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 사운드디자인의 내러티브 공간 연구
The narrative space of sound design in films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7 no.5, 2016년, pp.391 - 400  

이동환 (Seoul Media Institute of Technology, New Media Departmen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운드공간영역이 갖는 내러티브 전달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논의의 중요한 관점이 되는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공간성 표현의 역할 뿐 아니라, 사운드가 내러티브의 전달을 통해 예술성을 갖는데도 그 역할을 한다. 사실적 현실을 인간이 인식하는 현실로 재구현한 영화적 현실에서 사운드는, 정보적 의미정도에 따라 인식의 층위를 갖도록 디자인 되고, 이는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조절을 통해 인위적으로 형성된다. 인식의 상층위에 오는 사운드는 정보 전달의 역할을 담당하기 적합하고 하층위에 오는 사운드는 감정 전달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온스크린, 오프스크린, 앰비언트, 인터널, 온-디-에어, 넌다이제틱 각 영역이 독립적인 특성을 가지며 독자적인 내러티브 전달 역할을 가짐을 설명할 수 있다. 이로써 영화 사운드를 통해 형성되는 각각의 내러티브 공간이 갖는 미학적 효용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의 시도가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ssert the important role of sound design in creating narrative space in films. The main focus is on re-interpreting Chion's sound space composition as a narrative structure. The sound design process has been analyzed to find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und 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화 사운드의 공간에 대한 논의에서, 각 공간 영역이 영화의 내러티브를 어떻게 전달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사운드를 통한 영화의 예술성 발현의 방법을 연구한다는데 있어서 그 의미가 크다. 본 논문은 시옹이 구분해 놓은 사운드 공간 영역이 단순한 공간의 구분을 넘어, 내러티브 전달의 관점에서 어떠한 효용성을 갖게 되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다. 사운드를 통한 내러티브 전달의 연구에 있어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의 이해는 필수적인 요소이었고, 영화의 예술성을 위한 ‘영화적 현실’의 창의적인 재구성에 이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연구해 보았다.
  • 국내에서도 어쿠스메트르에 관한 연구[6]와 오프스크린 사운드에 관한 연구[7],[8], 그리고 사운드의 청점에 관한 연구[9] 등이 있지만, 이를 제외한 연구는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운드의 공간 영역이 갖는 미학적 효용성의 논의를 이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사운드 자체의 물리적 속성과의 상관관계를 논의의 중요한 관점으로 두려고 한다.
  • 그러나 사운드의 내러티브적 기능을 통한 예술성을 연구하는데 있어,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이해는, 보다 깊은 사운드 연구를 위한 기본 전제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에 대한 논의와 영화 사운드의 예술성 발현 방법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 관점에서 모든 사운드 공간 영역의 미적 효용성의 설명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 사운드를 통한 내러티브 전달의 연구에 있어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의 이해는 필수적인 요소이었고, 영화의 예술성을 위한 ‘영화적 현실’의 창의적인 재구성에 이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이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연구해 보았다.
  • 그러므로 사운드의 공간 구성의 예술적 효용성에 대한 논의에서도 중요한 관점이 되어야 한다. 이제 이러한 물리적 속성과 인식 층위 형성을 고려하여 시옹의 사운드 공간 구분을 내러티브 요소인 정보와 감정[24] 전달을 위한 영역으로 다시 해석해 보려고 한다.
  • 본 논문은 이러한 사운드의 공간 영역이 갖는 미학적 효용성의 논의를 이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사운드 자체의 물리적 속성과의 상관관계를 논의의 중요한 관점으로 두려고 한다. 시옹은 사운드 공간의 각 영역과 사운드 자체의 물리적 특성사이에 절대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음을 전제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 사운드의 공간에 대한 논의는 주로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영화 사운드의 공간에 대한 논의는, 사운드 자체에 대한 논의보다, 프레임 안의 이미지 위에 존재하거나, 프레임 밖의 보이지 않는 공간에 존재하는, 내러티브상 음원의 공간적 위치에 대한 논의로 주로 이루어져왔다. 사운드 자체의 물리적 음원은, 고정되어있는 스피커이지만, 관객에게 영화 사운드의 음원은, 프레임 안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프레임 안과 밖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이야기 속 대상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영화 사운드의 공간에 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내러티브상 음원의 공간적 위치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영화 사운드의 공간에 대한 논의는, 사운드 자체에 대한 논의보다, 프레임 안의 이미지 위에 존재하거나, 프레임 밖의 보이지 않는 공간에 존재하는, 내러티브상 음원의 공간적 위치에 대한 논의로 주로 이루어져왔다. 사운드 자체의 물리적 음원은, 고정되어있는 스피커이지만, 관객에게 영화 사운드의 음원은, 프레임 안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프레임 안과 밖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이야기 속 대상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관객은 그 대상의 위치를 사운드의 위치로 간주한다.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는 사운드공간영역이 갖는 내러티브 전달 기능에 대해 논의한다. 논의의 중요한 관점이 되는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공간성 표현의 역할 뿐 아니라, 사운드가 내러티브의 전달을 통해 예술성을 갖는데도 그 역할을 한다. 사실적 현실을 인간이 인식하는 현실로 재구현한 영화적 현실에서 사운드는, 정보적 의미정도에 따라 인식의 층위를 갖도록 디자인 되고, 이는 사운드의 물리적 속성조절을 통해 인위적으로 형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 Chion, Audio-Vision. Ed. and Trans. Claudia Gor bman.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50-54, 1994. 

