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 영향 요인
Impact Factors for Health of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2, 2014년, pp.75 - 84  

정복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박현숙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 가족돌봄제공자의 수면의 질, 불안, 희망 및 건강상태의 관계를 확인하여 이들의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한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3개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 11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 version 18.0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호스피스 환자의 가족돌봄제공자는 각각 4점 만점인 척도로 측정한 결과 수면의 질은 평균평점 2.55, 불안은 1.91, 희망은 2.78, 건강상태는 2.68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건강상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수면의 질(${\beta}=0.526$), 성별(${\beta}=-0.195$), 불안(${\beta}=-0.232$) 및 희망(${\beta}=0.169$)으로 나타났다. 모형의 설명력은 59.8% (F=44.510, P<0.001)이었고, 그 중에서 수면의 질이 47.3%를 차지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고 있는 가족의 건강상태를 높이기 위해서 간호사는 수면의 질을 높이고, 불안을 감소시키고, 희망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predictors of health status of family caregivers of hospic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18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hospice ward of three general hospitals in D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돌봄제공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수면의 질, 불안, 희망 및 건강상태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 간의 관계 및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돌봄제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건강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는 가족돌봄제공자들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 환자를 주로 돌보는 가족돌봄제공자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돌봄제공자가 자주 호소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가족돌봄제공자가 자주 호소하는 문제 중의 하나가 수면부족이다(8-10). 말기환자를 돌보는 가족은 간호를 제공하는 동안 얕은 잠을 자거나 밤에 환자를 돕기 위해 자주 일어남으로써 수면장애를 경험한다(11).
호스피스 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이 경험하게 되는 부담감이 가져오는 것은 무엇인가? 말기질환으로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위기상황은 환자와 더불어 가족에게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환자의 가족은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을 앞두고 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데 가족은 이에 대처하면서 환자를 위한 신체적 정서적 간호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이들의 부담감은 가중된다(1,2) 이때 경험하게 되는 부담감은 가족의 사회적 기능, 신체 기능 및 역할 기능뿐만 아니라 통증, 활기, 신체와 정신적인 면에서의 건강상태 악화를 가져올 수 있다(3,4). 특히 돌봄 과정에서 가족의 모든 관심은 환자에게 집중되고, 가족은 자신보다는 환자를 우선 시하기 때문에 그들의 개인적인 욕구와 슬픔은 뒷전으로 밀리게 되어 환자의 상태가 악화될수록 가족돌봄제 공자의 건강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5-7).
수면장애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특히 환자의 질병이 진행되면서 돌봄에 투여되는 시간이 많아지고 임종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거의 24시간 내내 환자를 돌보게 되어 가족돌봄제공자의 수면의 질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11,12). 수면장애는 신체적 기능상태 저하와 잠재적 질병의 진행과 연관이 있어(9) 가족돌봄제 공자의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Proot IM, Abu-Saad HH, Crebolder HF, Goldsteen M, Luker KA, Widdershoven GA. Vulnerability of family caregivers in terminal palliative care at home; balancing between burden and capacity. Scand J Caring Sci 2003;17:113-21. 

  2. Ahn EJ, Lee YS. Burnout and burden of family care-givers for caring of terminal patients with cancer. J Korean Oncol Nurs 2005;5:40-51. 

  3. Hwang JG, Kim YH. Family support perceived by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physical & psychological health. Fam Relat 2005;10:173-98. 

  4. Grunfeld E, Coyle D, Whelan T, Clinch J, Reyno L, Earle CC, et al. Family caregiver burden: results of a longitudinal study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their principal caregivers. CMAJ 2004;170:1795-801. 

  5. Choi ES, Kim, KS. Experiences of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J Korean Acad Nurs 2012;42:280-90. 

  6. Northouse LL, Katapodi MC, Schafenacker AM, Weiss D. The impact of caregiving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family caregivers and cancer patients. Semin Oncol Nurs 2012;28:236-45. 

  7. Blum K, Sherman DW.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caregivers: a focus on transitions. Semin Oncol Nurs 2010;26;243-58. 

  8. Glajchen M. Physical well-being of oncology caregivers: an important quality-of-life domain. Semin Oncol Nurs 2012;28:226-35. 

  9. Langford DJ, Lee K, Miaskowski C. Sleep disturbance interventions in oncology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a comprehensive review and meta-analysis. Sleep Med Rev 2012;16:397-414. 

  10. Grbich C, Parker D, Maddocks I. The emotions and coping strategies of caregivers of family members with a terminal cancer. J Palliat Care 2001;17:30-6. 

  11. Waldrop DP. Caregiver grief in terminal illness and bereavement: a mixed-methods study. Health Soc Work 2007;32:197-206. 

  12. Keidel GC. Burnout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hospice caregivers. Am J Hosp Palliat Care 2002;19:200-5. 

  13. Benzein EG, Berg AC. The level of and relation between hope, hopelessness and fatigue in patients and family members in palliative care. Palliat Med 2005;19:234-40. 

