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거울치료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n Effect of Mirror Therapy on Upper Extremity Function for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3, 2014년, pp.215 - 222  

박진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작업치료실) ,  허서윤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외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한 거울치료의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을 시행하였다. 2013년 8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고 2013년 10월 이전까지 국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PubMed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는 'mirror therapy', 'mirror neuron', 'stroke', 'paresis', 'hemiplegia', 'upper extremity를 사용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737편이었으나 프로토콜을 거쳐 선정된 9편의 연구가 선정 되었다. 다양한 중재방법을 통하여 거울치료의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측정도구로는 상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평가하는 도구가 사용되었다. 결과로 거울치료를 받은 실험군이 고식적인 치료나 위상치료를 받은 대조군보다 상지의 원위부인 손 기능 향상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중재방법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연구결과도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거울치료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며, 향후 국내연구에서는 다양한 중재방법을 적용하여 거울치료의 효과를 더 정확하게 측정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문헌분석 결과를 기초로 거울치료를 시행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years, mirror therapy or mirror neuron therapy has been used to improve neural damage of upper extremities among stroke patients. This systematic review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linical effect of mirror therapy used for the treatment of upper extremities for patients with stroke. After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서 거울치료의 효과에 대해 체계적 고찰을 통해 연구 대상자의 특성과 연구의 중재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 많은 장점과 더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거울치료는 뇌졸중 환자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에 적용되고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서 거울치료에 관한 중재효과의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연구 대상자의 특성과 고식적인치료와 비교한 거울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 이처럼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기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가 국외에서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거울치료에 대한 연구들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까지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국외 논문을 분석하고 근거를 제시하는 체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거울치료 계획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제공 및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비측 기능 회복을 위한 거울치료란 무엇인가? 거울치료(mirror therapy)는 이러한 뇌신경 가소성 원리의 치료 중 하나로 거울에 반영된 비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이 마비측 사지의 움직임인 것처럼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여 마비측 사지의 기능을 향상 시키는 치료 방법이다[10]. 거울치료는 절단 환자의 환상통(phantom pain)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 처음 사용되었으며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과 손의 외과적 수술(hand surgery) 후의 치료를 위한 사용되었다[11].
뇌졸중이란? 뇌졸중은 뇌의 혈액공급 중단과 뇌 조직의 출혈로 인하여 뇌 세포의 괴사가 발생하여 부분적인 신경학적 손상을 유발하는 뇌혈관 질환이다[1]. 뇌졸중 환자의 85%이상은 편마비가 발생하며 그 중 69%이상이 상지기능 손상을 가진다[2][3].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상지의 효율적인 움직임을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절가동범위 운동, 과제 지향적 운동, 근력강화운동, 상상훈련, 강제 유도운동치료 등의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4-6] 하지만 이러한 치료방법들은 치료사의 체력적인 부담을 많이 요구하며[7], 특히 상상 훈련의 경우 환자가 실제로 치료에 집중하는지 확인 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8].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기능 회복을 위해 신체적 재활과 더불어 인지적 중재를 통한 뇌신경의 가소성 원리의 치료가 필요하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World Health Organization, Stroke, cerebrovascular accident. Geneva (Switzerland): WHO, 2010. 

  2. C. Luke, K. J. Dodd, and K. Brock, "Outcomes of the Bobath concept on upper limb recovery following stroke," Clin Rehabil, Vol.18, No.8, pp.888-898, 2004. 

  3. S. L. Wolf, D. E. LeCraw, and L. A. Barton, "Comparison of motor copy and targeted biofeedback training techniques for restitution of upper extremity function among subjects with neurologic disorders," Phys Ther, Vol.69, No.9, pp.719-735, 1989. 

  4. T. Platz, C. Eickhof, S. Van-Kaick, U. Engel, C. Pinkowaki, S. Kalok, and M. Pause, "Impairment-oriented training or Bobath therapy for severe arm paresis after stroke: A single-blind, multicent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Vol.19, No.7, pp.714-721, 2005. 

  5. A. Richardson, "Mental practice: A review and discussion part 1," The Research quarterly of the AAHPER, Vol.38, No.1, pp.95-107, 1967. 

  6. E. Taub, N. E. Miler, T. A. Novack, E. W. Cook, W. C. Fleming, C. S. Nepomuceno, J. S. Connell, and J. E. Crago, "Technique to improve chronic motor deficit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Vol.74, No.4, pp.347-354, 1993. 

  7. X. L. Hu, K. Y. Tong, R. Song, X. J. Zheng, and W. W. Leung, "A comparison between electromyography-driven robot and passive motion device on wrist rehabilitation for chronic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23, No.8, pp.837-846, 2009. 

  8. A. Brodal, "Self-observations and neuroanatomical considerations after a stroke," Brain, Vol.96, No.4, pp.675-694, 1973. 

  9. 박상범, 김미현,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한 인지적 중재전략으로서의 운동심상과 활동관찰",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09-120, 2005. 

  10. J. A. Stevens and M. E. Stoykov, "Using motor imagery in the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Vol.84, No.7, pp.1090-1092, 2003. 

