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ehalose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밀가루 대비 설탕을 6% 첨가한 것을 대조구로 하여 설탕 6%와 함께 trehalose를 각각 2, 4, 6%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였다. 부피 및 비용적, 굽기손실률, 조직감,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crumb 색도 등을 분석하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부피와 비용적은 trehalose 4% 첨가구가 2,140 mL 및 3.96 mL/g으로 가장 컸고, 굽기손실률은 6% 첨가구가 9.07%로 가장 적었다. 조직감 분석에서 경도는 저장 7일까지 trehalose 4%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수분 함량과 수분활성도는 저장 7일 동안 trehalose 6%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crumb 색도는 6% 첨가구가 가장 밝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trehalose 4% 첨가구가 96.1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trehalose 첨가량을 달리한 식빵 제조 실험에서 제품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빵에 활용 시 품질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ehalos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asic formula consisted of bread flour, 6% sucrose, and 0, 2, 4, 6% trehalose, respectively. Loaf volume, specific loaf volume, baking loss rate,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crumb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이 우수한 trehalose를 제빵분야에 이용하고자 설탕을 6% 사용하는 식빵 제조에 밀가루 사용량 대비 trehalose를 0, 2, 4, 6% 첨가하였다. 제품 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부피 및 비용적, TPA에 의한 조직감, 수분 함량, 수분활성도, crumb 색도 등의 분석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노화를 지연하는 효과를 얻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빵은 무엇인가? 빵이란 밀가루를 주재료로 반죽을 만들어 효모에 의하여 발효시켜 굽거나 찌거나 튀기거나 하여 만드는 제품을 말한다(1).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외식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빵에 대한 인식도 변하여 간식에서 주식의 개념으로 바뀌고 양보다는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소비량도 매년 증가 하고 있다.
trehalose는 어느 나라에서 처음 개발되었는가? 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외식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빵에 대한 인식도 변하여 간식에서 주식의 개념으로 바뀌고 양보다는 질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소비량도 매년 증가 하고 있다. 일본에서 처음 개발되어 식품의 품질 개량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trehalose는 여러 종류의 식물, 조류, 곰팡이, 효모, 세균, 곤충, 무척추 동물 등에서 발견되나 포유동물에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Trehalose(α,α-trehalose)는 포도당 두 분자가 α,α-1,1-glucoside 결합을 하고 있는 이당류로(3), 산에 의하여 쉽게 가수분해 되지 않고 glucosidase에 의해서도 분해되지 않는다.
Trehalose의 감미도는 설탕에 비해 어느 정도인가? Trehalose(α,α-trehalose)는 포도당 두 분자가 α,α-1,1-glucoside 결합을 하고 있는 이당류로(3), 산에 의하여 쉽게 가수분해 되지 않고 glucosidase에 의해서도 분해되지 않는다. 감미도는 설탕에 비하여 45% 정도(4,5)이며, 인체에 해가 없어 하루 50 g까지는 섭취하여도 무방하다(6). 전통적으로는 효모나 버섯 같은 식물로부터 추출하였으나 화학적 합성, 미생물 발효공법, 효소를 이용한 maltose로부터 전환, 최근에 유전자 조합 기술 등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e JH, Yun MS, Bog JH, Park DG, Son DH, U HS, Lee GJ, Jo HL. 2012. New practical bread & cake. Jigumoonwhasa, Seoul, Korea. p 34, 138. 

  2. Elbein AD. 1974. The metabolism of alpha, alpha-trehalose. Adv Carbohydr Chem Biochem 30: 227-256. 

  3. Birch GG. 1963. Trehalose. In Advances in Carbohydrate Chemistry. Wolfrom ML, Tyson RS, eds. Academic Press, New York, NY, USA. p 201-225. 

  4. Ohtake S, Wang YJ. 2011. Trehalose: current use and future applications. J Pharm Sci 100: 2020-2053. 

  5. Higashiyama T. 2002. Novel functions and applications of trehalose. Pure Appl Chem 74: 1263-1269. 

  6. Richards AB, Krakowka S, Dexter LB, Schmid H, Wolterbeek AP, Waalkens-Berendsen DH, Shigoyuki A, Kurimoto M. 2002. Trehalose: a review of properties, history of use and human tolerance, and results of multiple safety studies. Food Chem Toxicol 40: 871-898. 

  7. Murao S, Nagano H, Ogura S, Nishino T. 1985. Enzymatic synthesis of trehalose from maltose. Agric Biol Chem 49: 2113-2118. 

