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케일과 신선초 채소즙의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효과
Safety Effects against Nitrite and Nitrosamine as well as Anti-mutagenic Potentials of Kale and Angelica keiskei Vegetable Ju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8, 2014년, pp.1207 - 1216  

김종대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옥환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종석 (강원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정혜연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보경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신선초를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비교하였다. 유기농 채소즙의 안전성 측정을 위해 질산염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케일즙의 경우 유기농 및 일반농의 함량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신선초즙의 경우 유기농이 일반농보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량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7종류의 니트로사민 모두가 이들 채소즙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니트로사민의 저해물들이 반응하는 위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위액에서의 소화과정 중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기농 및 일반농 채소즙의 질산염 함량은 인공소화 전보다 후의 함량이 현저히 낮아졌다. 인공 위액계에서 채소즙은 아질산염과 2급 아민에 의해 생성되는 니트로사민의 생성을 오히려 크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채소즙의 돌연변이 유발 및 저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Ames test를 한 결과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었으며, 유기농 채소즙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일반농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 채소즙의 주재료가 되는 유기농 케일 및 신선초는 질산염, 아질산염 등의 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소화과정에서 전환되어 니트로사민을 생성하지 않았고 항돌연변이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getables contain high levels of nitrate, which can be converted to nitrite for reaction with secondary amines to form nitrosamin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safety effects against nitrite and nitrosamine as well as anti-mutagenic activities of vegetable juices. To do this, the contents of ni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채소즙 중 일반농과 유기농 케일 및 신선초 채소즙을 선택하여 생채소 그 자체를 사용하는 채소즙의 특성상 안전성 연구를 위하여 인공소화 시채소즙의 NO3, NO2 및 니트로사민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채소즙이 위에서 인공소화시 NO3 및 NO2의 변화와 NDMA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고, Ames test를 통해 돌연변이 유발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유기농 채소즙의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케일(Brassica oleracea)은 암 예방 효과가 좋다고 알려진 십자화과 채소들 중의 하나로써 우리나라에는 도입된 지는 얼마 되지 않으나 녹즙과 쌈용으로 꾸준히 애용되고 있으며, 플라보노이드, 클로로필, 섬유소, 비타민C, β-carotene, benzyl isothiocyanate와 phenylethyl isothiocyanate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가 기대되고 있다(44).
  • Typhimurium TA100 등을 이용하는데, 균주에 돌연변이 물질을 노출시킨 다음 minimal glucose agar plate에 형성된 his 복귀 돌연변이의 colony 수를 계수하여 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 성의 유무를 판정한다 (41). 니트로사민 생성에 안정했던 채소즙이 기존에 알려진 바와 같이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는지 Ames test 방법을 이용해 연구하였다. 일반농 및 유기농 채소즙이 항돌연변이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신선한 채소즙을 4°C, 9,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4°C에서 4일 교반하여 투석(Mw 12,000, cellulose tubing, Sigma-Aldrich Co.
  •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과 신선초 착즙액의 질산염, 아질산염 및 니트로사민 함량을 평가하였고, 인공위액에서의 소화과정 중 채소즙의 질산염, 아질산염의 변화 및 N-nitrosodimethylamines(NDMA) 생성 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채소즙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채소즙의 섭취가 소화시에 아질산염 및 발암성 니트로사민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과 신선초 착즙액의 질산염, 아질산염 및 니트로사민 함량을 평가하였고, 인공위액에서의 소화과정 중 채소즙의 질산염, 아질산염의 변화 및 N-nitrosodimethylamines(NDMA) 생성 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채소즙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과 신선초를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비교하였다. 유기농 채소즙의 안전성 측정을 위해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케일즙의 경우 유기농 및 일반농의 함량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 이로써 오히려 암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할 가능성이 있기에 이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채소즙 중 일반농과 유기농 케일 및 신선초 채소즙을 선택하여 생채소 그 자체를 사용하는 채소즙의 특성상 안전성 연구를 위하여 인공소화 시채소즙의 NO3, NO2 및 니트로사민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채소즙이 위에서 인공소화시 NO3 및 NO2의 변화와 NDMA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고, Ames test를 통해 돌연변이 유발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유기농 채소즙의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채소즙이란? 채소즙이란 생채소를 마쇄(녹즙기 이용)하여 인체가 영양소를 흡수하기 쉬운 상태로 제조된 즙이며, 생채소의 영양을 가장 많이 섭취할 수 있는 방식을 구현한 식품이라 할 수 있다(1,2). 채소류에는 β-carotene, 비타민 C 및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와 다양한 페놀성 성분이 함유되어 항산화 활성을 포함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열처리에 의해 40∼90% 손실되는 가장 민감한 영양소는 무엇인가? 이러한 채소는 열을 가하는 조리과정을 통해 자체 내의 효소가 불활성화되거나 각종 비타민 및 여러 미량 영양소 등이 파괴된다. 특히 비타민 C는 열처리에 의해 40∼90% 손실되는 가장 민감한 영양소이므로 이러한 영양성분을 고려하였을 때 채소 및 과일은 생으로 먹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6,7).
아질산염 섭취로 인해 헤모글로빈의 2가철을 3가철로 산화시켜 메트헤모글로빈으로 전환시킴으로써 methemoglobinemia이 유발되는 과정이 유아들에게 어떤 위험을 발생시키는가? 아질산염은 헤모글로빈의 2가철(Fe2+; ferrous)을 3가철(Fe3+; ferric form)로 산화시켜 메트헤모글로빈(metHb)으로 전환시킴으로써 methemoglobinemia를 유발한다(9). 이러한 전환과정은 비가역적이어서 결국 산소전달에 문제를 일으키며 주로 유아들에게 이러한 기전으로 무산소증이 발생해 사망한다는 보고가 있다(10). 또한 아질산염은 산성 조건 하에서 2급 아민과 반응하여 발암성 물질인 니트로사민(nitrosamines)을 형성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Halliwell B, Murcia MA, Chirico S, Aruoma OI. 1995.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food and in vivo: what they do and how they work. Crit Rev Food Sci Nutr 35: 7-20. 

