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y Daily Living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A Single Subject Design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9 no.2, 2020년, pp.99 - 117  

문광태 (서울특별시북부지역장애인보건의료센터(서울재활병원 지정))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종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뇌졸중 진단을 받은 심한 장애인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9년 5월 21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17주간 총 25회기(기초선 A 5회기, 중재 기간 B 14회기, 기초선 기간 A' 5회기, 추적 기간 1회기)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 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진행되었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에 따라 중재 모델 선정 및 적용하였으며, 중재에는 과제 제공 및 피드백, 관련 정보 교육, 가정환경 수정, 지역자원 연계가 포함되었다.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기술의 빈도 변화, 작업수행 만족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는 선형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손 닿는 곳의 상의 입기, 침대에서 양말과 실내화 신기, 의자에 앉아 신발 신기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기술 평가 결과 대상자의 작업수행 기술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업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작업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대상자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 유형별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보편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on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disabled persons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upation quality and satisfaction. Met...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회기별로 대상자의 일상생활 활동하는 상황을 녹화 및 분석하여 작업수행 기술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중재 전후로 일상생활에서의 작업수행 기술의 질을 평가하고 그 효과가 지속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대상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및 작업 만족도를 알아보며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대상자에게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일상생활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MPS를 통해 작업수행 기술의 질을 측정하였다. 작업수행 기술 코드는 양말, 신발 신기끈을 묶어야 하는 것(P-5) 항목과 손 닿는 곳에 놓여있는 상의입기(P-6)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 증진을 위한 환경수정을 하였다. 가정환경수정은 환경의 장벽을 줄여 장애인의 능력을 개선하는 것으로 장애인이 일상생활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Keglovits, Somerville, & Stark, 2015).
  • , 1994).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호자가 회기별 과제 수행 및 그에 따른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하도록 과제 노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과제 수행도를 확인하였다. 매일 과제를 수행하고 그에 따른 반응을 과제 노트에 기록하고 대상자와 보호자가 변화에 대해 스스로 피드백을 받아 연구참여에 대한 내적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심한 뇌병변 장애인 대상자에게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 기술의 변화 및 작업수행 만족도 변화,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심한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통한 가정방문이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 작업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회기별로 대상자의 일상생활 활동하는 상황을 녹화 및 분석하여 작업수행 기술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중재 전후로 일상생활에서의 작업수행 기술의 질을 평가하고 그 효과가 지속하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회기별로 일상생활 과제를 하는 동안 나타나는 비효율적인 작업수행 기술의 빈도를 기록하였다. 선형그래프와 2SD Band를 통해 기록한 수치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 연구자는 뇌졸중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뇌졸중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 및 교육하였다. 제공된 교육은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을 참고하여 개개인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 및 교육하였다.
  • 지역자원 연계는 대상자의 특성과 욕구에 적합한지역 중심의 보건-의료-복지 자원 발굴 및 정보를 제공하는 것(KAOT, 2018)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연계해 드림으로써 대상자의 생활 편의와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수 있다. 연구자는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측면과 제도를 확인하는 충분히 이용하는지 확인하여 연계된 지역자원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티 케어란? 이러한 저변 환경의 변화 속에서2018년 3월 보건복지부는 ‘커뮤니티 케어 추진본부’를 구성하고 노인, 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케어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고 보고하였다. 커뮤니티 케어란 지역사회에서 통합적 보건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돌봄이 있어야 하는 사람들이 자택이나 그룹홈 등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복지급여와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가며 자아실현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인 사회서비스 체계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8).
가정방문작업치료의 주 대상자는 누구이며, 대상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역사회중심재활에서 가정방문작업치료의 주 대상자는 신체적 어려움으로 인해 외출이 어렵거나 재활의지가 없는 장애인이 많다. 주로 뇌병변 장애인을 위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뇌졸중 대상자는 발병 후 일시적 또는 영구적 기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활동의 제한과 지역사회 및 다양한 활동의 참여가 제한적이고 의존적이다(Gilen & Burkhardt, 2004). 뇌졸중의 주요 문제점 두 가지는 근육과 움직임의 기능 조절이 상실되어 일상생활활동이 제한되는 신체적 측면과 주의력, 기억력, 지남력 저하와 같은 인지적 측면이다(Kalaria & Ballard, 2001; Tatemichi et al.
시설 위주의 재활서비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시설 기반의 재활은 주 서비스 전달체계인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재활서비스를 말하며, 집중적인 치료가 요구되는 환자에게 적합한 중재 방법이다(Eskandar, Otai, & Mojibi, 2018). 다만, 시설 위주의 재활서비스로 인해 클라이언트가 실제 거주하는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의료비 부담은 커질 수밖에 없었으며(Bury, 2005), 퇴원 후 클라이언트의 건강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다시 재활을 위해 재입원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만성질환자가 증가하여 장기적인 관리의 필요에도 의료기관에서는 그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Lightfoot,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llen, L., Richardson, M., McIntyre, A., Janzen, S., Meyer, M., Ure, D., ... Teasell, R. (2014). Community stroke rehabilitation teams: Providing home-based stroke rehabilitation in Ontario, Canada. Canadian Journal of Neurological Sciences, 41(6), 697-703. doi:10.1017/cjn.2014.31 

  2.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AOTA). (2014).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48. doi:10.5014/ajot.2014.682006 

  3. An, T. G., & Kim, K. U. (2016). Need on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caregiving burden: Busan and south Gyeongsang areas centered around. Asia Culture Academy of Incorporated Association, 7(4), 117-132. 

