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he Mobile Web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y Servic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1, 2014년, pp.415 - 439  

박옥남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의 접근성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모바일 앱과 웹 지침에 따라 접근성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자동평가와 수동평가를 통해 접근성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체텍스트는 검색결과 도서 이미지 안내, 메인메뉴, 텍스트 대신 이미지 제공에서 가장 많이 미준수 현황을 보였으며, 초점은 검색 및 검색결과에서, 운영체제 접근성은 검색어 입력창 레이블 및 아이디, 패스워드 입력창에서, 색에 무관한 인식은 좌석현황 및 도서관일정, 명도대비는 메인메뉴 및 서지사항에서, 컨트롤 간 충분한 간격은 자료검색 필드 간 간격 및 메인검색창에서 미준수 현황이 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연구결과로 모바일 도서관 주요 서비스별로 정리하여, 향후 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 구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obile web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To achieve this, accessibility checklists were driven from mobile web and application guidelines. The study also conducted automatic and manual evaluations. A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ext alternatives for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3C Web Accessibility Initative(WAI)에서 공표한 WCAG 2.0(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WCAG)은 1999년 5월에 공표된 WCAG 1.0의 개정판으로 실제 더 광범위한 장애인에게 접근성을 보장하고, 변화하는 웹 기술을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WCAG 2.
  • 0의 개정판으로 실제 더 광범위한 장애인에게 접근성을 보장하고, 변화하는 웹 기술을 반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WCAG 2.0은 4개 지침, 12개 가이드라인, 61개 성공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HTML를 비롯한 RIA 등 다양한 기술을 반영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개의 지침은 인식의 용이성(Percievable), 운용성(Operable), 이해가능성(Understandable), 견고성(Robust)으로 구성되며, 인식의 용이성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대체텍스트, 미디어에 대한 캡션 및 대체수단 제공, 정보의 구조를 잃지 않는 방법으로의 적용가능성, 전경색과 배경색을 분리한 색상 대비가 제공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라 접근성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자동평가와 수동평가를 통해 접근성 현황을 다각도로 조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접근성 연구결과를 도서관의 주요 서비스별로 정리하여, 향후 도서관 모바일 웹 서비스 구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 도서관도 마찬가지로 모바일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데, 모바일 서비스의 접근성 현황을 살펴보고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모바일 접근성은 모바일 웹(Mobile Web)과 모바일 앱(Mobile 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데, 모바일 앱은 특정 목적으로 개발된 모바일 전용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모바일 웹은 웹을 기반으로 구축된 모바일 전용 웹사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PC환경에서 구축된 웹 사이트에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Mobile Web)의 접근성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모바일 접근성은 모바일 웹(Mobile Web)과 모바일 앱(Mobile 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데, 모바일 앱은 특정 목적으로 개발된 모바일 전용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모바일 웹은 웹을 기반으로 구축된 모바일 전용 웹사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PC환경에서 구축된 웹 사이트에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Mobile Web)의 접근성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공공도서관이 대학도서관이나 전문도서관에 비해 다양한 범위의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며, 현재 국내 공공도서관은 모바일 앱(23개)보다 모바일 웹(59개)이 더 많이 구축된 현황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 모바일 도서관은 웹과 앱을 기반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모든 사람의 공평한 정보접근을 위해서 접근성의 보장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60개관을 대상으로 접근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 콘텐츠 구조에 따라 주요 접근성 미준수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행정안전부 지침에 따라 접근성 현황을 조사하고, 자동평가와 수동평가를 통해 접근성 현황을 다각도로 조사하였다.
  • 대체텍스트가 제공된 경우에도, 실제 웹사이트 소스 상에는 값이 누락된 경우가 그 예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동평가와 수동평가를 병행하였다. 또한 모바일 웹 콘텐츠는 웹 기반이므로, PC 웹 접근성을 바탕으로, 모바일 사용성을 고려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을 조합하여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서비스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단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서비스는 이동성, 연결성, 휴대성, 업무효율성 등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에 못지않은 여러 단점 역시 지적된다. 무엇보다 모바일 정보격차(2012 모바일 접근성 향상 전략 세미나)가 대표적이다. 실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조사한 모바일 격차지수에 따르면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은 일반대중의 27.
모바일 도서관이란? 도서관 역시 이러한 스마트폰의 증가추세에 발맞추어 ‘모바일 도서관’이라는 명칭으로 스마트폰을 도서관 서비스에 적용하고자 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모색하고 있다. 모바일 도서관이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정보를 활용하고, 모바일 웹이나 앱을 활용하여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도서관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초기 단계이다(정종기 2011). 도서관은 이용자, 정보, 기술을 중요 요소로 하고 있으며, 기술을 사용하여 유용한 정보를 최적의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스마트폰과 도서관의 결합, 즉 모바일 도서관은 도서관에서 중요한 이슈이다.
모바일 접근성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도서관도 마찬가지로 모바일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데, 모바일 서비스의 접근성 현황을 살펴보고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모바일 접근성은 모바일 웹(Mobile Web)과 모바일 앱(Mobile Application)으로 구분되는데, 모바일 앱은 특정 목적으로 개발된 모바일 전용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며, 모바일 웹은 웹을 기반으로 구축된 모바일 전용 웹사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PC환경에서 구축된 웹 사이트에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모바일 웹(Mobile Web)의 접근성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구중억. 2011.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 사례 분석 및 웹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75-101.(Gu, Jung-Eok. 2011. "An Analysis and Web Accessibility Assessment of Mobile Service of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1): 75-101.) 