  2. Bhardwaj RL, Pandey S. 2011. Juice blends-a way of utilization of under-utilized fruits, vegetables, and spices: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51: 563-570. 

  3. Scalbert A, Williamson G. 2000. Dietary intake and bioavailability of polyphenols. J Nutr 130: 2073S-2085S. 

  4. Riccioni G, D'Orazio N, Salvatore C, Franceschelli S, Pesce M, Speranza L. 2012. Carotenoids and vitamins C and E i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t J Vitam Nutr Res 82: 15-26. 

  5. Zhang J, Hou X, Ahmad H, Zhang H, Zhang L, Wang T. 2014. Assessment of free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of seven natural pigments and protective effects in AAPHchallenged chicken erythrocytes. Food Chem 145: 57-65. 

  6. Arroqui C, Rumsey TR, Lopez A, Virseda P. 2001. Effect of different soluble solids in the water on the ascorbic acid losses during water blanching of potato tissue. J Food Eng 47: 123-126. 

  7. Howard LA, Wong AD, Perry AK, Klein BP. 1999. ${\beta}$ -Carotene and ascorbic acid retention in fresh and processed vegetables. J Food Sci 64: 929-936. 

  8. White JW Jr. 1975. Relative significance of dietary sources of nitrate and nitrite. J Agric Food Chem 23: 886-891. 

  9. Gangolli SD, van den Brandt PA, Feron VJ, Janzowsky C, Koeman JH, Speijers GJ, Spiegelhalder B, Walker R, Wisnok JS. 1994.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Eur J Pharmacol 292: 1-38. 

