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Motor Recovery Following a Stroke: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9 no.2, 2012년, pp.48 - 58  

이희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전혜선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rror therapy on motor function recovery following a stroke through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In total, nine of the 48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search engines between 1997 and 2011, as well as from a review of the referenc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거울치료는 운동기능 회복과 환측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사지의 기능을 증진시키는 새로운 치료 중재 방법으로(Stevens와 Stoykov, 2003) 최근에 운동 상상훈련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거울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거울치료의 효과에 대한 질적, 양적인 평가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계적으로 통합하여 거울치료를 통한 임상적 적용 가능성 및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거울치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실험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세부집단 분석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하는 점은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범주형 변수로 나눈 경우 해당 변수의 효과크기가 동질적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이며, 동질성 검정통계량 (Q)에 따라 랜덤효과 모형으로 다시 효과크기를 계산하기도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수가 적고 연구의 목적이 거울치료의 효과를 통합하려는데 있었기 때문에 제시하지 않았다. 연구특성에 따른 세부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특히, 상반되는 결과를 제시하는 수많은 연구들이 계속 누적되어 갈 때 연구들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종합하는 정량적인 분석방법이다(오성삼, 2002). 임상실무의 과학적인 기초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연구 결과들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축적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거울치료를 통한 뇌졸중 환자의 기능 향상에 관하여 발표된 기존의 해외 및국내 연구를 메타분석 방법으로 통합하여 거울치료를 통한 임상적 적용 가능성 및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거울치료의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하여 추후 뇌졸중 환자의 상상훈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근거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 재활훈련의 목표는 무엇인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를 위한 전통적인 물리치료에는 신경근 재교육에 근거한 운동치료 뿐 아니라 (Ryerson과 Levit, 1997) 보행훈련, 체중이동훈련과 같은 기능적인 과제수행 훈련 등이 포함된다. 재활훈련의 목표는 기본적으로 상지와 하지의 근력 강화와 함께 기능 향상에 초점을 맞추지만, 대부분의 환자들이 재활훈련을 지속적으로 받는 데는 많은 제한점이 따른다. 치료사의 1:1 도수적 접근이 몇 주간 요구되어(Hu 등, 2009) 장소와 비용 측면의 제한이 생기며, 환측 사지의 활동제한이 심할 경우 신체적 훈련에 거부감을 가지게 되어 치료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Blanton과 Wolf, 1999).
거울치료의 효과는 무엇인가? 상상훈련 방법 중 하나인 거울치료는 1996년에 Ramachandran과 Rogers-Ramachandran에 의해 처음 소개된 방법으로 거울을 이용한 시각적 착각, 환영 (illusion)을 통해 절단 후 나타나는 환상통(phantom pain)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Ramachandran과 Rogers-Ramachandran, 1996). 거울치료는 뇌신경이 구조적, 기능적으로 변화되고 재조직 화될 수 있다는 뇌 가소성 원리에 기반한 치료법으로 환측 사지의 움직임을 유도하여 운동기능 회복을 촉진한다. 기능적 뇌 영상 연구에서 정상인에게서도 거울을 활용한 움직이는 손의 반영이 반대측 손과 연결되어 있는 뇌의 일차 운동 영역을 흥분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Garry 등, 2005).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의 허혈성 또는 출혈성 손상으로 인한 신경학적 결함으로 운동장애, 지각 및 인지장애, 감각장애, 언어장애, 시각장애 등의 장애를 동반하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Dijkerman 등, 2004). 편측 움직임 조절의 어려움은 가장 전형적인 운동장애이며, 시기별로 급성기 환자의 약 80%, 만성기 환자의 약 50%가 편측 운동장애를 겪고 있다고 보고되었다(Hendricks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박상범, 김미현. 뇌졸중 환자의 재활을 위한 인지적 중재전략으로서의 운동심상과 활동관찰. 서울,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5;13(2):109-120. 

  2. 박소연, 신인수. 국내 노인을 대상으로 한 낙상예방 운동프로그램이 근력증가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11;18(3):38-48. 

  3. 백남영. 거울치료가 편마비환자의 하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1-45. 

  4. 오성삼. 선행연구 결과의 통합과 재분석을 위한 메타분 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14-15. 

  5. 우희순, 장기연, 박우권. 거울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1;19(1):93-103. 

  6. 유수전, 황기철, 김희정, 등. 거울매개치료가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1;19(2):25-37. 

  7. 이명모. 거울치료프로그램이 급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회복과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1-71. 

  8. 이준영. 메타분석. 서울, 대한내분비학회지. 2008;23(6): 361-378. 

  9. 이충휘.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연구방법론. 3판. 서울, 계축문화사, 2007:367-376. 

  10. Altschuler EL, Hu J. Mirror therapy in a patient with a fractured wrist and no active wrist extension. Scand J Plast Reconstr Surg Hand Surg. 2008;42(2):110-111. 

  11. Altschuler EL, Wisdom SB, Stone L, et al.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fter stroke with a mirror. Lancet. 1999;353(9169):2035-2036. 

  12. Basmajian JV, Gowland C, Brandstater ME et al. EMG feedback treatment of upper limb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82;63(12):613-616. 

  13. Blanton S, Wolf SL. An application of upper-extremity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a patient with subacute stroke. Phys Ther. 1999;79(9):847-853. 

  14. Cacchio A, De Blasis E, De Blasis V, et al. Mirror therapy i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of the upper limb in stroke patients.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8):792-799. 

  15. Carson RG. Neural pathways mediating bilateral interactions between the upper limbs. Brain Res Brain Res Rev. 2005;49(3):641-662. 

  1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24-40. 

  17. Cook DJ, Mulrow CD, Haynes RB. Systematic reviews: Synthesis of best evidence for clinical decisions. Ann Intern Med. 1997;126(5):376-380. 

