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공간에서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 장소감 형성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the Creation of Children's 'Sense of Place' followed by their Development Stages within the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21 no.1, 2014년, pp.13 - 22  

이예지 (한양대 건축학부) ,  황희준 (한양대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sense of place' followed by their development stages and to suggest a positive space design of school suited by their development. Haeng-Hyeon Elementary school was selected as the target area.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섯째, 앞서 연구한 장소의 인지와 장소에 대한 애착의 정도를 발달단계별로 정리하였다. 각 발달단계에서, 인지와 애착의 형성이 잘 된 장소가 어디인지와 그 요인이 무엇인지를 정리하였다.
  • 또한, 초등학교는 8세에서 13세까지 다양한 발달단계의 아동이 사용하는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초등학교는 발달단계에 따라 다른 공간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발달단계가 다른 아동이 사용하는 공간을 획일적으로 계획하는 것이 아니라, 발달단계별로 차별화된 공간계획이 필요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다.
  • 본 연구는 현상학적 담론에서 시작되는 장소개념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장소감의 형성 정도를 장소의 인지와 애착의 정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방법으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인지도 그리기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2013년 4월 22일에 이루어졌다.
  • 대상지로는 다양한 발달단계의 아동들이 공통된 공간을 사용하는 초등학교 한 곳을 선정하였다. 이는 물리적 환경을 통제하고, 서로 다른 발달단계 그룹이 장소감 형성에 차이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대상지는 도심형 소규모 초등학교이면서 학교 공간에 대해 만족도가 높은 행현 초등학교이며 130명의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 이를 위해 각 발달단계별로 장소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간구성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긍정적인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학교에 애착을 갖게 하고, 그들의 학교생활과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획일화된 학습공간이 아니라 초등학생들의 다양한 학습발달단계에 부합하는 적절한 학습 공간 및 학교시설의 차별화 된 계획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 이를 위해 각 발달단계별로 장소감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간구성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에 부합하는 긍정적인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학교에 애착을 갖게 하고, 그들의 학교생활과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도록 하며, 궁극적으로, 획일화된 학습공간이 아니라 초등학생들의 다양한 학습발달단계에 부합하는 적절한 학습 공간 및 학교시설의 차별화 된 계획 방향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 장소감(sense of place)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기는 어려 우나, 본 연구에서는 인지와 애착의 정도로 학생들의 장소감 형성을 알아보았다. 초등학교에서 장소감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공간과 그 공간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와 생각을 발달단계별로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소 정체성(place identity)’, ‘장소감(sense of place)’, ‘장소성(placeness)’은 어떤 용어인가? 세 용어 모두 장소의 인지된 특성을 말한다. 즉, 인간이 장소 경험을 통해 애착을 느끼면서 형성된, 한 장소에 고유하면서 동시에 다른 장소와 차별적인 특성2)을 일컫는 용어이다. 각 용어는 같은 의미이지만 차이가 존재한다.
장소 관련 개념인 장소 정체성, 장소감, 장소성의 특징은? 각 용어는 같은 의미이지만 차이가 존재한다. ‘장소의 정체성’은 장소를 중심으로 표현한 용어인 반면 ‘장소감’은 인간 중심으로 표현한 것으로, 장소를 어떻게 지각하고, 경험하고, 의미화 하는가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또한, ‘장소성’은 사회적 성격을 나타내는 반면, ‘장소감’은 개인적 성격을 띤다.3)
장소 관련 개념으로 무엇이 있는가? 장소 관련 개념으로는 ‘장소 정체성(place identity)’, ‘장소감(sense of place)’, ‘장소성(placeness)’이 있다. 세 용어 모두 장소의 인지된 특성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Derr, V., Children's Sense of Place in Northen New Mexico,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02. 

  2. Hart, R., Children's Experience of Place, Environmental Psychology Program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947. 

  3. Kim, Eun-Ju, A Study on Child's Formation of Placeness According to Resident Type,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7. 

  4. Lee, Jung-Hwa, The Effect of audience's culture on the sense of place, Daegu National Univ. of Education, 2004. 

  5. Relph, E., Place and Placenessless, London:Pion, 1976. 

  6. Rieh, Sun-Young, Research on the Aspects of Favorite Place in Urban Mini School-Sense of Place in the Elementary School without Playground,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7 No.4 pp.79-86, 2011. 

  7. Sung, Youn-mi,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Nested Hierarchy of Spa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0. 

  8. Tuan, Yi-fu, Space & Pla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Minnesota, 197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