  10. Shumilova TE, Nozdrachev AD, Va?nshte?n GB, Semernia VN, Shereshkov VI, Ianvareva IN, Panov AA. 2006. Oxygen consumption in rat brain tissues in conditions of acute nitrite methemoglobinemia. Zh Evol Biokhim Fiziol 42: 63-67. 

  11. Avasilcai L, Cuciureanu R. 2011. Nitrates and nitrites in meat products-nitrosamines precursors. Rev Med Chir Soc Med Nat Iasi 115: 606-611. 

  12. Sen NP, Smith DC, Schwinghamer L. 1969. Formation of N-nitrosamines from secondary amines and nitrite in human and animal gastric juice. Food Cosmet Toxicol 7: 301-307. 

  13. Chow CK, Hong CB. 2002. Dietary vitamin E and selenium and toxicity of nitrite and nitrate. Toxicology 180: 195-207. 

  14. Hecht SS. 1997. Approaches to cancer preven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N-nitrosamine carcinogenesis. Proc Soc Exp Biol Med 216: 181-191. 

  15. Chung MJ, Lee SJ, Choi SY, Sung NJ. 2003. Screening of effective components from kale to inhibit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23-229. 

  16. Lee SY, Munerol B, Pollard S, Youdim KA, Pannala AS, Kuhnle GG, Debnam ES, Rice-Evans C, Spencer JP. 2006. The reaction of flavanols with nitrous acid protects against N-nitrosamine formation and leads to the formation of nitroso derivatives which inhibit cancer cell growth. Free Radic Biol Med 40: 323-334. 

  17. Cappellani A, Zanghi A, Di Vita M, Cavallaro A, Piccolo G, Veroux P, Lo Menzo E, Cavallaro V, de Paoli P, Veroux M, Berretta M. 2013. Strong correlation between diet and development of colorectal cancer. Front Biosci (Landmark Ed) 18: 190-198. 

  18. Lin Q, Shen J, Ning Y, Shen S, Das UN. 2013. Inhibitory effects of water caltrop pericarps on the growth of human gastric cancer cells in vitro. Curr Pharm Des 19: 7473-7478. 

  19. Zinov'eva VN, Spasov AA. 2012. Mechanisms of plant polyphenols anti-cancer effects. I. Blockade of carcinogenesis initiation. Biomed Khim 58: 160-175. 

  20. Kurechi T, Kikugawa K, Fukuda S. 1980. Nitrite-reacting substances in Japanese radish juice and their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J Agric Food Chem 28: 1265-1269. 

  21. Raikos N, Fytianos K, Samara C, Samanidou V. 1988.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techniques for nitrate determination in environmental water samples. Fresenius Z Anal Chem 331: 495-498. 

  22. Yu SY, Lee YJ, Song HS, Hong HD, Lim JH, Choi HS, Lee BY, Kang SN, Lee OH. 2012. Antioxidant effec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xtract from Acanthopanax cortex shoot. Korean J Food & Nutr 25: 793-799. 

  23. Hotchkiss JH, Barbour JF, Scanlan RA. 1980. Analysis of malted barley for N-nitrosodimethylamine. J Agric Food Chem 28: 678-680. 

  24. Sung NJ, Klausner KA, Hotchkiss JH. 1991. Influence of nitrate, ascorbic acid, and nitrate reductase microorganisms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Korean-style soysauce fermentation. Food Addit Contam 8: 291-298. 

  25. Mao Y, McClements DJ. 2012. Influence of electrostatic heteroaggregation of lipid droplets on their stability and digestibility under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Food Funct 3: 1025-1034. 

  26.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27. Walker R. 1975. Naturally occuring nitrate/nitrite in foods. J Sci Food Agric 26: 1735-1742. 

  28. Park YS. 1998. Nitrate content and organophosphorus pesticide residues in edible part of organic farming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71-476. 