  2. M. Chion, Audio-Vision. Ed. and Trans. Claudia Gor bman.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50, 1994. 

  3. M. Chion, Audio-Vision. Ed. and Trans. Claudia Gor bman.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73-78, 1994. 

  4. R. Bresson, Notes on Sound, In Weis, E., & Belton, J. (Eds.), Film Sound,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149, 1985. 

  5. R. Altman, Sound theory and sound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pp.44-45, 1992. 

  6. Minah Jeong, "Voice without image, and Acousmtre", Film Studies, Vol.35, pp.191-212, Mar. 2008. 

  7. Won-Tae Seo, "Study of sound space in film making ", Korean Film Association Conference Dissertations, pp.24-29, May 2005. 

  8. Chul-Hee Lim, "The dialectic of onscreen and offscreen space in film", Humanities Contents, Vol.27, pp.261-282, Dec. 2012. 

  9. Eun-Dong Kim, "Sound direction through listening point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1, Nov. 2014. 

  10. M. Chion, Audio-Vision. Ed. and Trans. Claudia Gor bman.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136, 1994. 

  11. B. Block, The Visual Story, Burlington, MA: Focal Press, 2008 

  12. M. Chion, Audio-Vision. Ed. and Trans. Claudia Gor bman.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10-20,1994. 

  13. A. M. Doane, Ideology and the Practice of Sound Editing and Mixing, In Weis, E. & Belton, J. (Eds.), Film Sound .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54 -62, 1985 

  14. M. Chion, Audio-Vision. Ed. and Trans. Claudia Gor bman.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31, 1994. 

  15. R. Altman, Sound theory and sound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2. 

  16. Dong-Hwan Lee, "The narrative elements of sound design for film",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13, No.4, p.477-486. Oct. 2013a. 

  17. R. Arnheim, Film as Art. Trans. Bangok Kim, Seoul, Kirinwon, 1990. 

  18. V. I. Pudovkin, Asynchronism as a Principle of Sound Film, In Weis, E., & Belton, J. (Eds.), Film Sound,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86-91,1985. 

  19. J. Belton, Technology and Aesthetics of Film Sound, In Weis, E., & Belton, J. (Eds.), Film Sound ,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p.63-72, 1985. 

  20. J. Belton, Technology and Aesthetics of Film Sound, In Weis, E., & Belton, J. (Eds.), Film Sound ,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67, 1985. 

  21. J. Belton, Technology and Aesthetics of Film Sound, In Weis, E., & Belton, J. (Eds.), Film Sound ,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64, 1985. 

  22. A. M. Doane, Ideology and the Practice of Sound Editing and Mixing, In Weis, E. & Belton, J. (Eds.), Film Sound .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23. Dong-Hwan Lee, "The narrative elements of sound design for film",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13, No.4, p.477-486. Oct. 2013a. 

  24. Dong-Hwan Lee, "The narrative elements of sound design for film",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13, No.4, p.477-486. Oct. 2013a. 

  25. M. Chion, Audio-Vision. Ed. and Trans. Claudia Gor bman.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p.59, 1994. 

  26. Dong-Hwan Lee, "Narrative functions of sound design in film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12, p.477-486, Dec.2013b. 

  27. R. Altman, Sound theory and sound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p.62, 1992. 

  28. Dong-Hwan Lee, "Narrative functions of sound desi gn in film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12, p.477-486, 2013b.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