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운수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식별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Woonsoosa Temple, Busan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3, 2014년, pp.244 - 250  

김지영 (충북대학교 대학원 문화재과학과) ,  이미옥 (충북대학교 목재연륜소재은행) ,  박원규 (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 운수사 대웅전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장여, 도리, 주두, 소로, 포재, 대공, 반자 등 총 72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종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속의 소나무류 67점, 서어나무속 4점,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류 1점 등 3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에서는 소나무류 14점, 서어나무속 4점, 도리에서는 소나무류 4점, 상수리나무류 1점이 식별되었다. 그 외의 부재는 모두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 기둥의 부재중 동바리에 사용된 서어나무속 3개는 수리 시에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불단의 조각재 1점은 오리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결론적으로 후대에 교체된 것으로 보이는 서어나무를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운수사 대웅전 건축 가구부재에 거의 대부분 소나무류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wood species of 72 wooden parts (pillar, beam, jangyeo, purlin, judu, soro, bracket, deagong, ceiling panel, etc.)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Woonsoosa Temple, Busan in Korea. Identified wood species were 67 Pinus spp. (Kesiya group), 4 Carpinus spp. and 1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로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Cur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5)에서도 목조문화재 해체 공사 시 부재의 종류와 중요도에 관계없이 모든 부재에 대하여 수종을 조사하게 되어있다. 본 연구는 2013년 운수사 대웅전의 해체 보수공사 시 부재별로 수종을 분석하여 원형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산 운수사 대웅전의 목부재 수종 식별을 위하여 조사한 것들은 무엇인가? 부산 운수사 대웅전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장여, 도리, 주두, 소로, 포재, 대공, 반자 등 총 72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종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속의 소나무류 67점, 서어나무속 4점,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류 1점 등 3수종이 식별되었다.
부산 운수사 대웅전의 목부재 조사로 알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부재들과 함께 조사된 불단의 투각무늬가 새겨진 조각재는 오리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결론적으로 후대에 교체된 것으로 보이는 서어나무속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운수사 대웅전 건축 가구부재에 거의 대부분 소나무류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산 운수사 대웅전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수종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부산 운수사 대웅전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보, 장여, 도리, 주두, 소로, 포재, 대공, 반자 등 총 72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종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속의 소나무류 67점, 서어나무속 4점, 참나무속의 상수리나무류 1점 등 3수종이 식별되었다. 기둥에서는 소나무류 14점, 서어나무속 4점, 도리에서는 소나무류 4점, 상수리나무류 1점이 식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usan Metropolitan City. 2008. An Investigative report of Unsoosa Daewoongjeon. 

  2. Cur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5. The repair .survey report of Daewungjeon Hall in the Beopjusa Temple, Korea. 

  3. Eom, Y.G., Kim, H.S., Xu, G.Z. 2005.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structural members of the Beomeo Temple. Mokchae Konghak 33(2): 1-7. 

  4. Eom, Y.G., Oh, S.C., Heo, K.S., Kim, S.S. 2009. Dimensional Characteristics and Species Identification of Posts in the 19th century House in Cheongdo, Korea. Mokchae Konghak 37(3):177-183. 

  5. Ilvessalo-Pfaffli, M-S. 1995. Fiber atlas: Identification of papermaking fibers. Springer. 

  6. Lee, C.B. 1999. Dendrology. Hyangmunsa. 

  7. Lee, P.W. 1997. Properties and Utilization of Korean Wood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8. Lee, P.W., Kim, H.S., Eom, Y.G. 1989. Wood anatomy of Genus Carpinus grown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14(1): 41-48. 

  9. Park, B.S., Park, J.H. 2005. Species composition of the major wooden cultural Asset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0. Park, S.J. 2011. The world of our tree confronted by culture and history. Gimmyoungsa, Korea. 

  11. Park, S.J., Lee, W.Y., Lee, W.H. 1999. Wood Structure and Identification. Hyangmunsa. 

  12. Park, W.K., Lee, K.H. 2007. Changes in the species of woods used for Korean ancient and historic architectures. Korea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50: 9-28. 

  13. Park, W.K., Oh, J.A., Kim, Y., Kim, S.K., Park, S.Y., Son, B.H., Choi, S. Species of Wooden Buddhist Statu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Jeollado,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21(1): 72-82. 

  14. Seo, C.S., Kim, Y.J. 2013. A Study on the Construction Records and Architectural Type of Unsoo-sa Daeoong-jeon in Busan. Korea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2(5): 47-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