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장류 유래 유산균을 이용한 콩 발효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bean past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2, 2017년, pp.187 - 195  

이선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서보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엄정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혜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장류로부터 분리 된 효소 활성 및 probiotic효과가 우수한 유산균을 접종하여 제조된 콩 발효물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유산균을 접종한 콩 발효물이 $4.10{\times}10^9-7.75{\times}10^9CFU/mL$으로 나타났다. 유산균수를 측정 결과 유산균을 접종한 콩 발효물은 $2.85{\times}10^9-4.35{\times}10^9CFU/mL$으로 높게 나타났다. ${\alpha}-Amylase$ 활성 측정 결과 I13과 JSA22를 접종한 콩 발효물은 $1.05{\pm}0.91$, $3.13{\pm}1.39unit/mL$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JSB22는 $12.56{\pm}1.39unit/mL$으로 유산균 접종 콩 발효물 중 가장 높았다. Protease 활성 측정 결과, control이 $333.13{\pm}17.68unit/mL$으로 가장 높았으며, 유산균을 접종한 콩 발효물은 JSB22를 접종한 콩 발효물이 $166.67{\pm}2.37unit/mL$으로 높았다.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유산균 접종 콩 발효물 중 JSB22가 $1.23{\pm}0.035%$로 가장 높았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 또한 JSB22가 $94.52{\pm}3.86mg%$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함량을 측정한 결과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leusine 순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유기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lactic acid, oxalic acid가 많이 측정되었다. 향기분석 측정 결과 총 39종(ester류 2종, ketose 5종, alcohol 7종, hydrocarbons 14종, heterocyclic compounds 3종, acid 4종, other 5종)이 검출되었다. 세 가지 균주에서 공통적으로 benzene(81.43-98.54 ppm)과 acetic acid, ethyl ester(44.79-56.74 ppm)가 많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통장류 유래 기능성 우수 유산균주를 이용한 콩발효물의 기초적 품질특성에 관한 내용으로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관련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유산균 이용 생물전환에 의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생성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가 기능성 콩 발효소재 개발의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장류 품질개선 기능성 스타터 개발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fermented by selected lactic acid bacteria, which were the enzyme strains with high antimicrobial activities isolated from traditionally prepared soybean paste. We determined total aerobic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protease and amylas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산균 콩 발효물은 식품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맛, 향 및 보존성 유지에 관여하는 물질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probiotic 효과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robiotic 효과가 우수한 유산균을 이용하여 콩 발효물을 제조한 후 미생물학적 특성,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함량, 휘발성 향기 성분 등을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74 ppm)가 많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전통장류 유래기능성 우수 유산균주를 이용한 콩발효물의 기초적 품질특성에 관한 내용으로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관련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유산균 이용 생물전환에 의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생성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 3)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은 어떤 식품인가? 콩을 원료로 하는 발효식품인 된장, miso, tempeh는 발효미생물 유래 효소에 의해 분해 작용 및 생물전환에 의해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유용물질인 isoflavone은 발효 과정 중 비배당체로 되어 체내 흡수되기 좋은 상태로 변형된다(1,2). 청국장은 콩 발효식품 중 발효기간이 가장 짧으며, 그 풍미가 독특하고 여러 가지 필수아미노산과 식물성 지방 및 유기산 들을 많이 함유하여 영양적으로도 우수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청국장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는 맛, 향, texture, 색, 기능성 등이 있고, 이러한 특징은 발효미생물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다(3).
유산균이 들어있는 발효식품은 어떤 효과를 갖는 가? 유산균은 다양한 발효식품 제조에 사용되어 온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미생물로 알려져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균주가 많이 포함되어져 있다. 유산발효식품의 경우, 특유의 풍미 및 보존성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유당 불내증 완화작용, 정장작용, 병원성 균에 대한 항균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암작용, 면역 조절작용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9-11).
콩에 함유된 유용한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콩은 단백질 뿐 만 아니라 식이섬유, 인지질, isoflavonoids, phenolic acids, saponins, trypsin inhibitor, phytic acid 등의 유용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을 원료로 하는 발효식품인 된장, miso, tempeh는 발효미생물 유래 효소에 의해 분해 작용 및 생물전환에 의해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유용물질인 isoflavone은 발효 과정 중 비배당체로 되어 체내 흡수되기 좋은 상태로 변형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ui CB, Oh HS, Park JC, Nam KB, Lee DS, Ham SS (2004)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from fermented soybean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1, 214-220 

  2. Chung WY, Kim SK, Son JY (2008) Isoflavones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s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Bacillus natt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1-147 

  3. Beak LM, Kang KM, Park LY, Lee SH (2012)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koo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 Korean J Food Preserv, 19, 547-553 

  4. Baek LM, Park LY, Park KS, Lee SH (2008) Effect of starter cultrues on the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400-405 

  5. Lee SY, Eom JS, Choi H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by Bacillus sp. isolated from traditional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756-762 

  6. Yang M, Kwak JS, Jang SR, Jia Y, Park IS (201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bean yogurt by mixed culture of Bacillus sp. and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Nutr, 26, 273-279 

  7. Jang JK, Yoo SH (1997) Preparation of soy yogurt using isolated soybean protein and whey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28-1134 

  8. Lee JE, Lee SY (2001) Growth characteristics of Bifidobacteria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yogurt propared with different proteolytic enzymes and starter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03-610 

  9. Jung HK, Kim EY, Yae HS, Choi SJ, Jung JY, Juhn SL (2000)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fermented milks as probiotic functional foods.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29-35 

  10. Ann YG (2011)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Nutr, 24, 817-832 

  11. Tannock GW (1997)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plenty of scope for fundamental R&D. Trends Biotechnol, 15, 270-274 

  12. Ahn YJ, Choi HS (2014)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produ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749-755 

  13. Kim HJ, Lee JJ, Cheigh MJ, Choi SY (1998)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33-1338 

  14. Choi HS, Joo SJ, Yoon HS, Kim KS, Song IG, Min KB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eo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 356-363 

  15. Miller GL, Blum R, Glennon WE, Burton AL (1960) Measurement of carboxymethylcellulase activity. Anal Biochem, 1, 127-132 

  16. Lee SY, Park NY, Kim JY, Choi H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doenjang during fermentation by differently shaped Meju and adding starter. Korean J Food Nutr, 25, 505-512 

  17. Ju KE, Oh NS (2009) Effect of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quality of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99-404 

  18. Song HN, Jung K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soybean by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475-482 

  19. Park SY, Bang MA, Oh BJ, Park JH, Song WS, Choi KM, Choung ES, Boo HO, Cho SS (2013)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BC-P1. Korean J Microbiol, 49, 262-269 

  20. Mann SY, Kim EA, Lee GY, Kim RU, Hwang DY, Son HJ, Lee BW, Lee CY, Kim DS (2013)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MC31. J Life Sci, 23, 560-568 

  21.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04-210 

  22. Kim BR, Park CH, Ham SS, Lee SY (1995) Flavor component, fatty acid and organic acid of Natto with spice added. J Korean Soc Food Nutr, 24, 219-227 

  23. Kim DH, Lim DW, Bai S, Chun SB (1997)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Meju model system inoculated with 4 Bacill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006-1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