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장류 유래 Bacillus sp.를 이용한 콩 발효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by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bean Past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5, 2014년, pp.756 - 762  

이선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식품과) ,  엄정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식품과) ,  최혜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 장류 유래 효소 활성항균 활성 우수 Bacillus sp.를 스타터로 한 콩 발효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균수는 HJ5-2를 접종한 시료가 $3.00{\times}10^9CFU/mL$로 가장 높았으며, 유산균은 스타터 첨가 콩 발효물에서 $2.50{\times}10^2{\sim}7.30{\times}10^4CFU/mL$를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접종된 균주가 우점종이 된 것을 확인하였다. ${\alpha}$-Amylase 활성은 RD7-7(20.82 unit/mL)과 HJ18-4(18.45 unit/mL), protease 활성은 RD7-7(647.92 unit/mL)을 접종한 콩 발효물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당 함량은 HJ18-4(2.35%),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RD7-7(227.96 mg%) 접종 콩 발효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arginine 순으로 검출되었다. 유기산oxalic acid(36.51~63.57 mg/100 g)가 모든 실험군에서 검출되었으며, succinic acid(600.15~429.49 mg/100 g)는 control과 RD7-7 접종 콩 발효물에서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28종(esters 3종, ketones 6종, aldehydes 2종, alcohols 4종, hydrocarbons 2종, pyrazines 2종, acids 4종, 기타 4종)이 검출되었으며, RD7-7과 HJ18-4를 접종한 콩 발효물에서 23종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고품질 장류용 스타터 개발을 위한 단일균 접종 콩 적용 시험으로 향후 혼합배양 스타터 개발 및 기능성 콩 발효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fermented with several Bacillus sp., which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high enzymatic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otal aerobic bacterial counts of fermented soybeans with HJ5-2 ($3.00{\times}10^9CFU/mL$) were the highest am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일 접종 콩 발효물의 품질 특성을 규명하여 기능성 콩 발효물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향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28종(esters 3종, ketones 6종, aldehydes 2종, alcohols 4종, hydrocarbons 2종, pyrazines 2종, acids 4종, 기타 4종)이 검출되었으며, RD7-7과 HJ18-4를 접종한 콩 발효물에서 23종의 향기 성분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고품질 장류용 스타터 개발을 위한 단일균 접종 콩 적용 시험으로 향후 혼합배양 스타터 개발 및 기능성 콩 발효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 또는 된장의 메주를 발효 시킬 때 어떤 균이 이용되는가? 콩 발효식품에 영양과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관여하는 미생물의 종류이며, 균주 및 발효조건에 따라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이 생성되고 기능성이 달리 나타난다. 대두 발효식품인 청국장 또는 된장의 메주를 발효시킬 경우, 볏짚에 존재하는 고초균이 이용되어 왔다. 볏짚 유래의 Bacillus sp.
대두는 어떤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가? 대두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식품 원료 및 식물유래 기능성 소재로서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1). 대두는 isoflavone, saponin, phytic acid, oligo-saccharides 등과 같은 기능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2). 발효 중 미생물 유래 효소들에 의해 콩의 섬유질 성분과 세포내 당류 그리고 단백질 등이 분해되어 소화율이 향상되며(3), amide, peptone, polyglutamate, polypeptide 등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생성되어 혈압 강하(4), 혈전 용해능(5), 항암 효과(6), 항산화(7) 등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볏짚 유래의 Bacillus sp가 분비하는 다양한 효소 중에서 protease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는 다양한 효소(protease, amylase, cellulase 등)를 분비하여 생리활성을 가지는 다양한 대사물질을 생산한다. 분비되는 protease는 카제인 분해능, 젤라틴 분해능의 특성을 지니고 발효 중 특유의 맛과 향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8,9). 콩 발효식품의 이취는 Bacillus s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im JS. 1996. Current research trends on bioactive function of soybean. Korean Soybean Digest 13(2): 17-24. 

  2. Eom SM, Jung BY, OH HI. 2009.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s during fermentation. J Appl Biol Chem 52: 133-141. 

  3. Lee JO, Ha SD, Kim AJ, Yuh CS, Bang IS, Park SH. 2005. Industrial applic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eonggukjang. Food Sci Ind 38: 69-78. 

  4. Cho YJ, Cha WS, Chun SS, Choi UK, Bok SK, Kim MU. 2000. Production and separation of anti-hypertensive peptide during chunggugjang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CH-1023.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247-252. 

  5. Kim IJ, Kim HK, Chung JH, Jeong YK, Ryu CH. 2002. Study of functional chungkukjang contain fibrinolytic enzyme. Korean J Life Sci 12: 357-362. 

  6. Zheng YF, Jeong JK, Choi HS, Park KY. 2011. Increas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chu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SKm.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694-1699. 

