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일용직 플랜트 건설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건강증진행위
Study on the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Disorder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Daily Plant Construction Workers in One Area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3 no.1, 2014년, pp.28 - 38  

김자숙 (동강대학교 간호학과.전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김자옥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서지영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김학선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is a correlative study to assess the relationships of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disorder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daily plant construction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comprised of 306 daily plant construction workers by self-reported questionna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건강 유해인자에 노출되어 있는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건강증진행위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간호중재로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근골격계 질환 자각 증상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4.
  • 본 연구는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에서 살펴보면 연구적 측면은 지금까지 간호학적 접근이 힘들어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를 규명하였고, 임상적 측면은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의 양성률에 비해서 진료를 받고 있지 않는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행태를 파악하여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 시킬 수 있으며, 교육적 측면은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를 위한 보수교육 중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을 감소시키고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파악하고,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정책 수립을 돕고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 체계적인 건강검진, 노동의 강도에 맞는 적절한 휴식 시간 제공과 근골격계 질환 자각증상 발견시 신속한 치료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일용직 플랜트 건설 근로자를 대표할 수 있는 일 지역을 선정하여 다수의 근로자의 참여를 유도 하였으며, 단순히 근골격계 질환 자각 증상 조사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여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 근로자들이 많은 통증을 겪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의 건설공사는 신기술, 신공법이 적극 도입되고, 건물 구조물 자체가 점차 고층화, 대형화 추세에 있어 일시에 많은 인원이 동원되며, 사용 설비도 복잡 다양화됨에 따라 위험요소도 증가되고 있다(Kwon, 2010). 그리고 이들은 반복 또는 지속적인 작업, 과도한 힘쓰기, 작업상의 부적절한 자세, 기후에 따른 잦은 근무환경 변화, 무거운 장비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목, 허리, 상 ‧ 하지 등의 통증을 수반하게 된다(Welch, Rosenstock, Cullen, Brodkin, & Redlich, 2005). Kim (2007)에 의하면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은 사업장에서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이런 집단적인 발생 경향은 사업장내에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정보의 확산, 사회문화적 조건의 성숙과 같이 기폭제가 주어지면 잠재되어 있던 질환자가 더 많이 알려질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최근의 건설공사에서 위험요소가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Holmstom과 Engholm (2003)에 의하면 근골격계 질환 자각 증상은 나이에 따라 증가한다고 하였다. 최근의 건설공사는 신기술, 신공법이 적극 도입되고, 건물 구조물 자체가 점차 고층화, 대형화 추세에 있어 일시에 많은 인원이 동원되며, 사용 설비도 복잡 다양화됨에 따라 위험요소도 증가되고 있다(Kwon, 2010). 그리고 이들은 반복 또는 지속적인 작업, 과도한 힘쓰기, 작업상의 부적절한 자세, 기후에 따른 잦은 근무환경 변화, 무거운 장비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목, 허리, 상 ‧ 하지 등의 통증을 수반하게 된다(Welch, Rosenstock, Cullen, Brodkin, & Redlich, 2005).
건강증진행위란 무엇인가? 건강증진행위란 개인이나 집단이 최적의 안녕상태를 이루고 자아실현 및 개인적 욕구 충족을 유지, 증진하려는 행위로서(Pender, 1996) 생물학적 환경, 생활양식, 건강관리체계 및 사회 ‧ 물리적 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하였다(Lee, Kim, Kim, & Kim, 2000). Kim, Park과 Roh (2005)의 연구에 의하면 건강 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건강증진행위의 필요성을 자각하여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의 인적관리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igos, S. J., Battie, M. C., Spengler, D. M., Fisher, L. D., Fordyce, W. E., & Hansson, T. J. (1991). A prospective study of work perceptions and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the report of back Injury. Spine, 16 (1), 1-6. 