  4. Askim, T., Morkved, S., Engen, A., Roos, K., Aas, T., & Indredavik, B. (2010). Effects of a community-based intensive 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early supported discharge after treatment in a comprehensive stroke uni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41(8), 1697-1703. doi:10.1161/STROKEAHA.110.584284 

  5. Bang, Y. S. (2007). The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3), 49-61. 

  6. Benvenuti, F., Stuart, M., Cappena, V., Gabella, S., Corsi, S., Taviani, A., ... Weinrich, M. (2014). Community-based exercise for upper limb paresis: A controlled trial with telerehabilitation.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8(7), 611-620. doi:10.1177/1545968314521003 

  7. Bury, T. (2005). Developmental articles primary health care and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Implications for physical therapy. Asia Pacific Disability Rehabilitation Journal, 16(2), 29-61. 

  8. Carpenter, L., Baker, G. A., & Tyldesley, B. (2001). The use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s an outcome of a pain management program.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8(1), 16-22. 

  9. Carr, J. H., & Shepherd, R. B. (2003). Stroke rehabilitation newton. Newton, MA: Butterworth Helenemann. 

  10. Coninck, L., Bekkering, G. E., Bouckaert, L., Declercq, A., Graff, M. J., & Aertgeerts, B. (2017). Home-and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improves functioning in frail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5(8), 1863- 1869. doi:10.1111/jgs.14889 

  11. Enderby, P., & Wade, D. T. (2001). Community rehabilitation in the United Kingdom. Clinical Rehabilitation, 15(6), 577-581. 

  12. Eskandar, M. E., Otadi, M., & Mojibi, T. (2018). Ranking the desirability indicator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CBR) based o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and Behavioral Sciences, 8(1), 7-11. doi:10.5923/j.ijpbs.20180801.02 

  13. Fisher, A. G. (2009).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A model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top-down, client-centered, and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Fort Collins, CO: Three Star Press. 

  14. Fisher, A. G., & Jones, K. B. (2010).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Vol. 1: Development. Standardization and administration manual(7th Ed.). Fort Collins, CO: Three Star Press. 

  15. Fisher, A. G., & Jones, K. B. (2014).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Vol. 2: User manual(8th ed.). Fort Collins, CO: Three Star Press. 

  16. Gillen, G., & Burkhardt, A. (2004). Stroke rehabilitation: A function-based approach. St. Louis, Mo: Mosby-Year Book. 

  17. Gitlin, L. N., Winter, L., Burke, J., Chernett, N., Dennis, M. P., & Hauck, W. W. (2008). Tailored activities to manage neuropsychiatric behaviors in persons with dementia and reduce caregiver burden: A randomized pilot study.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3), 229-239. doi:10.1097/JGP.0b013e318160da72 

  18. Graff, M. J., Vernooij-Dassen, M. J., Thijssen, M., Dekker, J., Hoefnagels, W. H., & Rikkert, M. G. O. (2006).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 givers: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ritish Medical Journal, 333(7580), 1196. doi:10.1136/bmj.39001.688843.be 

  19. Hsueh, I. P., Lin, J. H., Jeng, J. S., & Hsieh, C. L. (2002). Comparison of the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5 item Barthel index, and 10 item Barthel index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73(2), 188-190. doi:10.1136/jnnp.73.2.188 

  20. Kalaria, R. N., & Ballard, C. (2001). Stroke and cognition. Current Atherosclerosis Reports, 3(4), 334-339. 

  21. Kang, E. J., Shin, H. S., Park, H. J., Jo, M. W., & Kim, N. Y. (2006). A valuation of health status using EQ-5D. Korea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and Policy, 12(2), 19-43. 

  22. Keglovits, M., Somerville, E., & Stark, S. (2015). In-home occupational performance evaluation for providing assistance(I-HOPE Assist): An assessment for informal caregive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5), 1-9. doi:10.5014/ajot.2015.015248 

  23. Kim, J. H. (2011). Applic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A case of child with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9(2), 1-13. 

  24. Kim, M., & Park, S. (2015). The effects of personaliz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n occupational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ase studies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3(1), 41-51. doi:10.15268/ksim.2015.3.1.041 

  25. Kim, Y. M., & Cho, J. S. (2013). Comparis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on based CBR.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7(3), 273-289. 

  26. Kirkley, K. N., & Fisher, A. G. (1999). Alternate forms reliability of the 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Journal of Outcome Measurement, 3(1), 53-70. 

