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된장의 숙성 기간에 따른 감각·화학적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by Aging Perio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720 - 728  

구경형 (한국식품연구원) ,  박경민 (한국식품연구원) ,  김현정 (한국식품연구원) ,  김윤숙 (한국식품연구원) ,  구민선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기 숙성된 우리 된장의 품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숙성 기간이 다양한 된장을 수집하여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품질특성과 감각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1년 숙성부터 9년 숙성 된장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등의 일반성분과 염도는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숙성 기간에 따른 경향도 없었다. 또한 아플라톡신 생성 곰팡이 등 위해 미생물도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아서 미생물학적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1년 숙성 된장이 1,052.5 mg%였으며, 2~5년 숙성 된장은 904.0~997.0 mg%였고 5년 이후 숙성된 된장은 1,219.5~1,307.0 mg%였다. 숙성 기간 동안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표면 색도였으며, 숙성 기간에 따라 밝기와 황색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콩에 포함된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 함량비는 9년 숙성된 된장에서도 유지되어 전체 지방산의 55% 이상을 차지하였고, 된장의 주요 유리당인 fructose는 1.6~2.2% 범위였다. 이소플라본 조성은 메주에서는 glycoside 형태가 77.1%를 차지하였으나, 숙성 1년 된장부터는 aglycon 형태의 이소플라본만 검출되었고 genistein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숙성 기간별 된장의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숙성 기간에 따라 색도, 점도, 간장 냄새, 비린 냄새, 메주 냄새, 간장 맛 등의 변화가 있어서, 메주에서 오는 맛과 향은 숙성 기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지만 간장 맛과 향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숙성 기간별로 된장의 관능적 특징 유사성을 계층적 군집분석 실시한 결과, 숙성 기간에 따라 1~5년 그룹과 6~9년 된장으로 분류하였으며 5년 이하 숙성된 된장은 1년, 2년, 3~5년 숙성된 된장 그룹으로 나눠져 숙성기간별 관능적 품질특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quality of Doenjang, fermented Korean soybean paste, subjected to long-term aging, this study performed physico-chemical analyse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aging period (from 1 to 9 years). Regarding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Doenjang according to aging pe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1년 이상 숙성된 된장의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관능적 품질특성의 차이를 규명하여 고유 된장의 품질 향상 및 맛을 계승 발전시키는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장기 숙성된 우리 된장의 품질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숙성 기간이 다양한 된장을 수집하여 숙성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품질특성과 감각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1년 숙성부터 9년 숙성 된장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등의 일반성분과 염도는 숙성 기간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숙성 기간에 따른 경향도 없었다.

가설 설정

  • 1)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된장의 발효 숙성의 형태는? 된장은 청국장, 쌈장, 고추장 등과 더불어 콩을 발효시켜 만든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곡류 단백질에서 부족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 미네랄, 비타민 등을 보충해 주는 영양학적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된장은 저온에서 제조되어 장기간의 발효 숙성 기간을 가지며 주로 세균 주도형으로 발효 숙성이 이루어져, 다른 나라의 콩 발효식품과는 발효 및 숙성 기간, 발효미생물 종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1-3). 최근 우리나라의 주거 형태와 사회 구조의 변화로 인해 가정에서 제조・섭취하였던 된장보다 공장에서 제조된 된장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된장이란 무엇인가? 된장은 청국장, 쌈장, 고추장 등과 더불어 콩을 발효시켜 만든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곡류 단백질에서 부족하기 쉬운 필수아미노산, 지방산, 유기산, 미네랄, 비타민 등을 보충해 주는 영양학적 우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된장은 저온에서 제조되어 장기간의 발효 숙성 기간을 가지며 주로 세균 주도형으로 발효 숙성이 이루어져, 다른 나라의 콩 발효식품과는 발효 및 숙성 기간, 발효미생물 종류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1-3).
된장의 발효 및 숙성에 따른 pH를 관찰한 결과,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 추이는? 7 mL/g으로 숙성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후 숙성 9년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pH는 숙성 1년에서 9년 동안 숙성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im MJ, Rhee HS. 1990.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6: 1-8. 