  8. Masaru K. 1999. Trehalose production with a new enzymatic system from Sulfolobus solfataricus KM1. J Mole Catalysis B: Enzymatic 6: 223-233. 

  9. Imamura K, Ogawa T, Sakiyama T, Nakanishi K. 2003. Effects of types of sugar on the stabilization of protein in the dried state. J Pharm Sci 92: 266-274. 

  10. Takeuchi K, Banno N. 2000. Function and application of trehalose: Application of cosmetical and pharmaceutical field. Fragrance J 5: 101-103. 

  11. Tanaka K. 2009. Development of trehalose and its properties. Food Ind 52: 45-51. 

  12. AACC. 1985. Approved methods of AACC.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s 10-10b. 

  13. Hallen E, Ibanoglu S, Ainsworth P. 2004. Effect of fermented/germinated cowpea flour addition on the rheological and b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J Food Eng 63: 177-184. 

  14. KFDA. 2002. Korean Food Code.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3-4. 

  15. Ronald HZ. 1993. Bread lecture book. American Institute of Baking, Manhattan, KS, USA. p 1311, 1317. 

  16. SAS. 2001. User's guide. ver. 8.2. SAS Institute, Cary, NC, USA. 

  17. Pyler EJ. 1988.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Sosland Publishing Company, Kansas City, MO, USA. Vol II, p 742. 

  18. Kotoki D, Deka SC. 2010. Baking loss of bread with special emphasis on increasing water holding capacity. J Food Sci Technol 47: 128-131. 

  19. Kopjar M, Pilizota V, Hribar J, Tiban NN, Subaric D, Babic J, Pozrl T. 2008. Influence of trehalose addition on instrumental textural properties of strawberry pastes. Int J Food Prop 11: 646-655. 

  20. Minervini F, Pinto D, Di Cango R, De Angelis M, Gobbetti M. 2011. Scouting the application of sourdough to frozen dough bread technology. J Cereal Sci 54: 296-304. 

  21. Gil MJ, Callejo MJ, Rodriguez G. 1997. Effect of water content and storage time on white pan bread quality: instrumental evaluation. Z Lebensm Unters Forsch A 205: 268-273. 

  22. Kang HJ, Kim SH, Lim JK. 2010. Effect of trehalose on moisture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instant Baekseolgi prepared by microwave oven.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04-309. 

  23. Puhr DP, D'Appolonia BL. 1992. Effect of baking absorption on bread yield, crumb moisture, and crumb water activity. Cereal Chem 69: 582-586. 

  24. Czuchajowska Z, Pomeranz Y, Jeffers HC. 1989. Water activity and moisture content of dough and bread. Cereal Chem 66: 128-132. 

  25. Kubota M, Sawatani I, Oku K, Takeuchi K, Murai S. 2004. The development of ${\alpha}$ , ${\alpha}$ -trehalose production and its applications. J Appl Glycosci 51: 63-70. 

  26. Kazuyuki O, Ikuo S, Sumio S, Mitsuyuki K, Kanou T, Sae M, Mayumi K, Michio K, Shigeharu F. 2002. Functional properties of trehalose. J Appl Glycosci 49: 351-357. 

  27. Nishant KJ, Ipsita R. 2008. Effect of trehalose on protein structure. Protein Sci 18: 24-36. 

  28. Edoardo C, Antonella F, Iolanda A, Lamia AA, Vincenzo F. 2008. Characterization of the Maillard reaction in bread crisps. Eur Food Res Technol 228: 311-319. 

  29. Drazenka K, Tomislav L, Karin KG, Jasenka GK, Mara B. 2005. Trehalose improves flavour retention in dehydrated apricot puree. Int J Food Sci Technol 40: 425-435. 

  30. Selomulyo VO, Zhou W. 2007. Frozen bread dough: effects of freezing storage and dough improvers. J Cereal Sci 45: 1-17. 

  31. Alma DTV, Jorge CP, Rosalva ME, Reynold RFR, Gustavo FGL, Georgina CD. 2010. Dough and crumb grain changes during mixing and fermentation and their relation with extension properties and bread quality of yeasted sweet dough. Int J Food Sci Technol 45: 530-539. 

  32. Trevisol ET, Panek AD, Mannarino SC, Eleutherio EC. 2011. The effect of trehalose on the fermentation performance of aged cell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ppl Microbiol Biotechnol 90: 697-7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