  14. Hudson PL, Thomas K, Trauer T, Remedios C, Clarke D. Psychological and social profile of family caregivers on commencement of palliative care. J Pain Symptom Manage 2011;41:522-34. 

  15. Kim DS, Moon WH, Ahn SY, Oh HS, Kwon KH, Park MK, et al. Meta-analysis of the research findings concerning functional relationships of explanatory variables to hope. J Korean Acad Nurs 2004;34:673-84. 

  16. Truitt M, Biesecker B, Capone G, Bailey T, Erby L. The role of hope in adaptation to uncertainty: the experience of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Patient Educ Couns 2012:87:233-8. 

  17. Duggleby W, Holtslander L, Kylma J, Duncan V, Hammond C, Williams A. Metasynthesis of the hope experience of family caregivers of persons with chronic illness. Qual Health Res 2010;20:148-58. 

  18. Jung JG, Kim JS, Kim JJ, Kang DS, Kim SM, Lee DH, et al.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6;9:1-10. 

  19. Lee HW, Kim CN, Park MH. Effect of informational support by hospice team on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01;12:175-86. 

  20. Kim H, Rose K. Sleep disturbances in family caregivers: an overview of the state of the science. Arch Psychiatr Nurs 2011;25: 456-68. 

  21. Pawl JD, Lee SY, Clark PC, Sherwood PR. Sleep loss and its effects on health of family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primary malignant brain tumors. Res Nurs Health 2013;36:386-99. 

  22. Kim SY, Kim JM, Kim SW, Kang HJ, Shin IS, Shim HJ, et al. Determinants of a hopeful attitude among family caregivers in a palliative care setting. Gen Hosp Psychiatry 2014;36:165-71. 

  23. Oh JJ, Song MS, Kim S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 Korean Acad Nurs 1998;28:563-72. 

  24. Zung WW.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s. Psychosomatics 1971;12:371-9. 

  25. Lee JH.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 Youngnam Univ Med J. 1996;13:279-94. 

  26. Nowotny ML. Assessment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Oncol Nurs Forum 1989;16:57-61. 

  27. Choi SS.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ness,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urban adults [dissertation]. Seoul: Younsei Univ.; 1990. Korean. 

  28. Lee SJ. An application effect of rhythmic movement program for the health promotion in the elderly [dissertation]. Seoul: Kyung Hee Univ.; 2000. Korean. 

  29. Song RY, Ahn SH. Effect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n back pain, physical fitness, sleep,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chronic back pain. J Korean Acad Adult Nurs 2008;20:269-79. 

  30. Han YI, Sohn SK. Quality of sleep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lung cancer.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05;8:1-7. 

  31. Lee HS. Factors of sleep disturbance and sleep patterns according to age in older hospitalized women patient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1;18:186-94. 

  32. Rowe MA, McCrae CS, Campbell JM, Benito AP, Cheng J. Sleep pattern differences between older adult dementia caregivers and older adult noncaregivers using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s. J Clin Sleep Med 2008;4:362-9. 

  33. Kim, HS. Effects of aromatherapy and hand massage on anxiety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 2008. Korean. 

  34. Cho SH. The effects of aroma hand massage on stress response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dissertation]. Pusan: Kosin Univ.;2005. Korean. 

  35. Wittenberg-Lyles E, Demiris G, Oliver DP, Burt S. Reciprocal suffering: caregiver concerns during hospice care. J Pain Symptom Manage 2011;41:383-93. 

  36. Jo KW.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hope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pati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4;10:115-24. 

  37. Park MH. Hope, self-empowerment and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of middle aged women. J Korean Acad Soc Nurs Edu 2003;9:222-43. 

  38. Herth K. Hope in the family caregiver of terminally ill people. J Adv Nurs 1993;18:538-48. 

  39. Joad AS, Mayamol T, Chaturvedi M. What does the informal caregiver of a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 need? A study from a cancer centre. Indian J Palliat Care 2011;17:191-6. 

  40. Chang HY, Chiou CJ, Chen NS. Impact of mental health and caregiver burden on family caregivers' physical health. Arch Gerontol Geriatr 2010;50:267-71. 

  41. Kim KB, Lee EJ. A study on emotional status, physical status, and family support of parents with cardiac disease children. Korean J Child Health Nurs 2001;7:267-79. 

  42. Tracy J, Fowler S, Magarelli K. Hope and anxiety of individual family members of critically ill adults. Appl Nurs Res 1999;12: 121-7. 

  43. Simpson C, Carter P. Short-term changes in sleep, mastery & stress: impacts on depression and health in dementia caregivers. Geriatr Nurs 2013;34:509-16. 

  44. Kang YH, Kim MY, Lee GJ, Jung DY, Ma RW. A study of social support, loneliness, sleep qualit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2;26:303-13. 

  45. Kim CN. A correlation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he rural elderly.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04;18:342-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