  2.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1994.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3. Park SK, Seo KI, Shon MY, Moon JS, Lee Y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6: 121-127. 

  4. Ahn SC, Bog HJ. 2007. Consumption pattern and sensory evaluation of traditional Doenjang and commercial Doenjang. Korean J Food Culture 22: 633-644. 

  5. Lee WJ, Cho DH. 1970.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 sauce fermentation. A study on the microflora changes during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13: 35-42. 

  6. Kim MH, Im SS, Yoo YB, Kim GE, Lee JH.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4. Separ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792-798. 

  7. Hong SS, Chung KS, Yoon KD, Cho YJ. 1996. Antimutagenic effect of solvent extracts of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s. Food Biotechnol 5: 263-267. 

  8. Shin ZI, Ahn CW, Nam HS, Lee HJ, Lee HJ, Moon TH. 1995. Fraction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s from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0-234. 

  9. Kim YT, Kim WK, Oh HI. 1995.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fibinolytic bacterial strain from Chungkookjang.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1-5. 

  10. Park JS, Lee MY, Kim KS, Lee TS. 1994.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from different types of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55-260. 

  11. Lee SJ, Ahn B. 2008. Thermal changes of aroma components in soybean paste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71-276. 

  12. Jung KO, Park SY, Park KY. 2006. Longer aging time increase the anticancer and antimetastatic properties of Doenjang. Nutrition 22: 539-545. 

  13. Park JS, Kim DH, Lee JK, Lee JY, Kim DH, Kim HK, Lee HJ, Kim HC. 2010. Natural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from aged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s potent tyrosinase and melanin formation inhibitors. Bioorg Med Chem Lett 20: 1162-1164. 

  14. Park JS, Park HY, Kim DH, Kim DH, Kim HK. 2008. ortho-Dihydroxyisoflavone derivatives from aged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paste) and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ioorg Med Chem Lett 18: 5006-5009. 

  15.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KS H 2119: Doenjang. Korean Industrial Standard, Gwacheon, Korea. 

  17. Hutchings JS. 1994. Instrumental specification. In Food Colour and Appearance.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Bedford, UK. p 217-223. 

  18.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99. 

  19.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Sci Technol 28: 25-30. 

  20. Van den Berg B, Haenen GRMM, Van den Berg H, Bast A. 1999.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66: 511-517. 

  21. KFDA. 2009.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10-3-1-43. 

  22. Meilgaard M, Civvle GV, Carr BT. 1991.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2nd ed. CRC press, Boston, MA, USA. p 53-54. 

  23. SAS. 1988. SAS/STAT User's Guide. Version 6. 2th ed.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Inc., Cary, NC, USA. 

  24. Park SK, Seo KI, Choi SH, Moon JS, Lee YH. 2000. Quality assessment of commercial Doenjang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11-217. 

  25. Jo SJ, Hong CO, Yang SY, Choi KK, Kim HK, Yang H, Lee KW. 2011. Changes in contents of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and isoflavones in traditional Korean Doenjang by ripening peri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57-564. 

  26. Kim JG. 2004. Changes of compound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J Fd Hyg Safety 19: 31-37. 

  27. Kwon DJ, Kim YJ, Kim HJ, Hong SS, Kim HK. 1998. Changes of color in Doenjang by different browning fact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000-1005. 

  28. Lee KS, Lee JC, Lee JK, Hwang ES, Lee S, Oh MJ. 2002. Quality of 4-recommended soybean cultivars for Meju and Doenjang. Korean J Food Preserv 9: 205-211. 

  29. Anna G, Santosh K, Shihikura Y, Anna GS, Marzanna H, Jozef K.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tea extracts in lipids and correlation with polyphenol content. Eur J Lipid Sci Technol 108: 351-3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