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과 알레르겐 분석
An Analysis on Prevalence and Allergen of Food Allergie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9 no.1, 2014년, pp.14 - 24  

이계희 (수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유병률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 설문지 조사와 피부단자시험을 실시하였고, 또한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자료 고찰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설문지에 의한 성별 식품 알레르기 증상 유병률은 남자에서는 25.6%, 여자는 25.8%로 남녀 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며, 연령별로는 남자는 40-49세가 31.8%, 여자에서는 30-39세가 32.6%로 가장 높았다. 성별과 식품 항목에 의한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은 남자는 고등어가 6.6%로 가장 높았고, 여자는 복숭아가 7.4%로 가장 높았다. 성별에 의한 식품 알레르기 증상 유병자 중 피부단자시험 양성률을 보면 남자에서 21.4%의 양성률을, 여자에 있어서는 14.7%의 양성률을 나타내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p=0.018)가 있었다. 식품 항목별 양성률을 보면 남자에서는 호프가 58.9%로 가장 높았고, 여자에서는 계란이 36.4%로 가장 높은 양성률을 나타냈으며, 돼지고기, 새우 가재, 호프, 그리고 토마토에서 통계적으로 남녀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피부단자시험을 통하여 우리나라 식품 알레르기 증상 추정 유병률은 남자 5.0%, 여자 3.6%였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흔한 식품으로는 호프, 고등어, 새우, 가재, 게, 돼지고기, 우유, 계란 등이 포함된다고 생각한다.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자료 분석에서 식품 알레르기 유병률은 1-35% 범위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요 식품은 우유, 계란, 견과류, 생선, 조개, 갑각류 그리고 과일 채소 등으로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그리고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자료를 분석한 첫 시도로써 향후 우리나라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근거자료의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할 때는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과 알레르겐을 포함한 대처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nd find out food allergens. Method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2,415 subjects in D city, among whom 452 subjects believed that they had food allergy. Skin prick tests were performed on these subjects.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자료 분석에서 식품 알레르기 유병률은 1-35% 범위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주요 식품은 우유, 계란, 견과류, 생선, 조개, 갑각류 그리고 과일 채소 등으로 확인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사회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그리고 최근 국내외식품 알레르기에 관한 자료를 분석한 첫 시도로써 향후 우리나라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근거자료의 토대가 될 것이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할 때는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과 알레르겐을 포함한 대처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 따라서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정확한 유병률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식품을 알아내는 것은 식품 알레르기 질환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식품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고 효율적인 관리대책을 제시하는 근거자료를 제공고자 시도 되었다.
  •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유병률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의 종류를 알아내기 위해, 설문지 조사와 피부단자시험을 실시하였고, 또한 최근 국내외 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자료 고찰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설문지에 의한 성별 식품 알레르기 증상 유병률은 남자에서는 2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알레르기란? 식품 알레르기란 특정식품에 과민한 사람이 그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면역학적 기전을 통해 일어나는 부작용으로서 후두부종, 천식, 그리고 아나필락시스는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위험하고, 두드러기, 혈관부종, 아토피피부염 등도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주기 때문에 다각적인 관리가 필요하다[1].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식품은 연령별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식품은 연령, 각 나라별 식단 등 여러 요소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 연령별로는 소아에서는 우유, 계란, 땅콩 등이, 성인에서는 땅콩, 견과류, 어패류 갑각류 등이며, 이들이 85-90%의 식품 알레르겐으로 알려져 있다[2]. 국가별로는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생선, 미국은 땅콩, 일본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곡류나콩 등이 알레르기 원인식품으로 알려져 있다[12].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의 특징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품은 대부분 수용성 당단백(glycoprotein)으로, 분자량(molecular weight)은 10-70 kilodalton 이며 열이나, 산, 단백분해효소(protease) 등의 처리에도 항원성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2]. 이러한 음식물을 섭취했을 때 식품 알레르기를 일으키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ang MS, Lee SH, Kim KM., Kwon HS, Kim DI, Park CH, Shon SU, Park HS, Jang YS, Kim SS, Jo SH, Min KU, Kim UY. A case report of food-dependent exercise-induced anaphylaxis to apple.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6;26(3):242-245 

  2.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Clinical Immunology.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Yeomungag Press 2012, pp.445-469 

  3. Kettelhut BV, Metcafe DD, Adverse reaction to food allergy principle and practice. 3rd ed., Mosby Co, 1988, pp.1482-1489 

  4. Arbeiter HL. How prevalent in allergy among United States school children? Clin. Pediatrics 1967;6,140-145 

  5. Sampson HA. Update on food allergy.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4;113(5): 805-819 

  6. Sicherer SH, Sampson HA. Food allergy.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0;125(2):116-125 

  7. Chafen JS, Newberry SJ, Riedl MA, Bravata DM, Maglione M, Suttorp MJ. Diagnosing and managing common food allergies: a systematic review. JAMA 2010;303,1848-1856 

