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형특성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도 판단을 위한 비교
A Comparison on the Identification of Landslide Hazard using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5 no.6, 2014년, pp.67 - 73  

차아름 (Disaster Prevention Research Divisio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석류를 포함하는 산사태 재해는 우리나라에서 그 발생빈도가 상대적으로 큰 자연재해 중 하나이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사면재해 대응 및 예방을 위한 다양한 방지대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대부분 재해발생 이후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복구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실질적인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예방대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산사태 재해 예방을 목적으로 실제 지형의 특성을 파악, 이를 위험도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형특성 분석을 위해 SINMAP(Stability INdex MAPping)과 통계적 기법인 벡터 분산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실제 산사태 발생현장에 적용, 지형특성과 산사태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제안한 두 가지 기법이 동일하게 위험도가 높다고 평가한 지역에서는 산사태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산정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이 지형특성과 산사태 위험도와의 관계성 규명에 있어 합리적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제 현장조사 결과와 비교한 산사태 위험도는 SINMAP 기법이 토석류와 같은 연속성 산사태에 있어 보다 정확하게 판단되었으나 특정요소의 위험성을 구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기법을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보다 정확한 산사태 위험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ndslide disasters including debris flows are the one of the most frequent natural disasters in Korea, and losses of lives and property damages due to these catastrophic events have been increased every year. Various mitigation programs and related policie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respo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지표면의 형상정보는 과거 산사태 발생지역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산사태의 발생 위험도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로 발생하는 지형요소의 거칠기를 방향성 벡터를 활용해 분석, 이를 산사태 위험도와 연관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수문학과 토질역학의 이론적 기반에 근거한 SINMAP과 방향성 벡터를 산사태의 지형요소 분석에 이용, 이를 통한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토석류와 같은 연속적 거동을 보이는 산사태의 경우 각 요소당 내재하고 있는 위험성을 거칠기의 정도로 보여주는 벡터 분산보다 포화된 지역을 따라 위험도의 확산 정도를 보여주는 SINMAP 기법이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는 산사태 지역의 지형 및 수리학적 특성을 조사, 이를 산사태 위험도에 연계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법들은 결국 개별 산사태의 시공간적 거동, 즉 산사태 발생에서 퇴적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지역의 지형학적 분석을 위해 전술한 방향 벡터를 활용한 벡터 분산을 도출하여 지표면의 거칠기를 평가하였다. Fig.
  •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된 기법 사이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향후 보다 정확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한 초기 시도로써 연구지역에서 실제 발생한 산사태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두 가지 기법이 산사 태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Fig.
  • 이는 사면재해 예방 및 대응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 재해 사전예방을 목적으로 실제 지형의 특성을 파악, 이를 산사태 위험도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Eq. (1)은 습윤상태와 건조상태의 흙의 밀도가 같다는 가정하에 유도되었다. Eq.
  • SINMAP에서는 이들 매개변수가 각각 상한계와 하한계 범위를 가지며, 이 범위 내에서 발생확률이 균일한 확률분포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임의로 R/T를 x로 tanΦ를 t로 표현하면 C∼U(C1, C2 ), x∼U(x1, x2), t∼U(t1,t2)로 나타낼 수 있다.
  • 또한 상대 습윤도(relative wetness)는 사면의 배수특성과 연관시켜서 w = Ra/TsinΘ로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적용한 SINMAP은 활동면의 형태를 사면 표면에 평행한 직선으로 가정한 해석법으로 길이가 활동 면의 깊이에 비하여 충분히 큰 사면으로 가정하게 된다. 가정한 무한사면 안정 해석모형에 적용한 안전율(factor of safety)은 Eq.
  • 여기서 흙의 투수량 계수비(ratio of transmissivity)는 일반적으로 내부마찰각이 36~43°인 경우 1,000에서 2,000인 것으로 가정하였다(Pack et al., 1998).
  • 이 중 집수면적 a와 사면경사 Θ는 지형자료로 산정이 가능하며, 물과 흙의 밀도비 r은 0.5로 가정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INMAP은 어떠한 해석법인가? 본 연구에서 적용한 SINMAP은 활동면의 형태를 사면 표면에 평행한 직선으로 가정한 해석법으로 길이가 활동 면의 깊이에 비하여 충분히 큰 사면으로 가정하게 된다. 가정한 무한사면 안정 해석모형에 적용한 안전율(factor of safety)은 Eq.
산사태가 생성하는 지형정보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산사태는 산사태 미발생지역과 달리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첨단부의 급경사지, 인장균열, 그리고 사태물질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지형정보를 생성한다(Kim et al., 2012).
사면재해 예방 및 대응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는 무엇인가?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발생 형태가 최근 들어 비정형화 및 대형화되고 있으며, 돌발적인 호우를 보면 자연재해로 평균 43.5명이 사망하였고, 그중 산사태 등 사면재해 사망자는 평균 15.1명으로 자연재해 전체 사망자의 34.7 %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사면재해 예방 및 대응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a, A. R., Kim, T. H. and Jung, M. S. (2013), Preliminary risk assessment for landslides using directional vectors, KGS Fall National Conference, pp. 1041-1046 (in Korean). 

  2. Hobson, R. D. (1972), Surface roughness in topography: quantitative approach, Spatial Analysis in Geomorphology, Methuen & Co Ltd., London, Great Britain, pp. 221-245. 

  3. Kim, T. H. (2012), Landslide hazard assessment, town of peace river, Alberta,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Alberta, Edmonton, pp. 261-278. 

  4. Kim, T. H., Cruden, D. M. and Martin, C. D. (2012), Identification of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landslides using airborne laser altimetry, Landslides and Engineered Slopes: Protecting Society through Improved Understanding Comprises the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dslides and 2nd North American Symposium on Landslides, Banff, Alberta, Canada, pp. 567-573. 

  5. Lee, J. S. and Kim, Y. T. (2013), Infiltration and stability analysis of weathered granite slope considering rainfall patter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5, pp. 83-91 (in Korean). 

  6.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1), Establishment of collapse warning & evacuation criteria for steep slopes, Developments of the GIS based steep slope collapse determination system (I), Primary Research Report 14, 154 p. (in Korean). 

  7. Oh, K. D., Hong, I. P., Jun, B. H., Ahn, W. S. and Lee, M. Y. (2006), Evaluation of gis-based landslide hazard mapping,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1, pp. 23-33 (in Korean). 

  8. Pack, R. T., Tarboton, D. G. and Goodwin, C. N. (1998), The SINMAP approach to terrain stability mapping, In 8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pp. 21-25. 

  9. Varnes, D. J. and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IAEG) Commission on Landslides and Other Mass Movement on Slopes (1984), Landslide hazard zonation: a review of principles and practices. UNESCO, Paris, pp. 11-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