  2. 김성희, 남재우. 2011. 도서관 모바일 웹사이트의 인포메이션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42(1): 1-23.(Kimg, Seong-Hee and Nam, Jae-Woo. 2011. "A Study on Information Architecture for Mobile Library Websites." Journal of Information, 42(1): 1-23.) 

  3. 김현희, 박종욱. 2011. 대학 환경에서의 모바일 도서관 모형 개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99-322.(Kim, Hyung-Hee and Park, Jong-Wook.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bile Library Model for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2): 299-322.) 

  4. 남재우, 남태우. 2010. 도서관모바일웹사이트의컨텐츠구성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7(4): 153-168.(Nam, Jae-Woo and Nam, Tae-Woo. 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ntents for Mobile Library Websi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4): 153-168.) 

  5. 스마트폰 시각장애인도 '그림의 떡'. 2012. 세계일보. 3월 12일. [online] [cited 2013. 11. 25.] ("Smart Phone Challenges for Visually Impared." 2012. Segyeilbo, 12 March. [online] [cited 2013. 11. 25.] ) 

  6. 이은희, 이지연. 2011. 스마트폰을 통한 공공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377-392.(Lee, Eun-Hee and Lee, Jee-Yeon. 2011. "A Study on User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Information Service Using Smart Pho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377-392.) 

  7. 장애인 등 소외계층 모바일정보격차 '극심'. 2013. 웰페어뉴스. 5월 15일. [online] [cited 2013. 11. 25.] ("Mobile Information Gap for Information Minority Group." 2013. Welfarenews, 15 May. [online] [cited 2013. 11. 25.] .) 

  8. 정종기. 2011.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내외 대학도서관의 모바일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1): 171-191.(Jung, Jong-Kee. 2011. "A Study on Mobile Services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1): 171-191.) 

  9. 현준호. 2006. 표준기술동향: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 TTA저널, 106: 95-102.(Hyung, Joon-Ho. 2006. "Current Status for Standards: Web Accessibility." Journal of TTA, 106: 95-102.) 

  10. 공공기관 앱, 장애인 사용자가 평가했더니. 2012. 비마이너. 2월 20일. [online] [cited 2013. 11. 20.]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Public Insitutions Mobile Applications." 2012. Beminor, [online] [cited 2013. 11. 20.] .) 

  11.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지침. [online] [cited 2014. 1. 5.] (Mobile Application Accessibility Guidelines. [online] [cited 2014. 1. 5.] ) 

  12. 모바일 애플리케이션(iOS) 접근성 점검 매뉴얼 1.0. [online] [cited 2014. 1. 7.] (Mobile Application(iOS) Accessibility Guidelines 1.0. [online] [cited 2014. 1. 7]. ) 

  13.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안드로이드) 접근성 점검 매뉴얼 1.0. [online] [cited 2014. 1. 7.] (Mobile Application(Androis) Accessibility Guidelines 1.0. [online] [cited 2014. 1. 7.] ) 

  14. 모바일 웹 모범사례(Mobile Web Best Practice 1.0). [online] [cited 2014. 1. 3.] (Mobile Web Best Practice 1.0. [online] [cited 2014. 1. 3.] ) 

  15. 모바일 접근성 표준 및 지침 초안(Draft BBC Mobile Accessibility Standards and Guidelines). [online] [cited 2014. 1. 5.] (Draft BBC Mobile Accessibility Standards and Guidelines. [online] [cited 2014. 1. 5.] ) 

  16. 웹 접근성 정의, 웹 접근성 연구소. [online] [cited 2013. 11. 20.] (Research Center for Web Accessibility. Definition of Web Accessibility. [online] [cited 2013. 11. 20.] ) 

  17. 웹 콘텐츠 접근성을 준수하는 모바일 웹 개발 지침 2.0(WCAG 2.0). [online] [cited 2014. 1. 7.] (Mobile Web Best Practices to meet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WCAG 2.0). [online] [cited 2014. 1. 7.] ) 

  18. 한국형 모바일 웹 모범사례 1.5. [online] [cited 2014. 1. 5.] (Korea Mobile Web Best Practices 1.5. [online] [cited 2014. 1. 5.] ) 

  19.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online] [cited 2014. 1. 7.] (Korea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0. [online] [cited 2014. 1. 7.] ) 

  20.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online] [cited 2014. 1. 7.] (Korea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2.1. [online] [cited 2014. 1. 7.] ) 

  21. 2012 모바일 접근성 향상 전략 세미나. [online] [cited 2014. 1. 7.] (2012 Seminar for Mobile Accessibility. [online] [cited 2014. 1. 7.] ) 

  22. W3C의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WCAG) [online] [cited 2014. 1. 7.] (W3C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 [online] [cited 2014. 1. 7.] ) 

  23. Aldrich, A. 2010. "Universities and Libraries Move to the Mobile Web." EDUCAUSE Quarterly, [cited 2014. 2. 10.] 

  24. Kroski, E. 2008. "On the Move with the Mobile Web: Libraries and Mobile Technologies." Library Technology Reports, 44(5): 1-48. 

  25. Seeholzer, J. and Salem, J.A. 2011. "Library on the Go: A Focus Group Study of the Mobile Web and the Academic Librar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72(1): 9-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