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한 쥐를 대상으로 천년초 추출물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Hypocholesterol Effect of Opuntia humifusa Extract on High Cholesterol Diet-induced Hypercholesterolemic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4, 2014년, pp.485 - 490  

정은영 (전주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연성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서형주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흰쥐를 이용하여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고 이에 천년초 추출물을 2, 4% 식이에 포함시켜 경구로 섭취 시의 천년초 추출물의 콜레스레롤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혈중 및 간 조직 내 지질성분, 혈중 간 손상 지표, 분변 내 지질 성분 및 담즙산을 분석하였다. 천년초 추출물 섭취는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상승된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정상 수준으로 감소시켰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증가시켜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고콜레스테롤 식이 유도로 인해 상승된 혈중 ALT와 AST는 천년초 추출물 처치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인해 상승된 간 조직 내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역시 천년초 추출물 처치로 인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되었다. 분변 내 중성 지방과 담즙산은 천년초 추출물 처치로 유의적으로 상승되어 천년물 추출물 섭취로 중성 지방과 담즙산 배설이 유도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천년초 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콜레스테롤이 유도된 쥐에 있어 콜레스테롤 개선 효과의 가능성 있는 식품 소재로 판단되며, 이를 인체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기전연구와 활성 물질 동정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ypocholesterol effects of Opuntia humifusa extract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Rats (8-week-old, mal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4) as follows: N-control, normal diet; H-control, hypercholesterolemic diet; OH-1, 2% O. humifusa extrac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주간 적응 후 실험동물은 사육케이지(42×28 cm)에서 실험실 온도 22~24℃, 습도 60±5%가 유지되며 밤낮 주기(12시간 light/ 12시간 dark)가 자동조절장치에 의해 조절되는 고려대학교 동물실에서 4주 동안 본 연구를 위해 사육되었다.
  • 본 연구는 천년초 추출물의 생리활성 중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였다. 기존의 천년초 추출물에 대한 국내 연구를 보면 Park 등(15)은 천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사염화탄소로부터 간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천년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연구에서 천년초의 ethyl acetate 분획물이 α-tocopherol과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으며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해 천년초 추출물의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고 하였다(1).
  • 본 연구는 흰쥐를 이용하여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고 이에 천년초 추출물을 2, 4% 식이에 포함시켜 경구로 섭취 시의 천년초 추출물의 콜레스레롤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혈중 및 간 조직 내 지질 성분, 혈중 간 손상 지표, 분변 내 지질 성분 및 담즙산을 분석하였다.
  • 천년초 선인장의 일부 작용으로 알려져 있는 생리활성의 특성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백년초 선인장에서 나타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선에 대한 천년초 선인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흰쥐를 이용하여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고 이에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을 용량별로 처치하여 혈중 및 간 조직 내 지질 성분, 혈중 간 손상 지표, 분변 내 지질 성분 및 담즙산을 분석함으로 천년초 추출물의 콜레스레롤 개선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천년초 선인장은 지역특화산업을 위한 신 작물로의 개발이 유망 시 되고 있으나 백년초 선인장과 달리 아직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일부만이 밝혀져 있는 상태로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개발 연구의 소재로의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4). 천년초 선인장의 일부 작용으로 알려져 있는 생리활성의 특성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백년초 선인장에서 나타나는 고콜레스테롤혈증 개선에 대한 천년초 선인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흰쥐를 이용하여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도하고 이에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을 용량별로 처치하여 혈중 및 간 조직 내 지질 성분, 혈중 간 손상 지표, 분변 내 지질 성분 및 담즙산을 분석함으로 천년초 추출물의 콜레스레롤 개선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년초 선인장의 생산이 제한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백년초 선인장의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고 있지만 실제로 백년초 선인장은 내한성이 약하여 원료생산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늘어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한 품종 육성이 요구되고 있다. 천년초 선인장은 줄기의 모양이 백년초 선인장과 거의 흡사하나 총 길이가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oi SB, Bae GS, Park KC, Jo IJ, Seo SH, Song K, Lee DS, Oh H, Kim YC, Kim JJ, Shin YK, Park JH, Seo MJ, Song HJ, Park SJ. 2014. Opuntia humifusa ameliorated cerulein- induced acute pancreatitis. Pancreas 43: 118-127. 

  2. Feugang JM, Konarski P, Zou D, Stintzing FC, Zou C. 2006. Nutritional and medicinal use of cactus pear (Opuntia spp.) cladodes and fruits. Front Biosci 11: 2574-2589. 

  3. Leuenberger BE. 1993. Interpretation and typification of Cactus opuntia L., Opuntia vulgaris Mill., and O. humifusa (Rafin.) Rafin. (Cactaccae). Taxon 42: 419-429. 

  4. Cho JY, Park SC, Kim TW, Kim KS, Song JC, Kim SK, Lee HM, Sung HJ, Park HJ, Song YB, Yoo ES, Lee CH, Rhee MH. 2006. Radical scaveng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Opuntia humifusa Raf. J Pharm Pharmacol 58: 113-119. 

  5. Lee KS, Oh CS, Lee KY.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the fractions extracte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74-478. 

  6. Galati EM, Tripodo MM, Trovato A, d'Aquino A, Monforte MT. 2003. Biological activity of Opuntia ficus indica cladodes II: effect on experimental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Pharm Biol 41: 175-179. 

  7. Ohara Y, Peterson TE, Harrison DG. 1993. Hypercholesterolemia increases endothelial superoxide anion production. J Clin Invest 91: 2546-2551. 

  8. Trejo-Gonzalez A, Gabriel-Ortiz G, Puebla-Perez AM, Huizar- Contreras MD, Munguia-Mazariegos MR, Mejia-Arreguin S, Calva E. 1996. A purified extract from prickly pear cactus (Opuntia fuliginosa) controls experimentally induced diabetes in rats. J Ethnopharmacol 55: 27-33. 

  9. Lee KS, Lee KY. 2010. Biological activity of phenol compound from a cactus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132-1136. 

  10. Matos SL, Paula H, Pedrosa ML, Santos RC, Oliveira EL, Chianca Junior DA, Silva ME. 2005. Dietary models for inducing hypercholesterolemia in rats. Braz Arch Biol Technol 48: 203-209. 

  11.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2. Huang CM, Dural NH. 1995. Adsorption of bile acids on cereal type food fibers. J Food Process Eng 18: 243-266. 

  13. Askar A, El-Samahy SK. 1981. Chemical composition of prickly pear fruit. Deutsche Lebensmittel Rundschau 77: 279-281. 

  14. Yoon JA, Hahm SW, Son YS. 2009. Nutrients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pickly pear (Opuntia humifusa) and possible anti-breast cancer effect. Korean J Food & Nutr 22: 485-491. 

  15. Park MK, Lee YJ, Kang ES. 2005. Hepatoprotective effect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extract in rats treated carbon tetrachloride.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22-826. 

  16. Kwon D, Song Y. 2005. Effect of Opuntia humifusa supplementation on endurance exercise performance in rats fed a high-fat diet. Korean J Exerc Nutr 9: 183-188. 

  17. Kim SY. 2003.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compounds of Korean perennial cactus Cheonnyuncho. PhD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Asan, Korea. p 34-58. 

  18. Galati EM, Monforte MT, Tripodo MM, d'Aquino A, Mondello MR. 2001. Antiulcer activity of Opuntia ficus indica (L.) Mill. (Cactaceae): ultrastructural study. J Ethnopharmacol 76: 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