  7. Lee JJ, Cho CH, Kim JY, Lee DS, Kim HB.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substances extracted by alcohol from Chungkookjang powder. Kor J Microbiol 37: 177-181. 

  8. Hwang HA, Lee NK, Cho IJ, Hahm YT, Kwon KO, Kim BY. 2008. Selection of microorganisms and optimization of manufacture process for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06-411. 

  9. Son DH, Kwon OJ, Ji WD, Choi UK, Kwon OJ, Lee EJ, Cho YJ, Cha WS, Chung YG. 2000. The quality change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p. CS-17 during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6. 

  10. Allagheny N, Obanu ZA, Campbell-Platt G, Owens JD. 1996. Control of ammonia formation during Bacillus subtilis fermentation of legumes. Int J Food Microbiol 29: 321-333. 

  11. Kim YS, Jung HJ, Park YS, Yu TS. 2003. Characteristics of flavor and functionality of Bacillus subtilis K-20 chu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75-478. 

  12.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niform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04-210. 

  13. Ashiuchi M, Kamei T, Baek DH, Shin SY, Sung MH, Soda K, Yagi T, Misono H. 2001. Isolation of Bacillus subtilis (chungkookjang), a poly-gamma-glutamate producer with high genetic competence. Appl Microbiol Biotechnol 57: 764-769. 

  14. Yoon KH. 2012. Properties of ${\beta}$ -galactosid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d from Cheongkookjang.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 17-22. 

  15. Yoon KH, Shin HY. 2010. Medium optimization for the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licheniformis isolated from Cheongkookjang. Kor J Mocrobiol Biotechnol 38: 385-390. 

  16. Kim SS, Lee JH, Ahn YS, Kim JH, Kang DK. 2003. A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D4-7 isolated from Chungkook-Jang: its characterization and influence of additives on thermostability. Kor J Microbiol Biotechnol 31: 271-276. 

  17. Lee DG, Kim NY, Jang MK, Yoo BH, Kim KY, Kim SG, Jeong YK, Lee SH. 2006. Isolation of a fibrinolytic bacterium from Cheongkukjang and characterization of its bioactivity. Kor J Microbiol Biotechnol 34: 299-305. 

  18. Kwon HY, Kim YS, Kwon GS, Kwon CS, Sohn HY. 2004. Isolation of immuno-stimulating strain Bacillus pumilus JB-1 from Chungkook-jang and fermentational characteristics of JB-1. Kor J Microbiol Biotechnol 32: 291-296. 

  19. Woo SM, Kwon SH, Jeong YJ. 2006. Selec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kukjang stains. Korean J Food Preserv 13: 77-82. 

  20. Choi UK, Son DH, Ji WD, Im MH, Choi JD, Chung YG. 1998. Changes of taste components and palatability during chungkukjang fermentation by Bacilllus subtillis DC-2. J Koream Soc Food Sci Nutr 27: 840-845. 

  21. Kim HJ, Lee JJ, Cheigh MJ, Choi SY. 1998.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33-1338. 

  22. Yoon KS. 1988. Changes of enzymatic activ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bean-soy paste by Aspergillus spp. MS Thesis. Kunkuk University, Seoul, Korea. 

  23. Choi HS, Joo SJ, Song IG, Min KB, Kim KS, Yoon HS. 2007.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u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 356-363. 

  24. Miller GL, Blum R, Glennon WE, Burton AL. 1960. Measurement of carboxymethylcellulase activity. Anal Biochem 2: 127-132. 

  25. Lee SY, Park NY, Kim JY, Choi H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doenjang during fermentation by differently shaped meju and adding starter. Korean J Food & Nutr 25: 505-512. 

  26. Lee NR, Go TH, Lee SM, Hong CO, Park KM, Park GT, Hwang DY, Son HJ. 2013.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epar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with different soybeans and fermentation temperatures. Kor J Microbiol 49: 71-77. 

  27. Suk AR. 2006. Quality of chungkookjang with wild microorganism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8. Park JS, Lee MY, Lee TS. 1995.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J Korean Soc Food Nutr 24: 917-924. 

  29. Hong SW, Kim JY, Lee BK, Chung KS. 2006. The bacterial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enriched cheongkukja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8-553. 

  30. Baek LM, Park LY, Park KS, Lee SH. 2008. Effect of starter cultures on the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00-405. 

  31. Rozan P, Kuo YH, Lambein F. 2000. Free amino acids presentin commercially available seedlings sold for human consumption. A potential hazard for consumers. J Agric Food Chem 48: 716-723. 

  32. Park JH, Han CK, Choi SH, Lee BH, Lee HJ, Kim SS. 2011. Development of odor-reduced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added with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59-2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