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 등숙일수에 따른 이삭 착생 부위별 종자의 수발아 변이
Pre-Harvest Sprouting Variation of Rice Seeds Located on Each Panicle Position According to Grain Filling Day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9 no.1, 2014년, pp.22 - 26  

백정선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정남진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벼의 출수 후 일수에 따라 수발아 양상을 조사하고 수발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시기를 예측하여 수발아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벼 등숙기간 중 호품벼는 출수 후 20일, 신동진벼는 출수 후 30일부터 수발아 조건이 충족되면 발아가 시작되었으며, 50% 이상의 종자가 발아력을 갖는 시기는 호품벼가 약 35일, 신동진벼가 약 45일이었고, 출수 후 50일에는 두 품종에서 모두 80% 이상의 종자가 발아하였다. 2. 한 이삭 내에서 종자의 위치에 따른 수발아의 순서는 상위부 > 중위부 > 하위부 순으로 나타났으며 지경별로는 2차 지경보다는 1차 지경의 것이 높게 나타났다. 3. 수발아 검정 시 미발아된 종자는 배의 미숙, 종자휴면, 종자의 등숙불량 (불완전립)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출수 후 30~45일의 등숙중기에 신동진벼는 호품벼보다 종자 휴면성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implemented to investigate pre-harvest sprouting characteristics in two Korean rice cultivars, Shindongjin (SDJ) and Hopum (HP). The panicles of both varieties were sampled after 15 days after heading (DAH) to 60 DAH at intervals of 5 days. As soon as sampled, the panicles were im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벼의 출수 후 일수에 따라 수발아 양상을 조사하고 수발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시기를 예측하여 수발아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벼 재배품종인 호품벼와 신동진벼에서 출수 후 일수에 따른 수발아 양상을 조사하고, 수발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시기를 검토함으로써 수발아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발아가 종자부패의 원인이 되는 이유는? 수발아는 종자의 전분과 단백질이 가수분해 된 상태이기 때문에 종자 활력을 감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각종 세균들의 감염이 용이하여 종자부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Biddulph et al., 2008; Gubler et al.
수발아가 종자 활력을 감소시키는 이유는? 그 동안 종자의 수발아로 인한 피해는 다양한 연구에 의해 밝혀져 왔다. 수발아는 종자의 전분과 단백질이 가수분해 된 상태이기 때문에 종자 활력을 감소시킨다. 뿐만 아니라 각종 세균들의 감염이 용이하여 종자부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Biddulph et al.
벼 등숙기에 발생한 태풍이나 강우는 어떤 피해를 주는가? 8%로 크게 감소되었다(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이처럼 벼 등숙기에 발생한 태풍이나 강우는 벼 도복이나 침수와 같은 피해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이삭에 달려있는 상태로 종자의 발아를 유발하는 수발아(Pre-harvest sprouting)를 발생시켜 쌀의 품질과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Ko et al., 2005;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enech-Arnold, R. and R. Sanchez. 2003. Seed dormancy/Preharvest Sprouting. Encyclopedia of Applied Plant Sci. 1333-1339. 

  2. Biddulph, T., J. Plummer, T. L. Setter, and D. J. Mares. 2008. Seasonal conditions influence dormancy and preharvest sprouting tolerance of wheat (Triticum aestivum L.) in the field. Field Crops Res. 107:116-128. 

  3. Chen, C. X., S. B. Cai, and G. H. Bai. 2008. A major QTL ontrolling seed dormancy and pre-harvest sprouting resistance on chromosome 4A in a Chinese wheat landrace. Molecular Breeding 21(3):351-358. 

  4. Farnsworth, E. 2000. The ecology and physiology of viviparous and recalcitrant seed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07-138. 

  5. Gao, F., G. Ren, X. Lu, S., Sun, H. Li, Y. Gao, H. Luo, W. Yan, and Y., Zhang. 2008. QTL analysis for resistance to preharvest sprouting in rice (Oryza sativa). Plant Breeding. 127:268-273. 

  6. Gao, X., H. Hu, H. Z. Li, Y. J. Yao, M. Meng, J. Dong, W. C. Zhao, Q. J. Chen, and X. Y. Li. 2013. "Factors affecting pre-harvest sprouting resistance in wheat (triticum aestivum l.):A review." The Journal of Animal & Plant Sciences 23(2):556-565. 

  7. Gubler, F., A. A. Millar, and J. V. Jacobsen. 2005. Dormancy release, ABA and pre-harvest sprouting.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8:183-187. 

  8. Hoshikawa, K. 1989. The growing rice plant. Nobunkyo Tokyo. 

  9. Huang, T., B. Qu, H.-P. Li, D.-Y. Zuo, Z.-X. Zhao, and Y.-C. Liao. 2012. A maize viviparous 1 gene increases seed dormancy and preharvest sprouting tolerance in transgenic wheat. J. Cereal Sci. 55:166-173. 

  10. Kim, S., J. Won, D. Ahn, S. Park, and C. Choi. 2008. Influence of Viviparous Germination on Quality and Yield in Rice. Korean J. Crop Sci. 53:15-18. 

  11. Ko, J., B. Kim, W. Choi, H. Choi, E. Cho, and S. Yun. 2005. Varietal differenc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preharvest germination of rice. Korean J. Crop Sci. 50:378-383 

  12. Koornneef, M., L. Bentsink., and H. Hilhorstb. 2002.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Current opinion in plant biology 5(1):33-36. 

  13.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 2012. Typoon (Bolaven, Tenbin) damage and its effect on supply and demand of farm product. KREI. 

  14. Lee, S., J. Ahn, H. Kim, and M. Eun. 2006. Relationships among Viviporous Germination, Dry-heat Tolerance and Seed Longevity in Milyang 23/Gihobyeo RlLs. J. Bio-Environment Control. 15:421-427. 

  15. Li, C., P. Ni, M. Francki, A. Hunter, Y. Zhang, D. Schibeci, H. Li, A. Tarr, J. Wang, and M. Cakir. 2004. Genes controlling seed dormancy and pre-harvest sprouting in a rice-wheat-barley comparison. Functional & integrative genomics. 4:84-93. 

  16. Miyoshi, K., E. Nakata, and Y. Nagato. 2000. Characterization of viviparous mutants in rice. Breeding sci. 50:207-213. 

  17. Mora, J. P., C. Smith-Ramirez, and A. Zuniga-Feest. 2013. The role of fleshy pericarp in seed germination and dispersal under flooded conditions in three wetland forest species. Acta Oecologica. 46:10-16. 

  18. Park, J. and H. Kim. 2009. Viviparou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Adaptable to Central Region of Korea. Korean J. Crop Sci. 54:241-248. 

  19. Rasul, G., G. D. Humphreys, J. Wu, A. Brule-Babel, B. Fofana, and K. D. Glover. 2012. Evaluation of preharvest sprouting traits in a collection of spring wheat germplasm using genotype and genotype ${\times}$ environment interaction model. Plant Breeding 131:244-251. 

  20. Yang, Y., X. Zhao, L. Xia, X. Chen, X. Xia, Z. Yu, Z. He, and M. Roder.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Viviparous-1 STS marker for pre-harvest sprouting tolerance in Chinese wheats. Theoretical and applied genetics. 115: 97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