in stereoscopic 3D contents is yet to be solved. However, despite shaky conditions in broadcasting businesses, stereoscop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입체영상 기술이 내러티브와 어우러져 고품질 콘텐츠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기획 과정에서부터 입체화의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며, 그에 걸맞은 연출 프로세스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존의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기획 및 제작 과정을 참고하여, 입체영상에 특화된 공간연출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 한편, 사람이 입체감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는 데는 많은 시지각적 요소가 존재한다. 그래서 입체영상의 몰입을 강화하기 위해, 이러한 특징들이 반영될 수 있는 입체영상의 공간연출 프로세스 모델을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치고자 한다.
  • 그러나 영화·애니메이션 등 선형적(Linear) 제작 구조상, 기획 단계에서부터 입체영상의 원리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다음 과정의 시행착오를 줄이고, 콘텐츠의 질을 높이는 첫걸음이므로 다음 장에서 내러티브 몰입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입체영상 기획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그렇다면 입체영상에서 몰입이라는 개념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한국콘텐츠진흥원의 <3D 입체영상 제작 워크북>을 보면, 입체영상의 기획 방향을 ‘몰입감 기반의 접근 방식’과 ‘스토리텔링 기반의 접근 방식’의 두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콘텐츠진흥원의<3D 입체영상 제작 워크북>에서는, 입체영상의 기획 방향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그렇다면 입체영상에서 몰입이라는 개념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자. 한국콘텐츠진흥원의<3D 입체영상 제작 워크북>을 보면, 입체영상의 기획 방향을 ‘몰입감 기반의 접근 방식’과 ‘스토리텔링 기반의 접근 방식’의 두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9]. 여기서‘몰입’이란 용어는, 현전성(Presence)과 같은 감각적인 부분에 국한되는데,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몰입’은 감각적인 부분 외에도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디스플레이를 통해 체험하는 입체영상의 공간감이 현전성을 배가시키는 예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그러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체험하는 입체영상의 공간감은 현전성(Presence)을 배가시키며, 또한 점차 디스플레이 장비에 익숙해지는 과정을 통해 시청자는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며 몰입하게 된다. 그 예로 <아바타>의 판도라 행성의 전경을 표현한 풀 샷(Full Shot)들은 적절한 입체공간의 설정을 통해, 실제 원경(遠景)을 주시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준다.
몰입의 사전적 정의는 무엇인가? ‘몰입(沒入)’의 사전적 정의는 ‘깊이 파고들거나 빠짐’ 이다. 몰입의 영어 단어인 ‘immersion’의 동사 형태‘immerse’의 뜻 역시 다르지 않은데, 어원이 되는 라틴어 ‘immergere’는 ‘im(안)’과 ‘mergere(~으로 빠져듦)’가 결합된 형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칙센트미하이, 미하이 (최인수 역), 몰입 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나다, 한울림, pp.201-204, 2004. 

  2. 최동신, 최호천, 윤희수, 심복섭, 김미자, 남호정, 입체+공간+커뮤니케이션, 안그라픽스, p.119, 2006. 

  3. 볼터, 제이 데이비드., 그루신, 리차드 (이재현 역), 재매개: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pp.3-15, 2006. 

  4. 볼터, 제이 데이비드., 그루신, 리차드 (이재현 역), 재매개:뉴미디어의 계보학, 커뮤니케이션북스, p.26, 2006. 

  5. http://www.designersnotebook.com/Columns/063_Postmodernism/063_postmodernism.htm 

  6. 김형래, "'몰입' 개념으로 본 3D 입체 영화의 미래", 외국문학연구, 제41호, p.92, 2011. 

  7. 최양현, 권영재, 조방현, 소현수, 3D 입체영상 제작 워크북, 한국콘텐츠진흥원, pp.45-52, 2010. 

  8. 손정현, 입체영상의 몰입을 높이기 위한 공간연출 프로세스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6, 2013. 

  9. 김영아, 신승윤, 김재호, "비주얼스토리텔링의 몰입을 위한 동일시 패턴",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7호, pp.58-61, 2012. 

  10. 메츠, 크리스티앙 (이수진 역), 상상적 기표 - 영화.정신분석.기호학, 문학과 지성사, p.84, 2009. 

  11. 손정현, 입체영상의 몰입을 높이기 위한 공간연출 프로세스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8, 2013. 

  12. 김영아, 신승윤, 김재호, "비주얼스토리텔링의 몰입을 위한 동일시 패턴",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7호, p.62, 2012. 

  13. PwC, Eyes wide open : 3D Tipping Points Loom, p.19, 2008. 

  14. 박진희, 입체영상에서 지각공간의 재구성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34-37, 2008. 

  15. 박진희, 입체영상에서 지각공간의 재구성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03, 2008. 

  16. 박진희, 입체영상에서 지각공간의 재구성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17, 2008. 

  17. 한명희, "입체영상 제작에서 색 보정 결과가 입체감 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지, 제11권, 제2호, p.180, 2010. 

  18. 하트, 존 (이남진 역), 스토리보드의 예술, 고려문화사, p.12, 1999. 

  19. 김영아, 신승윤, 김재호, "비주얼스토리텔링의 몰입을 위한 동일시 패턴",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2권, 제7호, pp.62-63, 2012. 

  20. 손정현, 입체영상의 몰입을 높이기 위한 공간연출 프로세스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0, 2013. 

  21. 박진희, 입체영상에서 지각공간의 재구성에 관한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35-136, 2008. 

  22. 영화진흥위원회, "3D 입체영화 제작/관람 가이드라인", 영화진흥위원회, p.24, p.39, 2012. 

  23. 최양현, 권영재, 조방현, 소현수, 3D 입체영상 제작 워크북, 한국콘텐츠진흥원, pp.85-86, 2010. 

  24. 영화진흥위원회, "3D 입체영화 제작/관람 가이드라인", 영화진흥위원회, pp.43-44, 2012. 

  25. http://library.creativecow.net/gardner_brian/magazine_3d_storytelling/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