  8. Oh JW, Pyun BY, Choung JT, Ahn KM, Song SW, Son JA, Lee SY, Lee SI. Epidemiological change of atopic dermatitis and food allergy in school-aged children in Korea between 1995 and 2000. J Korean Med Sci 2004;19(5): 716-723 

  9. Kim JH, Chang EY, Han YS, Ahn KM, Lee SI.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immediate type food allergy during the first year of life in Korean infants: a birth cohort study. Pediatr Allergy Immunol 2011;22(7): 715-719 

  10. Kim SH, Kang HR, Kim KM, Kim TB, Kim SS, Chang YS, Kim CW, Bahn JW, Kim YK, Choi SH, Park HS, Kim NS. The sensitization rates of food allergens in a Korean population: a multi-center study.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3;23(3):502-512 

  11. Jung YH, Ko H, Kim HY, Seo JH, Kwon JW, Kim BJ, Kim HB, Lee SY, Jang GC, Song DJ, Kim WK, Shim JY, Hong SJ.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food allergy in preschool children in Seoul,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1;31(3): 177-182. 

  12. Oehlschlager S, Reece P, Brown A, Hughson E, Hird H, Chisholm J. Food allergy towards predictive testing for novel foods.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2001;18(12): 1099-1107 

  13. Pereira B, Venter C, Grundy J, Clayton B, Arshad H, Dean T. Prevalence of sensitization to food allergens, reported adverse reaction to foods, food avoidance, and food hypersensitivity among teenagers.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5;116(4): 884-892 

  14. Keet CA, Wood RA. Food allergy and anaphylaxis. Immunol Allergy Clin North Am 2007;27,193-212 

  15. Rona RJ, Keil T, Summers C, Gislason D, Zuidmeer L, Sodergren E.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a meta-analysis. J Allergy Clin Immunol 2007;120,683-646 

  16. Katherine AV, Kathleen MK, Sera BF, Debra AS. Prevalence of self-reported food allergy in American adult and use of food labels. J Allergy Clin Immunol 2007;119(6): 1504-1510 

  17. Venter C, Pereira B, Voigt K, Grundy J, Clayton CB, Higgins B. Prevalence and cumulative incidence of food hypersensitivity in the first 3 years of life. Allergy 2008;63,354-359 

  18. Zuidmeer L, Goldhahn K, Rona RJ, Gislason D, Summers C. The prevalence of plant food allergies: a systematic review.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1,1210-1218 

  19. Hu Y, Chen J, Li H. Comparison of food allergy prevalence among Chinese infants in Chongqing, 2009 versus 1999. Pediatrics International 2010;52(5):820-824 

  20. Osterballe M, Mortz CG, Hansen TK, Andersen KE, Bindslev-Jensen C. The prevalence of food hypersensitivity in young adults. Pediatr Allergy Immunol 2009;20:686-692 

  21. Boyce JA, Assa′ad A, Burks AW, Jones SM, Sampson HA.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y in the United States; report of the NIAID-sponsored Expert Panel. J Allergy Clin Immunol 2010;126(6): S1-S58 

  22. Andrew H, Jaramillo LR, Sicherer SH, Wood RA, Bock SA. Nation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food allergy and relationship to asthma: Results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2006.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0;119(6):1504-1510 

  23. Kim DS, Ban JS, Park EA, Lee JY, Lee JO, Chang EY, Kim JH, Han YS, Ahn KM, Lim IS. Survey of food allerg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ongjak- gu using questionnair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1;31(4):254-258 

  24. Chen J, Hu Y, Allen KJ, Ho MH, Li H.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y in infant in Chongqing, China. Pediatric Allergy Immunol 2011;22(4):356-360 

  25. Sicherer SH. Epidemiology of food allergy. J Allergy Clin Immunol 2011;127(3): 594-602 

  26. Han YS, Kim JH, Ahn KM. Food allergy. Korean J Pediatr 2012;55(5):153-158 

  27. Lianne S, Moshe B, Daniel WH, Joseph F, Lawrence J, Yvan P, Samuel BG, Sebastien V, Susan JE, Ann EC. Overall prevalence of self-reported food allergy in Canada.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2;130(4):986-988 

  28. Lee KH. An epidemiologic study on food aller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997(Korean) 

  29. Ben Shoshan M, Harrington DW, Sollar L, Fragapane J, Joseph L, Pierre Y. A population-based study on peanut, tree, nut, fish, shellfish, and sesame allergy prevalence in Canada. J Allergy Clin Immunol 2010;125,1322-1326 

  30. Shek LP, Cabrera-Morales EA, Soh SE, Gerez I. A population- bas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revalence of peanut, tree, nut, and shellfish allergy in 2 Asian populations. J Allergy Clin Immunol 2010;126,324-331 

  31. Ahn KM. Food allergy: Diagnosis and Management.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1;31(3):163-167 

  32. Shin TS, Lee GJ, Yoon HS.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allergic disease in primary schoolchildren.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990;10(3):201-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