  18. Cooper HM. Scientific guidelines for conducting integrative research review. Rev Educ Res. 1982;52(2):291-302. 

  19. Dijkerman HC, Ietswaart M, Johnston M, et al. Does motor imagery training improve hand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Clin Rehabil. 2004;18(5):538-549. 

  20. Dohel C, Pullen J, Nakaten A, et al. Mirror therapy promotes recovery from severe hemipare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3):209-217. 

  21. Dunsky A, Dickstein R, Marcovitz E, et al. Home-based motor imagery training for gait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08;89(8):1580-1588. 

  22. Ezendam D, Bongers RM, Jannink MJ.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mirror therapy in upper extremity function. Disabil Rehabil. 2009;31(26):2135-2149. 

  23. Feys H, Hetebrij1 J, Wilms G, et al. Predicting arm recovery following stroke: Value of site of lesion. Acta Neurol Scand. 2000;102(6):371-377. 

  24. Garry ML, Loftus A, Summers JJ. Mirror, mirror on the wall: Viewing a mirror reflection of unilateral hand movements facilitates ipsilateral M1 excitability. Exp Brain Res. 2005;163(1):118-22. 

  25. Grunert-Pluss N, Hufschmid U, Santschi L, et al. Mirror therapy in hand rehabilit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t Gallen protocol for mirror therapy and evaluation of a case series of 52 patients. Hand Ther. 2008;13(1):4-11. 

  26. Guillot A, Collet C. Contribution from neuro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methods to the study of motor imagery. Brain Res Brain Res Rev. 2005;50(2):387-397. 

  27. Hartman-Maeir A, Soroker N, Oman SD, et al. Awareness of disabilities in stroke rehabilitation- a clinical trial. Disabil Rehabil. 2003;25(1):35-44. 

  28. Hedges LV, Olkin I.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85:78-80. 

  29. Hendricks HT, van Limbeek J, Geurts AC, et al.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1):1629-1637. 

  30. Hu XL, Tong KY, Song R, et al. A comparison between electromyography-driven robot and passive motion device on wrist rehabilitation for chronic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8):837-846. 

  31. Jackson PL, Lafleur MF, Malouin F, et al. Potential role of mental practice using motor imagery in neurologic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1;82(8):1133-1141. 

  32. Jadad AR, Moore RA, Carroll D, et al.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 Clin Trials. 1996;17(1):1-12. 

  33. Karmarkar A, Lieberman I. Mirror box therapy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naesthesia. 2006;61(4):412-413. 

  34. Kerlikowske K, Grady D, Rubin SM, et al. Efficacy of screening mammography: A meta-analysis. JAMA 1995;273(2):149-154. 

  35. LeLorier J, Gregoire G, Benhaddad A, et al. Discrepancies between meta-analyses and subsequent larg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 Engl J Med 1997;337(8):536-542. 

  36. McCobe CS, Haigh RC, Ring EF, et al. A controlled pilot study of the utility of mirror visual feedback in the treatment of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1). Oxford, Rheumatology. 2003;42(1):97-101. 

  37. Michielsen ME, Selles RW, van der Geest JN, et al. Motor recovery and cortical reorganization after mirror therap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 phase II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1;25(3)223-233. 

  38. Olney SJ, Richards CL. Hemiparetic gait following stroke, part I: characteristics. Gait Posture. 1996;4:136-148. 

  39.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26(6):982-989. 

  40. Ramachandran VS, Rogers-Ramachandran D. Synaesthesia in phantom limbs induced with mirrors. Proc Bilo Sci. 1996;263(1369):377-386. 

  41. Riccio I, Iolascon G, Barillari MR, et al. Mental practice is effective in upper limb recovery after stroke: A randomized single-blind cross-over study. Eur J Phys Rehabil Med. 2010;46(1):19-25. 

  42. Rosen B, Lundborg G. Training with a mirror in rehabilitation of the hand. Scand J Plast Reconstr Surg Hand Surg. 2005;39(2):104-108. 

  43. Rosenfeld RM, Post JC. Meta-analysis of antibiotics for the treatment of otitis media with effus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2;106(4):378-386. 

  44. Ryerson S, Levit K. Functional Movement Reeducation: A contemporary model for stroke rehabilitation.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997:1-13. 

  45. Sathian K, Greenspan AI, Wolf SL. Doing it with mirrors: A case study of a novel approach to neuro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0;14(1):73-76. 

  46. Shumway-Cook A, Silver IF, LeMier M, et al. Effectiveness of a community-based multifactorial intervention on falls and fall risk factors in community-living older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7;62(12):1420-1427. 

  47. Smart CR, Hendrick RE, Rutledge JH 3rd, et al. Benefit of mammography screening in women ages 40 to 49 years: Current evidence from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ancer. 1995;75(7): 1619-1626. 

  48. Stevens JA, Stoykov ME. Using motor imagery in the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Arch Phys Med Rehabil. 2003;84(7):1090-1092. 

  49. Sutbeyaz S, Yavuzer G, Sezer N, et al. Mirror therapy enhances lower-extremity motor recovery and motor functioning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7;88(5):555-559. 

  50. Thirumala P, Hier DB, Patel P. Motor recovery after stroke: Lessons from functional brain imaging. Neurol Res. 2002;24(5):453-458. 

  51. Williams RL, Chalmers TC, Strange KC, et al. Use of antibiotics in preventing recurrent acute otitis media and in treating otitis media with effusion: A meta-analytic attempt to resolve the brouhaha. JAMA 1993;270(11):1344-1351. 

  52. Yavuzer G, Selles R, Sezer N, et al. Mirror therapy improves hand function in subacute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2008;89(3):393-3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