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재활시스템의 필요성
Necessity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ystem after Strok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8 no.1, 2008년, pp.16 - 26  

원종임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뇌졸중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치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들은 장애를 갖게 된다. 이런 장애를 개선하기 위한 뇌졸중 치료의 주요 목적은, 환자들의 기능적 독립을 촉진시키고, 지역사회에 통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재활 적용시 중요한 점은 장애인과 그들의 가족 그리고 지역사회가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는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보장구, 간호 등 포괄적인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지역사회재활의 필요성에 대해 논구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intensive therapy, a large proportion of stroke survivors are left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To improve the disable condition, a major component of stroke management is aimed at facilitating functional independence and community reintegration. There are many evidences that community-b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지역사회의 시설과 자원을 최대한 이용하고, 장애인 자신과 가족, 지역사회 주민들이 참여함으로써 비용과 인력을 절감하는 지역사회 재활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CBR) 이 대두되었다[5].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재활 시스템구축의 필요성을 논구하기 위한 것이다.

가설 설정

  • 지역사회 재활 서비스의 내용에는 건강증진, 예방, 치료, 재활치료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심리치료 등)가 포함되고, 신체적 장애는 물론 정신적 장애가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직업으로의 연결이 되어야 한다. 넷째, 지속성 (continuity)이 필요하다. 일시적인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 스스로가 재활 서비스가 필요하지 않다고 느낄 때까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24].
  • 둘째, 환자 스스로 훈련을 통해 기능 희복을 해야 하므로 환자가 긍정적인 의지를 가지고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사회와 가족의 의지이다. 즉 가족과 사회의 직접적 도움, 심리적 격려, 긍정적 이해, 재정적 뒷받침이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보건복지부, 2007년 등록장애인 현황, 보건복지부, 2007. 

  2. 보건복지부, 장애등급 판정기준, 보건복지부, 2003.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4. 김병식, 뇌손상환자를 위한 낮병원 시범사업 보고서, 국립재활병원, 2001. 

  5. E. Helander, The management of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1983. 

  6. C .L. Sudlow and C. P. Warlow, Comparable stydies on the incidence of stroke and its pathological types: results from a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ternational Stroke Incidence Collaboration, Stroke, Vol.28, No.3, pp.491-499, 1997. 

  7. C. P. Warlow, Epidemiology of stroke, Lancet, Vol.352, suppl.3:SIIII1-4, 1998. 

  8. L. W. Pedretti, Occupational Therapy, The C. V. Mosby Company, 1985. 

  9. C. A. Trombly,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 Williams & Wilkins, 1977. 

  10. R. M. Scully and M. R. Barnes, Physical Therapy, J. B. Lippincott Company, 1988. 

  11. 지제근, 의학용어 큰사전, 아카데미아, 2004. 

  12. D. A. Umphred, Neurological Rehabilitation. The C. V. Mosby Company, 1990. 

  13.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Guide to Physical Therapist Practice, Physical Therapy, Vol.81, No.1, pp.9-749, 2001. 

  14. 전세일, 재활치료학, 계측문화사, 1998. 

  15. 박옥희, 장애인 의료재활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16. 박희찬, 장애인 직업, 인간과 복지, 1994. 

  17. J. A. Delisa and B. M. Gens, Rehabilitation Medicine: Principles and Practice, Lippincott-Raven Publishersa, 1998. 

  18. 김진호, 한태륜,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1997. 

  19. F. J. Kottke, G. K. Stillwell, and J. F. Lehmann,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W.B. Saunders Company, 1982. 

  20. J. Carod-Artal, J. A. Egido, and J. L. Gonzalez, Quality of life among stroke survivors evaluated 1 year after stroke, Stroke, Vol.31, No.12, pp.2995-3000, 2000. 

  21. P. Kim, S. Warren, and H. Madill, Quality of life of stroke survivor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8, No.4, pp.293-301, 1999.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ealth for all, series no 2. Strategies for health for all by year 2000, Geneva, WHO, 1979. 

  23. ILO, UNESCO and WHO,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for and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1994. 

  24. http://www.who.int/disabilities/cbr/en/ 

  25. R. G. Robinson, Poststroke depression: prevalence, diagnosis, treatment, and disease progression, Biological Psychiatry, Vol.54, No.3, pp.376-387, 2003. 

