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재활(CBR) 프로그램의 효과: ICF 모델에 근거한 메타분석
Effect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on Patients with Brain Injury: Meta-analysis Based on the ICF Mode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3, 2014년, pp.203 - 214  

차유진 (세명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세연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들의 지역사회재활의 효과를 ICF 요소별로 알아보고, 최근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 적용방법 등을 알아봄으로써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은 총 15건을 ICF 요소별로 나누어 효과크기 값을 구하였으며 대상 논문들의 동질성 검정과 출판편견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22였고, ICF 요소별 효과크기는 신체기능과 구조 0.21, 활동과 참여 0.20으로 작은(small)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메타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은 통계적 이질성이나 출판편견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본 연구 결과는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뇌손상 환자의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이 ICF 요소들인 신체기능과 구조, 활동과 참여 요소에 대한 변화 정도 즉 개입 효과를 잘 설명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on patients with brain injury by ICF factor in previous studies and examine the application of recent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Total 15 articles that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재활(CBR) 프로그램이 뇌손상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종합하였다. 또한 2000년 이후에 발표된 연구들의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ICF 모델에 근거하여 요소별로 알아봄으로써 다학제간 전문가들의 협력과 의사소통을 도와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뇌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재활(CBR) 프로그램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첫째,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개입 전문가들은 뇌손상 환자의 효과적인 치료 개입을 위한 중재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재활(CBR) 프로그램이 뇌손상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종합하였다. 또한 2000년 이후에 발표된 연구들의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를 ICF 모델에 근거하여 요소별로 알아봄으로써 다학제간 전문가들의 협력과 의사소통을 도와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 연구들의 ICF 요소별 메타분석을 통해 최근 재활 연구의 흐름을 반영한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효과 그리고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종류, 중재방법 등을 알아봄으로써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손상 질환이 치료 가능한 질환이라기보다 재활의 대상이라 볼 수 있는 이유는? 뇌 손상은 크게 외상성과 비외상성으로 구분한다.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해 매년 7만 명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장애로 인해 남은 생애 동안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4]. 비외상성 뇌손상인 뇌졸중의 경우도 대략 인구 십만 명당 201-483명에서 발생하며 이 환자들 중 17-50%가 사망하거나 후유증으로 다양한 형태의 장애를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5]. 이처럼, 뇌손상 질환은 손상 후 완전한 회복이 어려워 치료 가능한 질환이라기보다 재활의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6].
뇌 손상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뇌 손상은 크게 외상성과 비외상성으로 구분한다. 외상성 뇌 손상으로 인해 매년 7만 명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장애로 인해 남은 생애 동안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4].
뇌 손상과 관련된 증상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뇌 손상과 관련된 증상은 강직(spasticity), 비정상적 자세반사, 반사의 항진 등의 양성(positive)인 것과 근육 약화, 민첩성 소실 등의 음성(negative)인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1]. 뇌손상 환자들의 신경 전달의 문제, 시지각 능력의 감소와 주변 시계에 대한 민감성 손상, 감소된 말초 감각, 전정계의 기능 장애 등은 균형감을 감소시키며[2], 뇌 손상은 유형에 관계없이 발생률이 높을 뿐 아니라 사망이나 장애를 초래하는 비율 또한 높아서 사회적으로 크게 이슈가 되는 건강문제 중 하나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J. M. S. Pearce, "Positive and negative cerebral symptoms: The roles of Russell Reynolds and Hughlings Jackson,"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Vol.75, No.8, pp.1141-1148, 2004. 

  2. J. H. Carr and R. B. Shepherd,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Butterworth-Heinemann London, 2003. 

  3. D. R. Kim, "The effect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recovery of the integrity of the somatosensory pathway after brain dam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4, No.7, pp.1255-1264, 2004. 

  4. H. S. Oh, Y. R. Kim, W. S. Seo, and Y. O. Seo, "Development of an integrative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brain injured patients in the post-acute st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 No.2, pp.270-282, 2005. 

  5. T. A. Burke, R. N. Burke, and R. N. Venketasubramanian, "The epidemiology of stroke in the East Asian region: A literature based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Vol.1, No.4, pp.208-215, 2006. 

