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고찰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Librarianship Employment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1, 2014년, pp.27 - 52  

안인자 (동원대학교 아동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종문 (경성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오세훈 (광운대학교)

초록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 졸업생의 희망직업은 사서직 취업에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사서직 취업의 향상을 위해 도서관 확충 등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그 효과는 한계가 있고 신규 도서관에 사서를 채용하더라도 정규직보다는 비정규 계약직으로 채용하는 등의 직업환경 또한 밝지 않다. 본 연구는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제안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 통계데이터, 학생 및 사서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다. 정책개선 대상은 사서양성의 측면에서 사서자격제도, 사서양성체계의 개선방안을 살피고, 사서고용의 측면에서 도서관법, 도서관 협의체 서비스의 개선방안으로 4개의 정책적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15개의 전략을 제안하였다. 그 중 도서관법 개선(안)으로는 비정규직 지원체계, 사서직 명칭 및 도서관 명칭 관련 사항, 사서배치기준의 현실화 및 강제화, 모든 관종의 도서관평가 의무화 등을, 관련 협의회 활동사항으로는 사서수상제도 확대, 사서직 취업정보시스템 구축, 사서직 외부홍보자료 구축 및 배포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mployment prospects of graduat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academic has largely concentrated in the field of librarianship as well as the curriculum of the academic itself. Since there are limitations in increasing the number of libraries and the available posts in the librarianship, the 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서의 개념은 무엇으로 인해 도입되었나? 국내에 도서관직으로서의 사서라는 명칭은 1945년 10월 개관된 국립중앙도서관이 그 기구와 직제에 사서부(司書部)와 직명으로 사서와 사서관(司書官)을 둠으로써 처음 사용되었다(한민족백과사전). 이후 1963년 제정․공포된 도서관법(법률 제1424호)에서 도서관 전문직으로서 사서의 개념이 도입되고, 1965년 제정된 도서관법시행령(대통령령 제2086호)에서 사서직원의 자격 유형과 요건이 마련되면서 전문직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1960년대까지 수도권에 집중되었던 도서관학과는 1970년대와 1980년대를 거치면서 전국의 주요 대학으로 확대되었고, 자격증이 처음 발급된 1966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75,780명이 사서자격증을 발급받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한국도서관협회 2013).
문헌정보(학)과 졸업 후 취업대상 직업 중 사서직에 해당하는 직업 비율은 얼마인가? 2012년 전국의 43개 문헌정보(학)과에서 홈페이지를 통하여 제시하는 학생들의 졸업 후 취업대상 직업은 35개 정도로 파악되고 있다. 이 중 도서관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직에 해당하는 직업 비율은 63.7%(사서교사 7.4%, 독서지도사 및 치료사 3.3% 포함), 여타 정보전문직이 차지하는 비율은 36.3%로 나타났다(이종문 2012).
도서관직으로서의 사서라는 명칭은 언제 처음 사용되었나? 국내에 도서관직으로서의 사서라는 명칭은 1945년 10월 개관된 국립중앙도서관이 그 기구와 직제에 사서부(司書部)와 직명으로 사서와 사서관(司書官)을 둠으로써 처음 사용되었다(한민족백과사전). 이후 1963년 제정․공포된 도서관법(법률 제1424호)에서 도서관 전문직으로서 사서의 개념이 도입되고, 1965년 제정된 도서관법시행령(대통령령 제2086호)에서 사서직원의 자격 유형과 요건이 마련되면서 전문직으로서의 법적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곽동철, 심경, 윤정옥. 2009. 사서자격제도 개선 방안 도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193-213.(Kwak, Dongchul, Shim Kyung and Youn Jung Ok.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2): 193-213.) 

  2. 권두섭. 2012. 교육 공무직원의 채용 및 처우에 관한 법률안. 대한민국국회 연구/동향보고서 학교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2012.7.30.(Kwon, Du Sup. 2012. A Study on the Draft of Educational Officials Recruitment and Inmates Act. The Report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The policy Debates on Temporary job Workers turns Regular Workers. 2012.7.30.) 

  3. 국립중앙도서관. 2008. 주제전문사서 인력수급 전망 및 제도화 방안연구. 국립중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Korea. 2008. The Demand, Supply and Institutionalizatio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National Library of Korea.) 

  4. 국립중앙도서관. 2011. 전문사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헌정보학 전공과목 정비방안 연구.(National Library of Korea. 2011. A Study of Reinforcement on the Curriculum Major Cours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5. 국립중앙도서관. 2012. 문헌정보학 전공과목의 교과내용 표준모형 개발연구.(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Development on Standard Models of the Subject Contents Cours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6. 노영희, 안인자, 황금숙. 2008. 국내.외 전문사서 수요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189-208.(Noh, Young-hee, Ahn, Inja and Hoang, Gum sook. 2008. "A Study on Analyzing Demands for Professional Librarian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189-208.) 

  7. 이종문. 2009.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선호 직업 및 준비성 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2): 473-490.(Lee, Jongmoon. 2009. "An Analysis on Preferred Occupation and its Readiness to Students in Dep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2): 473-490.) 

  8. 이종문. 2012. 문헌정보학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125-139.(Lee, Jongmoon. 2012. "A Study on Employment Analysis of Graduates Majoring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case of K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125-139.) 

  9. 이종문. 2013. 사서직의 직업지표 현황 및 전망 인식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3): 99-120.(Lee, Jongmoon. 2013. "An Analysis on the Occupational Index Status and Prospect Perception to Librarian as Job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3): 99-120.) 

  1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cited 2013. 6. 12.] 

  11. 한국도서관협회. 2012. 사서자격 및 사서직제 개선 특별위원회 최종보고서. 

  12. Lux, Claudia. 2003. "The German Library System: Structure and New Developments." IFLA Journal, 28(2): 113-128. pp.118-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