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NA-Sequencing을 이용한 벼 품종간 수발아 차이 분석
Analysis of Varietal Differences in Pre-harvest Sprouting of Rice using RNA-Sequencing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5 no.4, 2020년, pp.274 - 283  

최명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현석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황운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양서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윤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이충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윤성중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작물생명과학과) ,  정재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평과 조운의 벼 출수 후 적산온도와 검정온도에 따른 수발아 발생 정도를 조사하고, RNA-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여 수발아 발생 원인을 찾았다. 품종간 수발아성에 관여하는 생리적, 유전학적 요인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 후 적산온도가 높아질수록, 검정온도가 높아질수록 수발아 처리시 수발아율이 높았고, 조운벼가 내수발아성이 강하고, 조평벼가 수발아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2. 수발아성이 높은 조평벼를 대상으로 한 RNA-sequencing 결과 ABA 생합성에 관여하는 OsNCEDs의 발현이 감소하고, ABA 분해에 관여하는 OsCYP707As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3. 조평과 조운의 OsNCEDs와 OsCYPY707As의 Quantitation Real-Time PCR 결과 조평보다 조운에서 OsNCEDs의 발현이 높게 나타나 수발성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OsCYP707As는 수발아성과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4. 조운벼는 등숙기간중 종실내 ABA함량이 조평보다 높으며 수발아 처리시 남아있는 ABA함량이 높아 내수발아성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ed dormancy is an adaptive trait in which seeds do not germinate under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Low dormancy seeds are easily germinated under optima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se characteristics greatly reduce the yield and quality of crops.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품종의 벼 수발아연구는 품종간 수발아성 변이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졌으나 유적학적, 생리학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발아성이 높은 조평과 내수발아성이 강한 조운을 대상으로 출수 후 적산온도와 검정온도에 따른 수발아 발생 양상 변이를 조사하고 RNASequencing방법을 이용하여 유전학적, 생리학적으로 구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ers, S. and W. Huber. 2010. Differential expression analysis for sequence count data. Nature Precedings. 

  2. Ashburner, M., C. A. Ball, J. A. Blake, D. Botstein, H. Butler, J. M. Cherry, et al. 2000. Gene Ontology: tool for the unification of biology. Nature Genetics 25(1) : 25-29. 

  3. Baek, J. and N. Chung. 2014. Pre-harvest sprouting variation of rice seeds located on each panicle position according to grain filling day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Hanguk Jakmul Hakhoe Chi. 59(1) : 22-26. 

  4. Chono, M., I. Honda, S. Shinoda, T. Kushiro, Y. Kamiya, E. Nambara, N. Kawakami, S. Kaneko, and Y. Watanabe. 2006. Field studies on the regulation of abscisic acid content and germinability during grain development of barley: molecular and chemical analysis of pre-harvest sprouting. J. Exp. Bot. 57(10) : 2421-2434. 

  5. Fang, J., C. Chai, Q. Qian, C. Li, J. Tang, L. Sun, Z. Huang, X. Guo, C. Sun, and M. Liu. 2008. Mutations of genes in synthesis of the carotenoid precursors of ABA lead to pre-harvest sprouting and photo-oxidation in rice. The Plant Journal 54(2) : 177-189. 

  6. Hu, Q., C. Lin, Y. Guan, M. S. Sheteiwy, W. Hu, and J. Hu. 2017. Inhibitory effect of eugenol on seed germination and pre-harvest sprouting of hybrid rice (Oryza sativa L.). Sci Rep-Uk. 7(1) : 5295. 

  7. Ju, Y. C., S. W. Han, J. S. Park, and K. Y. Park. 2000. Effective screening method for viviparous germination of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5(2) : 103-107. 

  8. Kang, S., J. Shon, H. Kim, S. Kim, J. Choi, J. Park, J. Sim, and W. Yang. 2018. Analysis of genetic variation in pre-harvest sprouting at different cumulative temperatures after heading of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63(1) : 8-17. 

  9. Kim, S.-J., J.-G. Won, D.-J. Ahn, S.-D. Park, and C.-D. Choi. 2008. Influence of viviparous germination on quality and yield in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3(spc) : 15-18. 

  10. Ko, J.-C., B.-k. Kim, K.-S. Lee, W.-Y. Choi, H.-R. Choi, E. Cho, and S.-J. Yu. 2005. Varietal difference in enzyme activities during preharvest germination of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0(6) : 378-383. 

  11. Kucera, B., M. A. Cohn, and G. Leubner-Metzger. 2005. Plant hormone interactions during seed dormancy release and germination. Seed Science Research 15(4) : 281-307. 

  12. Lee, M., S. Park, and R. Park. 1985. Effect of pre-harvest sprouting on yield and grain quanlity in rice. Annual Res Rep NICS, RDA, pp. 477-480. 

  13. Liu, Y., J. Fang, F. Xu, J. Chu, C. Yan, M. R. Schlappi, Y. Wang, and C. Chu. 2014. Expression patterns of ABA and GA metabolism genes and hormone levels during rice seed development and imbibition: A comparison of dormant and non-dormant rice cultivars. J. Genet. Genomics. 41(6) : 327-338. 

  14. Oh, S., C. Kim, C. Kim, S. Kim, and J. Lee. 1987. Influence of viviparous germination on quality and yeild potential of rice. Res Rep RDA (Crops). 29(1) : 68-73. 

  15. Park, K. B. and R. K. Park. 1984. Studies on the viviparous germination of indica × japonica type varieties in paddy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Hanguk Jakmul Hakhoe Chi. 29(1) : 15-18. 

  16. Park, J.-S. and H.-D. Kim. 2009. Viviparous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adaptable to central region of Kore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4(3) : 241-248. 

  17. Shon, J., J. Kim, H. Jung, B. Kim, K. Choi, and W. Yang. 2014. Effect of pre-harvest sprouting on seed viability,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rate of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Hanguk Jakmul Hakhoe Chi. 59(4) : 427-434. 

  18. Suh, K. and Y. Kim. 1994. Varietal difference in viviparous germination at different days after heading and temperature conditions in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32(2) : 187-192. 

  19. Shu, K., H. Zhang, S. Wang, M. Chen, Y. Wu, S. Tang, C. Liu, Y. Feng, X. Cao, and Q. Xie. 2013. ABI4 regulates primary seed dormancy by regulating the biogenesis of abscisic acid and gibberellins in Arabidopsis. PLoS Genetics 9(6) : e1003577. 

  20. Tuan, P. A., R. Kumar, P. K. Rehal, P. K. Toora, and B. T. Ayele. 2018.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abscisic acid/gibberellin balance in the control of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in cereals. Front Plant Sci. 9 : 668. 

  21. Walker-Simmons, M. 1987. ABA Levels and Sensitivity in Developing Wheat Embryos of Sprouting Resistant and Susceptible Cultivars. Plant Physiology. 84(1) : 61-66. 

  22. Zhu, G., N. Ye, and Zhang, J. 2009. Glucose-Induced Delay of Seed Germination in Rice is Mediated by the Suppression of ABA Catabolism Rather Than an Enhancement of ABA Biosynthesis. Plant and Cell Physiology 50(3) : 644-6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