  6. M. A. Finlayson and S. H. Garner, Challenges in rehabilitation of individuals with acquired brain injury, Williams and Wilkins, 1994. 

  7. 정한영, ICF의 재활의학적 적용, 국립재활원, 2005. 

  8. 최원영, "외상성 뇌손상 장애인의 지역사회통합 수준 측정 및 관련 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제43권, 제2호, pp.135-164, 2004. 

  9. 정한용,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신경정신과 영역 치료", 생물정신의학, 제5권, 제1호, pp.71-82, 1998. 

  10. 원종임, "뇌졸중 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재활시스템의 필요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호, pp.16-26, 2008. 

  11. 김영근, "보건소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에서 작업치료 필요성 탐색-대구시 CBR 시범지역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3-24, 2007. 

  12. V. A. Wood,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troke," Journal of Public Health, Vol.18, No.4, pp.423-431, 1996. 

  13. 곽내화, 장기연, 안규환, 우희순, "ICF 기반 SPG 케이스 관리 틀 적용연구: 단일 척수손상환자를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0권, 제4호, pp.95-110, 2012. 

  14. P. J. Doyle, "Measuring health outcomes in stroke survivor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3, No.12, pp.39-43, 2002. 

  15. E. Helander, The management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3. 

  16. 고효은, 오명화, 백지영, 이재신, "지역사회 노인들의 활동 및 참여수준과 신체기능과의 관계: ICF를 기반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0권, 제4호, pp.15-28, 2012. 

  17. 이경석, "한국형 장애평가기준을 위한 제언", 보건의료정책 방향, 제6권, 제4호, pp.75-80, 2008. 

  18. 김지현, "뇌졸중 환자의 지역사회중심재활서비스: 사례연구",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제1권, 제2호, pp.31-43, 2011. 

  19. 이소연, 방요순, 김황용, 고영경, 손보영, "지역사회 작업치료 서비스 현황 및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지역사회연구, 제19권, 제3호, pp.77-91, 2011. 

  20. J. Portnow, T. Kline, M. A. Daly, S. M. Peltier, C. Chin, and J. R. Miller, "Multidisciplinary home rehabilitation. A practical model,"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Vol.7, No.4, pp.695-706, 1991. 

  21. H. Rodgers, J. Soutter, W. Kaiser, P. Pearson, R. Dobson, C. Skilbeck, and J. Bond, "Early supported hospital discharge following acute stroke: Pilot study results," Clinical Rehabilitation, Vol.11, No.4, pp.280-287, 1997. 

  22. 박영주, 장문영, 김경미, "지역사회 재활이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제2권, 제1호, pp.13-23, 2012. 

  23. 송주민, 김진상, "외상성 뇌손상의 손상 기전과 신경 가소성에 대한 고찰", 대한물리치료 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83-289, 2004. 

  24. L. Evans, "The efficacy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mes for adults with TBI," International Journal of Therapy and Rehabilitation, Vol.15, No.10, pp.446-458, 2008. 

  25. S. Hillier and G. Inglis-Jassiem, "Rehabilitation for community-dwelling people with stroke: Home or centre based?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troke, Vol.5, No.3, pp.178-186, 2010. 

  26. L. Legg, "Rehabilitation therapy services for stroke patients living at home: Systematic review of randomised trials," Lancet, Vol.363, No.9406, pp.352-356, 2004. 

  27. 박정임, 이금진, "정신분열병을 가진 사람들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309-320, 2013. 

  28. 이성대, 김선주, 염동문, "사회복지분야의 메타분석 논문에 대한 고찰과 제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호, pp.209-222, 2014. 

  29. M. Arbesman, J. Scheer, and D. Lieberman,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Vol.13, No.5, pp.18-22, 2008. 

  30. 이준영, "메타분석", 대한내분비학회지, 제23권, 제6호, pp.361-378, 2008. 

  31. R. Rosenthal and D. B. Rubin, "Comparing effect sizes of independent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Vol.92, No.2, pp.500-504, 1982. 

  32. 송혜향, 메타분석분석법, 자유아카데미, 1992. 