  2. Choi, J. W., Yeom, Y. T., Song, D. B., Park, J. T., Jang, S. H., & Chok, J. A. (1996). Musculoskeletal diseases of upper extremities among the electronic assembly workers and telecommunication workers. Korean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8, 301-319. 

  3. Hales, T. R., Sauter, S. L., Peterson, M. R., Fine, L. J., Anderson, V. P., Schlhifer, L. R., et al. (1994).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visual display terminal users in a telecommunication company. Ergonomics, 37, 1603-21. 

  4. Holmstrom, E., Engholm, G. (2003).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relation to age and occupation in Swedish construction worker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4, 377-384. http://dx.doi.org/10.1002/ajim.10281 

  5. Kim, J. O., Kim, J. S., Park, A. Y., & Han, S. J. (2013).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ire offic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 218-227. http://dx.doi.org/10.5807/kjohn.2013.22.3.218 

  6. Kim, S. S., Park, J. S., & Roh, Y. S. (2005). The relationship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ceived health status, body ima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hospital nur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 88-99. 

  7. Kim, S. Y. (2007).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 model o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women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 624-633. 

  8. Kim, Y. M., Jeong, I. S., & Hong, O. S. (2010). Predictors of hearing protection behavior among power plant workers. Asian Nursing Research, 4, 10-18. 

  9. Ko, D. S. (2012). Relations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industrial worker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7, 1463-9. 

  10.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3). Musculoskeletal burden work damage factor survey guide. KOSHA Code H-30-2003. 

  11.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09). Analysis of 2007's industrial accidents. Retrieved August 8, 2009, from http://www.kosha.or.kr 

  12.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2003). Musculoskeletal disease. and trade unions action guide - Is your labor safe? 3-7. 

  13.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0).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2008. Retrieved June 14, 2010, from http://www.kostat.go.kr 

  14. Kwon, Y. J. (2010). Occupational Diseases of Construction Industry. Hanyang Medical Reviews, 30, 290-95. 

  15. Lee, B. S., Kim, M. Y., Kim, M. H., & Kim, S. K. (2000).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0, 213-224. 

  16. Lee, C. N. (2007).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Ergonomic Work Posture Analysis of Operation Room Nurses in a Cancer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Lee, S. H., & Chon, M. Y. (2004).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labor workers at the cement manufacturing compan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1 (3), 35-51.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09). Annual report on industrial accident 2008. Retrieved December 30, 2009 from https://www.moel.go.kr/view.jsp?cate3&sec3&smenu4&modeview&stateA&bbs_cd107&idx1262139985653&seq1262139985653 

  1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 Working status of firms in 2008. Retrieved June 4, 2010, from http://kosis.kr 

  20.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0). NIOSH health hazard evaluation report. HETA 89-250-2046. 

  21. Park, A. S. (2011). ICU nurses' Job Stress,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2. Pender, N. J. (1996).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 Stamford, CT: Appleton and Lange. 

  23. Shim, Y. B. (2010). A case study on partnership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Journal of Improvement and Skills Development, 13 (1), 49-73. 

  24. Son, Y. J., & Park, Y. R. (2011). Relationship between sleep quality, fatigue and depression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shift-work patterns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Korean Biology Nursing Science, 13 , 229-237. 

  25.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2), 76-81. 

  26. Welch, L. S., Rosenstock, L., Cullen, M. R., Brodkin, C. A., & Redlich, C. A. (2005). Construction industry hazards (2nd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Publishing Company. 

  27. Woo, N. H., & Kim, S. Y. (2009).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70-280. 

  28. Yoo, S. W., Lee, H. E., Koh, D. H., Kim, K. S., Kim, T. W., Kim, M. G., et al. (2011).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non-fatal occupational injuries in construction workers in Korea. Korean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23, 9-17. 

  29. Yoon, S. I., Choi, J. W., Kim, H. J., & Lee, E. I. (2006). A study on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the visiting housekeeper.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5, 14-29. 

  30. Yoon, S. Y., & Kim, J. H. (1999).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8 , 130-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