  27.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KAOT). (2018). Community care policy gathering. Retrieved from https://www.kaot.org/start.asp 

  28. Law, M., Cooper, B., Strong, S., Stewart, D., Rigby, P., & Letts, L. (1996). The person-environment-occupation model: A transactive approach to occupational performanc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3(1), 9-23. 

  29. Law, M., Polatajko, H., Pollock, N., Mccoll, M. A., Carswell, A., & Baptiste, S. (1994). Pilot testing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linical and measurement issues.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1(4), 191-197. doi:10.1177/000841749406100403 

  30. Law, M., Cooper, B., Strong, S., Stewart, D., Rigby, P., & Letts, L. (1996). The person-environmentoccupation model: A transactive approach to occupational performanc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3(1), 9-23. doi:10.11 77/000841749606300103 

  31. Lee, H. S. (2007). The intervention effects that lead a community-based stroke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and the participating students'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5(2), 105-115. 

  32. Lee, Y. K., Nam, H. S., Chuang, L. H., Kim, K. Y., Yang, H. K., Kwon, I. S., ... Kim, Y. T. (2009).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12(8), 1187-1193. doi:10.1111/j.1524-4733.2009.00579.x 

  33. Lightfoot, E. (2004).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 rapidly growing method for suppor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ternational Social Work, 47(4), 455-468. doi:10.1177/0020872804046253 

  34. Mahoney, F. I., & Barthel, D. W. (1965).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A simple index of independence useful in scoring improvement in the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ally ill.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14, 61-65. 

  35. Mayo, N. E., Wood-Dauphinee, S., Cote, R., Gayton, D., Carlton, J., Buttery, J., & Tamblyn, R. (2000). There's no place like home: An evaluation of early supported discharge for stroke. Stroke, 31(5), 1016-1023. 

  3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2017 Study on the disabled. Retrieved from https://www.data.go.kr/dataset/15004328/fileData.do 

  3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Community centered social service provision: Full scale promotion of community care. Retrieved from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6645 

  38. Noh, D. H., Han, S. H., Jo, E. J., Ahn, S. H., & Kam, K. Y. (2015). Effects of task-oriented activities on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hand injuries.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6(2), 1153-1163. doi:10.5762/KAIS.2015.16.2.1153 

  39. Olaogun, M. O. B., Nyante, G. G. G., & Ajediran, A. I. (2009). Overcoming the barriers for participation by the disabled: An appraisal and global view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African Journal of Physiotherapy and Rehabilitation Sciences, 1(1), 24-29. doi:10.4314/ajprs.v1i1.51312 

  40. Oh, E. Y. (2010). Application of assistive device on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an adult with hemiplegic stroke: A case report.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2(1), 1-6. 

  41. Polatajko, H. J., McEwen, S. E., Ryan, J. D., & Baum, C. M. (2012).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vestigating cognitive strategy use to improve go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6(1), 104-109. doi:10.5014/ajot.2012.001784 

  42. Radomski, M. V., & Latham, C. A. T. (2008). Occupational therapy for physical dysfunction(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43. Rostami, H. R., & Malamiri, R. A. (2012). Effect of treatment environment on modified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results i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4(1), 40-44. doi:10.3109/0 9638288.2011.585214 

  44. Shah, S., Vanclay, F., & Cooper, B. (1989).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the Barthel index for stroke rehabilit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42(8), 703-709. 

  45. Song, Y. J., & Cha, Y. J. (2015). Occupational therapy medical insurance review of issues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3(1), 123-135. doi:10.14519/jksot.2015.23.1.10 

  46. Tatemichi, T. K., Desmond, D. W., Stern, Y., Paik, M., Sano, M., & Bagiella, E. (1994). Cognitive impairment after stroke: Frequency, patterns, and relationship to functional abilitie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57(2), 202-207. 

  47. Yang, Y. A., An, S. J., Park, Y. H., Park, B. R., Heo, J., Park, J. S., ... Cho, M. L. (2011). A study of visiting rehabilitation service and implementation method.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3(1), 60-70 

  48. Yang, Y. R., Wang, R. Y., Lin, K. H., Chu, M. Y., & Chan, R. C. (2006). Task-oriented progressive resistance strength training improves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10), 860-870. 

  49. Yi, T. I., Han, J. S., Lee, K. E., & Ha, S. A. (2015).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and exercise of chronic stroke survivors using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ervices in seongnam city.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39(2), 234-242. doi:10.5535/arm.2015.39.2.234 

  50. Yoo, E. Y., Chun, S. I., Oh, H. C., & Chun, J. S. (1997). The cognitive perceptual performance in relation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8-19. 

  51. Walker, M. F., Gladman, J. R. F., Lincoln, N. B., Siemonsma, P., & Whiteley, T. (1999). Occupation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not admitted to hospit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354(9175), 278-280. doi:10.1016/ S0140-6736(98)1112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