  11. B. Rosen and G. Lundborg, "Training with a mirror in rehabilitation of the hand," Scand J. of Plast Reconstr Surg Hand Surg, Vol.39, No.2, pp.104-108, 2005. 

  12. E. L. Altschuler, S. B. Wisdom, L. Stone, C. Foster, D. Galasko, D. M. Llewellyn, and V. S. Ramachandran,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fter stroke with a mirror," Lancet, Vol.353, No.9169, pp.2035-2036, 1999. 

  13. K. Sathian, A. L. Greenspan, and S. L. Wolf, "Doing it with mirrors: a case study of a novel approach to neuro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14, No.1, pp.73-76, 2000. 

  14. S. Sutbeyaz, G. Yavuzer, N. Sezer, and B. F. Koseoglu, "Mirror therapy enhances lower-extremity motor recovery and motor functioning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88, No.5, pp.555-559, 2007. 

  15. 우희순, 장기연, 박우권, "거울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1호, pp.93-103, 2011. 

  16. 유수전, 황기철, 김희정, 권혁철, "거울매개치료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9권, 제2호, pp.25-37, 2011. 

  17. 박주형, 강신욱, "국내 뇌졸중 환자들 대상으로한 거울치료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지, 제4권, 제2호, pp.15-22, 2012. 

  18.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Pedro scale. Retrieved from http://www.pedro.org.au/english/downloads/pedro-scale 

  19. G. Yavuzer, R. Selles N. Sezer, S. Sutbeyaz, J. B. Bussmann, F. Koseoglu, M. B. Atay, and H. J. Stam, "Mirror therapy improves hand func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89, No.3, pp.393-398, 2008. 

  20. C. Y. Wu, P. C. Huang, Y. T. Chen, K. C. Lin, and H. W. Yang, "Effect of mirror therapy on motor and sensory recovery in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Vol.94, No.6, pp.1023-1030, 2013. 

  21. H. Thieme, M. Bayn, M. Wurg, C. Zange, M. Pohl, and J. Behrens, "Mirror therapy for patients with severe arm paresi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Vol.27, No.4, pp.314-324, 2013. 

  22. C. Dohle, J. Pullen, A. Nakaten, J. Kust, C. Rietz, and H. Karbe, "Mirror therapy promotes recovery from severe hemipare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23, No.3, pp.209-217, 2009. 

  23. M. E. Michelsen, R. W. Selles, J. N. van der Geest, M. Eckhardt, G. Yavuzer, H. J. Stam, M. Smits, G. M. Ribbers, and J. B. Bussmann, "Motor recovery an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mirror therap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hase II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Vol.25, No.3, pp.223-233, 2011. 

  24. M. Invernizzi, S. Negrini, S. Carda, L. Lanzotti, C. Cisari, and A. Baricich, "The value of adding mirror therapy for upper limb motor recovery of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ur J. of Phys Rehabil Med, Vol.49, No.3, pp.311-317, 2013. 

  25. M. M. Lee, H. Y. Cho, and C. H. Song, "The mirror therapy program enhances upper-limb motor recovery and motor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Am J. of Phys Med Rehabil, Vol.91, No.8, pp.689-700, 2012. 

  26. A. Radajewska, J. A. Opara, C. Kucio, M. Blaszczyszyn, K. Mehlich, and J. Szczyqiel,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arm and hand function in subacute stroke in patients," Int J. of Rehabil Res., Vol.36, No.3, pp.268-274, 2013. 

  27. K. Matthys, M. Smits, J. N. Van der Geest, A. Van der Lugt, R. Seurinck, H. J. Stam, and R. W. Selles, "Mirror-induced visual illusion of hand movement: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rch Phys Med Rehabil, Vol.90, No.4, pp.675-681, 2009. 

  28. M. Iacoboni, L. M. Koski, M. Brass, H. Bekkering, R. P. Woods, M. C. Dubeau, and G. Rizzolatti, "Reafferent copies of imitated actions in the right superior temporal cortex," Proc Natl Acad Sci, Vol.98, No.24, pp.13995-13999, 2001. 

  29. H. S. Hendriks, J. Van Limbeek, A. C. Geurts, and M. J. Zwarts,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Phys Med Rehabil, Vol.83, No.11, pp.1629-1637, 2002. 

  30. S. J. Page, D. R. Gater, and P. Bach-Y-Rita, "Reconsidering the motor recovery plateau in strok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Vol.85, No.8, pp.1377-1381, 2004. 

  31. M. I. Garry, A. Lofus, and J. J. Summers, "Mirror, mirror on the wall: Viewing a mirror reflection of unilateral hand movements facilitates ipsilateral M1 excitability," Exp Brain Res, Vol.163, No.1, pp.118-122, 2005. 

  32. R. J. Seitz, P. Hoflich, F. Binkofski, L. Tellmann, H. Herzog, and J. H. Freund, "Role of the premotor cortex in recovery from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Arch Neurol, Vol.55, No.8, pp.1081-1088, 1998. 

  33. G. J. Yun, M. H. Chun, J. Y. Park, and B. R. Kim, "The synergic effects of mirror therapy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hand function in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Vol.35, No.3, pp.316-321, 2011. 

  34. 방요순, 김희영, 이문규,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 pp.202-210,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