  29. Walker R. 1996. The metabolism of dietary nitrites and nitrates. Biochem Soc Trans 24: 780-785. 

  30. Sutandyo N. 2010. Nutritional carcinogenesis. Acta Med Indones 42: 36-42. 

  31. Anderson LM, Beebe LE, Fox SD, Issaq HJ, Kovatch RM. 1991. Promotion of mouse lung tumors by bioaccumulated polychlorinated aromatic hydrocarbons. Exp Lung Res 17: 455-471. 

  32. Cooney RV, Ross PD. 1987. N-nitrosation and N-nitration of morpholine by nitrogen dioxide in aqueous solution: effects of vanillin and related phenols. J Agric Food Chem 35: 789-793. 

  33. Pignatelli B, Bereziat JC, Descotes G, Bartsch H. 1982. Catalysis of nitrosation in vitro and in vivo in rats by catechin and resorcinol and inhibition by chlorogenic acid. Carcinogenesis 3: 1045-1049. 

  34. Walker R. 1990. Nitrates, nitrites and N-nitrosocompounds: a review of the occurrence in food and diet and the toxicological implications. Food Addit Contam 7: 717-768. 

  35. Lee SJ, Chung MJ, Shin JH, Sung NJ. 2000. Effect of natural plant components on the nitrite-scavenging. J Fd Hyg Safety 15: 88-94. 

  36. Tannenbaum SR, Wishnok JS, Leaf CD. 1991.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ascorbic acid. Am J Clin Nutr 53: 247S-250S. 

  37. Walker EA, Pignatelli B, Friesen M. 1982. The role of phenols in catalysis of nitrosamine formation. J Sci Food Agric 33: 81-88. 

  38. Chung FL, Morse MA, Eklind KI, Xu Y. 1993. Inhibition of tobacco-specific nitrosamine-induced lung tumorigenesis by compounds derived from cruciferous vegetables and green tea. Ann NY Acad Sci 686: 186-201. 

  39. Kuenzig W, Chau J, Norkus E, Holowaschenko H, Newmark H, Mergens W, Conney AH. 1984. Caffeic and ferulic acid as blockers of nitrosamine formation. Carcinogenesis 5: 309-313. 

  40. McCann J, Choi E, Yamasaki E, Ames BN. 1975. Detection of carcinogenesis as mutagens in the Salmonella/microsome test: Assay of 300 chemicals. Proc Natl Acad Sci USA 72: 5135-5139. 

  41. Ames BN. 1979. Identifying environmental chemicals causing mutations and cancer. Science 204: 587-593. 

  42. Chung SY, Kim HW, Yoon S. 1999. Analysis of antioxidant nutrients in green yellow vegetabl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80-886. 

  43. Jeon EJ, Kim JS, Park YK, Kim TS, Kang MH. 2003. Protective effect of yellow-green vegetables juices on DNA damage in Chinese hamster lung cell using comet assay. Korean J Nutr 36: 24-31. 

  44. Ahluwalia KS, Roy SK, Chatterjee SS, Swarup V. 1979. Kale - a nutritionally rich vegetable. Indian Horticulture 24: 9-10. 

  45. Lee SM, Kim KH, Rhee SH, Park KY. 2000. Antitumorigenic and immunologic effects of kale extracts and chlorophyllin on sarcoma 180 cell-transplanted mice. J Cancer Prev 5: 31-38. 

  46. Lee SM, Rhee SH, Park KY. 1993. Antimutagenic effect of soluble dietary fibers from kale and soybean. Environ Mutagen Carcinog 13: 26-35. 

  47. Olvera O, Zimmering S, Arceo C, Cruces M. 1993. The protective effects of chlorophyllin in treatment with chromium (VI) oxide in somatic cells of Drosophila. Mutat Res 301: 201-204. 

  48. Okuyama T, Takata M, Takayasu J, Hasegawa T, Tokuda H, Nishino A, Nishino H, Iwashima A. 1991. Anti-tumorpromotion by principles obtained from Angelica keiskei. Planta Med 57: 242-246. 

  49. Park WB, Kim DS. 1995. Changes of contents of ${\beta}$ -carotene and vitamin 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75-3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