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영양 및 위생·안전관리 방문교육지원 효과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Effects of Periodic Visiting Education Support on Nutrition and Hygiene Practices at Center for Childeren's Foodservice Management -Focus on Ulsan Area-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2 no.1, 2016년, pp.1 - 12  

이지혜 (울산대학교 식품영양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nutrition and food safety management support by the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i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in the Ulsan area. From December 2014 to July 2015, the status of nutrition practices and h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순회방문 교육지원이 어린이 급식소의 영양관리 및 위생ㆍ안전 관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울산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50인 이상 100인 미만의 어린이 급식소를 대상으로 영양 및 위생관리에 대한 평가를 방문교육지원 전과 방문교육지원 후를 비교하여 효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영양 및 위생관리에 대한 실태조사는 어린이 급식소 위생점검표(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 2015)에 의한 항목들에 의해 검증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영양 및 위생ㆍ안전관리 방문교육 지원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울산지역 일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한 어린이 대상 집단급식소를 대상으로 순회방문 지도에 따른 영양관리 개선효과와 위생ㆍ안전관리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내용은 일반사항 6문항, 영양관리내용은 총 10항목, 위생ㆍ안전관리 내용은 시설환경영역, 개인위생영역, 원료사용영역, 공정관리영역, 보관관리영역의 총 5영역에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 어린이 급식소 원장 및 조리종사자에게 영양 및 위생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순회방문 지도를 하는 것은 중요하나, 100인 미만의 영양사 고용 의무가 없는 어린이 대상 급식소는 위생교육 및 훈련을 할 전문가가 없는 실정이며 방문교육지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구체적인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 일부 지역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에 등록된 어린이 대상 급식소를 대상으로 하여, 영양 및 위생ㆍ안전관리 실태를 지원 전과 지원 후로 비교하여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다양한 교육 및 위생안전 방문교육지원 효과에 대한 검증은 향후 어린이 급식관리사업의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행연구에 따른 국내 어린이급식의 문제점은? 외국의 사례와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영ㆍ유아의 영양, 급식ㆍ간식관리, 위생, 안전 등에 대한 지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급식의 질적 수준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국내 어린이급식의 문제점은 ‘급식관리 전문가의 부재로 인한 비위생적인 급식관리’, ‘비전문가에 의한 식단 작성’, ‘전문 인력의 부재’, ‘급식 소요재원’과 ‘급식시설설비를 갖추기 위한 재원조달 부족’, ‘주방시설 낙후로 인한 위생관리 소홀’, ‘운영자의 위생 인지도 결여’, ‘급식 관리기준 미비’ 등이 지적되고 있다(Jo 1998; Lee 등 1999b; Lee 등 2001; Chang & Kim 2003; Yun 2008).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2008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함으로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법적 근거를 확보하였다(Yun 2013).
우리나라 보육 시설의 급식 안전 및 영양관리 문제점이 발생한 이유는? 우리나라 보육시설의 경우 양적으로는 증가하였으나 규모가 작은 어린이집은 영양사가 배치되지 못하거나 급식관리 대상에 속하지 못함으로써 급식 안전 및 영양관리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Jeong 2015). 보육통계에 따르면 2013년 어린이집 43,700개 중 영양사를 둔 어린이가 100명 이상인 어린이집은 전체의 4.
국내 어린이급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설치한 것과 그 특징은? 선행연구에 의하면 국내 어린이급식의 문제점은 ‘급식관리 전문가의 부재로 인한 비위생적인 급식관리’, ‘비전문가에 의한 식단 작성’, ‘전문 인력의 부재’, ‘급식 소요재원’과 ‘급식시설설비를 갖추기 위한 재원조달 부족’, ‘주방시설 낙후로 인한 위생관리 소홀’, ‘운영자의 위생 인지도 결여’, ‘급식 관리기준 미비’ 등이 지적되고 있다(Jo 1998; Lee 등 1999b; Lee 등 2001; Chang & Kim 2003; Yun 2008).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2008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을 제정함으로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법적 근거를 확보하였다(Yun 2013).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영양사 고용 의무가 없는 50인 이상∼100인 미만의 어린이집 및 유치원을 대상으로 순회방문, 대상별 집합교육, 급식소 컨설팅, 식단 제공, 교육자료 개발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급식운영 전반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 2015). 2010년에 시범운영이 시작되었으며 2014년 11월 말 기준 전국 117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 SJ, Moon HK (2015): Assessment and corrective measures of child-care foodservices by sanitary inspection checklist suggest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J Korean Diet Assoc 21(3):227-240 

  2.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Guidelin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vailable from: http://ccfsm.foodnara.go.kr/. Accessed May 10, 2015 

  3. Chang ML, Kim YB (2003): A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meals program. J Early Childhood Educ 23(3):261-284 

  4. Connecticut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Available from: http://www.sde.ct.gov/sde/site/default.asp. Accessed April 14, 2010 

  5. Health Promotion Board. Healthy meals in child care centres programme. Available from: http://www.hpb.gov.sg/HOPPortal/health-article/2792. Accessed July 20, 2015 

  6. Jeong DY (2015): An analysis of foodservice sanitation of the childcare centers by foodservice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n Jeju. Masters degree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pp.4-9 

  7. Jo MS (1998): Management of food and nutrition service in daycare center. Korean J Dietary Cult 13(1):47-58. 

  8. Jung MH (2014): Perception of the infant-care teachers and the chiefs of child-care centers on the index of the accreditation system and follow-up management- In priority of child-care environment. Masters degree thesis. Honam University. pp.1 

  9. Kim SH, Oh EY, Han JS (2014): Effects of food safety management support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on foodservice facilities for children in Busan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4(2):261-274 

  10. Lee KH, Park DY, Lee IY, Hong JY, Choi BC, Bae SS (2001): The survey an the nutrition educ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syste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in Yongdungpo. J Korean Diet Assoc 7(2):167-174 

  11. Lee SJ, Park EJ, Park GS (1999a): A study on preference and food satisfaction of the preschool children foodservice in Taegu. J East Asian Soc Diet Life 9(1):35-45 

  12. Lee YM, Chung MR, Kim JH (1999b): Evaluation of eating behavio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J Korean Home Econ Assoc 37(7):69-81 

  13. McSwane D, Rue N, Linton R (1998): Essentials of food safety and sanitation. Prentice-Hall, Inc. Upper Saddle River NJ. pp.42-48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index.jsp. Accessed October 9, 2013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from: http://stat.mohw.go.kr/ Accessed August 22, 2015 

  16. Park GN (2012): Analysis of the effect of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on safety control of meal in child-care facility and kindergarten. Masters degree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pp.33-34 

  17. Shin H, Choi J, Lee Y, Cho W (2015): Job satisfaction of children foodservice employees at daycare centers. J Korean Diet Assoc 21(3):241-252 

  18. Yun HJ (2008): Effectiveness of the preprocessed foods on productivity and satisfaction in school foodservices. Masters degree thesis. Dankook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p.5-7 

  19. Yun SH (2013): Ananalysis of foodservice sanitation and safety management of childcarecenters in Jeju. Masters degree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pp.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