  26. J. I. Won,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group exercise in chronic stroke, Physical Therapy Korea, Vol.12, No.4, pp.1-6, 2005. 

  27. P. Enerby and D. T. Wade, Community rehabilitation in the United Kingdom, Clinical Rehabilitation, Vol.15, No.6, pp.577-581, 2001. 

  28. N. E. Mayo, S. Wood-Dauphine, and R. Cote, There is no place like home: an evaluation of early supported discharge for stroke, Stroke, Vol.31, No.5, pp.1016-1023, 2000. 

  29. L. von Koch, A. W. Wottrich, and L, Widen-Holmqvist, Rehabilitation in the home versus the hospital: the importance of context,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20, No.10, pp.367-372, 1998. 

  30. T. M. McMillan, and H Ledder, A survey of services provided by community neurorehabilitation teams in South East England, Clinical Rehabilitation, Vol.15, No.6, pp.582-588, 2001. 

  31. J. Gladman, A. Forster, and J. Young, Hospital- and Home-based rehabilitation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for stroke patients: analysis of two trials, Age and Ageing, Vol.24, No.1, pp.49-53, 1995. 

  32. L. A. Hale, Community-based or home-based stroke rehabilitation: confusion or common sense? New Zealand Journal of Physiotherapy, Vol.32, No.3, pp.131-139, 2004. 

  33. C. Ballinger, A. Ashburn, and J. Low, Unpacking the black box of therapy-a pilot study to describe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otherapy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Vol.13, No.4, pp.301-309, 1999. 

  34. V. A. Wood and R. L. Hewe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stroke, Journal of Public Health Medicine, Vol.18, No.4, pp.423-431, 1996. 

  35. 국립재활원, 2005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거점보건소 사업보고서, 2005. 

  36. H. Rodgers, J. Soutter, and W. Kaiser, Early supported ospital discharge following acute stroke: pilot study results, Clinical Rehabilitation, Vol.11, No.4, p.280, 1977. 

  37. 보건복지부, 장애인복지법령집, 2000. 

  38. 이충휘, 농촌 재가장애인의 가정방문 재활서비스 욕구도 분석, 보건복지부, 2000. 

  39. J. R. F. Gladman and N. B. Lincoln, Follow-up of a controlled trial of domiciliary stroke rehabilitation, Age and Aging, Vol.23, No.1, pp.9-13, 1994. 

  40. L. Widen-Holmqvist, L. von Koch, and V. Kostul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rehabilitation at home after stroke in southwest Stokholm, Stroke, Vol.29, No.5, pp.591-597, 1998. 

  41. D. T. Wade, F. M. Collen, and G. F. Robb, Physiotherapy intervention late after stroke and mobility, British Medical Journal, Vol.304, No.6827, pp.609-613, 1992. 

  42. P. Duncan, L. Richards, and D. Wallac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of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mild and moderate stroke, Stroke, Vol.29, No.10, pp.2055-2060, 1998. 

  43. A. A. Rodriquez, P. O. Black, and K. A. Kile, Gait training efficacy using a home-based practice model in chronic hemipleg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Vol.77, No.8, pp.801-805, 1996. 

  44. 김은영, 최정현, 김창엽, 뇌졸중 환자에 대한 지역사회 중심 사례관리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8-28, 2004. 

  45. 원종임,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를 위한 근력강화 운동과 보행훈련의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8-23, 2006. 

  46. 박창일, 이상건, 김미정, 일부 도시지역의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기초 요구도 조사,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6권, 제3호, pp.254-257, 2002. 

  47. 양산시 보건소,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활동사례집, 2003. 

  48. 최규철, 나은우, 윤승현, 재가 중증 뇌졸중 환자를 돌보는 주 보호자의 삶의 질,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9권, 제6호, pp.568-577, 2005. 

  49. 이규범, 임재영, 김완호, 지역사회 장애인의 보건의료 재활서비스 이용 실태, 대한재활의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75-181, 2004. 

  50. M. Pohl, J. Mehrholz, and C. Ritschel,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Vol.33, No.2, pp.553-558,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