  33. L. Hedges, "Distribution theory for Glass's estimator of effect size and related estimators,"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Vol.6, No.2, pp.107-128, 1981. 

  34.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Erlbaum, 1988. 

  35. R. J. Simes, "Confronting publication bias: A cohort design for meta-analysis," Statistics in Medicine, Vol.6, No.1, pp.11-29, 1987. 

  36. 최영아, 서순림, 서부덕, "재가 뇌졸중 노인에게 적용한 고려수지요법을 포함한 재활프로그램의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81-291, 2004. 

  37. 홍명선,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패턴화된 감각향상 (PSE) 상지운동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2권, 제2호, pp.192-203, 2011. 

  38. I. M. Altman, S. Altman, D. Swick, J. F. Parrot, and J. F. Malec,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for 489 program completers compared with those precipitously discharged,"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91, No.11, pp.1697-1704, 2010. 

  39. T. Askim, S. Morkved, A. Engen, K. Roos, T. Aas, and B. Indredavik, "Effects of a community- based intensive 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early supported discharge after treatment in a comprehensive stroke uni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Vol.41, No.8, pp.1697- 1703, 2010. 

  40. G. J. Carnevale, "Changes in ratings of caregiver burden following a community-based behavior management program for person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Vol.17, No.2, p.83, 2002. 

  41. G. J. Carnevale, V. Carnevale, M. V. Anselmi, K. Johnston, V. Busichio, and V. Walsh, "A natural setting behavior management program for persons with acquired brain inju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87, No.10, pp.1289-1297, 2006. 

  42. L. Gilbertson, P. Langhorne, A. Walker, A. Allen, and G. D. Murray, "Domiciliary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stroke discharged from hospita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0, No.7235, pp.603-606, 2000. 

  43. S. Lord, K. M. McPherson, H. K. McNaughton, L. Rochester, and M. Weatherall, "How feasible is the attainment of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valuate community-based physiotherapy in subacute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Vol.22, No.3, pp.215-225, 2008. 

  44. P. A. Logan, J. R. F. Gladman, A. Avery, M. F. Walker, J. Dyas, and L. Groom,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o increase outdoor mobility after stroke," British Medical Journal, Vol.329, No.7479, pp.1-4, 2004. 

  45. C. J. Parker, J. R. F. Gladman, A. E. R. Drummond, M. E. Dewey, N. B. Lincoln, D. Barer, P. A. Logan, and K. A. Radford, "A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leisure therapy and conventional occupational therapy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Vol.15, No.1, pp.42-52, 2001. 

  46. J. Ponsford, H. Harrington, J. Olver, and M. Roper,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model of rehabilitation following traumatic brain injury,"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Vol.16, No.3, pp.315-328, 2006. 

  47. J. Powell, J. Heslin, and R. Greenwood,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after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Vol.72, No.2, pp.193-202, 2002. 

  48. M. J. Smith, F. L. Vaughan, L. J. Cox, H. McConville, M. Roberts, S. Stoddart, and A. R. Lew, "The impact of community rehabilitation for acquired brain injury on carer burden: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Vol.21, No.1, pp.76-81, 2006. 

  49. C. D. A. Wolfe, K. Tilling, and A. G. Rudd,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who remain at home: A pilot randomiz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Vol.14, No.6, pp.563-569, 2000. 

  50. J. J. Yu, Y. S. Hu, Y. Wu, W. H. Chen, Y. L. Zhu, X. Cui, W. B. Lu, Q. Qi, P. Y. Qu, and X. H. Shen,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on stroke patients in China: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multicentre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Vol.23, No.5, pp.408-417, 2009. 

  51. 차유진, 박수현,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치료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4호, pp.51-67, 2011. 

  52. N. Jenkinson, T. Jenkinson, D. Ownsworth, and D. Shum, "Util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in community-based brain injury rehabilitation," Brain Injury, Vol.21, No.12, pp.1283-1294, 2007. 

  53. C. D. Fisher and R. Gitelson, "A meta-analysis of the correlates of role conflict and ambigu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8, No.2, pp.320-333, 1983. 

  54. 문동규,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5권, 단일호, pp.133-157, 2012. 

  55. D. B. Pettiti, Meta-analysis, decision analysis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