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직 근로자의 A, B형 성격유형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ur according to the Type A/B Personality of White Collar Work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4, 2013년, pp.305 - 313  

최진이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간호학과) ,  박영미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ur in office workers according to the type A/B personalit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249 work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Measures were a health promoting behaviour, the typ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증진에 위협을 많이 받고 있는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A, B형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등의 요인이 건강증진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증진행위의 이행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A, B형 성격유형에 따른 사무직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A, B형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및 건강증진행위 수준의 차이를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 및 성격유형별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전략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A, B형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차이를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사무직 근로자들의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A, B형 성격유형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지각된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전략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질병의 발생 빈도 순서는? 2010년 근로자 일반 건강검진 결과 이상소견 근로자는 전년에 비해 18.6%가 증가하였고, 일반질병은 신경감각기질환, 소화기질환, 내분비질환, 호흡기질환, 순환기질환, 기타 질환, 혈액・조혈기질환의 순으로 나타났다(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또한 사무직 근로자의 경우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장시간의 좌식생활, 장시간 컴퓨터 사용으로 인해 위장장애나 목과 허리의 통증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 두통, 체중이 증가하고, 스트레스는 혈압, 심박 변이성, 음주 및 흡연과 매우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 2008; Lee & Jung, 2008).
국내 근로자의 인원과 비율은? 국내 인구는 최근 5,000만명 시대에 도달했으며 그중 근로자는 경제활동이 가능하고 노인 및 영유아, 청소년 등을 부양하는 인구로서 근로자의 건강은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할 수 있다. 국내 근로자는 약 770만 명으로 그중 사무직 근로자는 213만 명을 차지하며 전체 근로자의 2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국내 근로자 중 사무직 근로자에 대한 위협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2010). 이 중 사무직 근로자는 현대 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과다 경쟁, 조기퇴직, 불규칙한 생활, 음주 및 흡연 등 건강증진에 많은 위협을 받고 있다. 2010년 근로자 일반 건강검진 결과 이상소견 근로자는 전년에 비해 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Mashaan, O. S. (2001).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ir relation to neuroticism, type a behavior, and locus of control among Kuwaiti personnel. Psychological Reports, 88 (3 Pt2), 1145-1152. 

  2. Cha, K. T., Kim, I. W., Koh, S. B., Hyun, S. J., Park, J. H., Park, J. K., et al. (2008).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al stress with self-perceived fatigue in white collar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 (3), 182-192. 

  3. Cha, N. H., Lim, S., Jung, I. T., Kim, S. Y., An, K, A., Kim, K. S., et al. (2005). A study on type A behavior pattern (TABP), stress, depression and HIT-6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headache.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7 (4), 265-273. 

  4. Cho, K. H., Bae, N. K., Park, J. A., & Cho, Y. C. (2008).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di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33 (1), 11-26. 

  5. Choi, Y. S. (2008). A study on relation of job stress, heart rate variability, blood pressure and lifestyle on white-collar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 (2), 250-259. 

  6. Cooper, H., Okamura, L., & McNeil, P. (1995). Situation and personality correlat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activity and personal control.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9, 395-417. 

  7. Jang, I. S. (2009).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health-related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patterns of male workers at a steel facto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2), 153-164. 

  8.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n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social, behavioral, and biochem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 39, 175-191. 

  9. Friedman, M., & Rosenman, R. H. (1959). Association of specific overt behavior pattern with blood and cardiovascular finding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96 , 1286-1296. 

  10. Hallberg, U. E., Johansson, G., & Schaufeli, W. B. (2007). Type A behavior and work situation: associations with burnout and work engagement.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8, 135-142. http://dx.doi.org/10.1111/j.1467-9450.2007.00584.x 

  11. Haynes, S. C., Levine, S., Scotsh, N., Feinleib, M., & Kannel, W. (1978).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to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Framingham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07 (5), 362-383. 

  12.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7-129. 

  13.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0). Working condition according to employment type. Retrieved November 15, 2012,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 

  14. Kuper, H., Marmot, M., Hemingway, H. (2002).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of psychosocial factors in the etiology and prognosis of coronary heart disease. Seminars in Vascular Medicine, 2 (3), 267-314. 

  15. Lee, H. R. (1997). A study on the type A behavior pattern and health locus of control in the coronary heart disease patient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9 (3), 531-544. 

  16. Lee, M. J. (2004). Prediction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ur of the workers in an area.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5 (1), 102-109. 

  17. Lee, K. A. (2010). A study on the fatigue and health state according to the type A/B personality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 Dong University, Gangneung. 

  18. Lee, S. H. (2003). Interests, cognitions, practices about health behaviors and job commitments among white collar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Busan. 

  19. Lee, Y. M., & Jung, M. H. (2008). Economic impact according to health problems of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 612-629. 

  20. Matthews K. A., Glass D. C., Rosenman, R. H., & Bortner, R. W. (1977). Competitive drive, pattern A, and coronary heart disease: A further analysis of some data from the Western Collaborative Group Study. Journal of Chronic Disease. 30 (8), 489-498. 

  21.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2). The result of Health Examination for Workers in 2010. Retrieved July 10, 2013, http://www.moel.go.kr/search/search.jsp. 

  22. Oh, J. K. (2000). Structural modeling of stress, life style and health status in industrial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2 (1), 26-40. 

  23. Park, I. S. (1995). A study if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24. Park, J. W. (1985). A study for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5. Park, K. C., Lee, K. J., Park, J. B, Min, K. B., & Lee, K. W. (2008).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 (3), 215-224. 

  26. Parker, D. F., &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2, 160-177. 

  27. Rosenberg, M. (1965). Social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Seo, H. S. (2002). A study on job satisfaction related to causes of job stress among social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gi University, Suwon. 

  29. Sohn, Y. J., Yang, Y. R., Kwon, H. Y., Lee, Y. K., Lee, J. H., Lee, E. M., et al. (2001). The association between type A behavior pattern and hypertension among adults in a rural area.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38 (1), 72-83. 

  30. Yoon, H. S., Kim, H. L., Kwon, I. S., & Cho, Y. C. (2008). Type A behavior pattern and its association with stress, depression and fatigue in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in Nursing 17 (2), 180-190. 

  31. Yoshimasu, K., Liu, Y., Kodama, H., Sasazuki, S., Washio, M., Tanaka, K., et al. . (2000). Job strain, Type A behavior pattern, and the prevalence of coronary atherosclerosis in Japanese working me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9 (1), 77-8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