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 성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Drama Viewing in Japanese Viewers -Effects of Historical Recognition with Korea and Japa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5, 2014년, pp.44 - 54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  유세경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초록

본 연구는 한류 확산의 진원지이자 한국 드라마 수출의 주요국인 일본을 대상으로 일본 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과 한국에 대한 태도 형성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일본은 과거 지배-피지배라는 역사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바, 일본 시청자들의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 드라마 주시청자층인 일본 여성 10~60대 250명을 대상으로 현지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긍정적인 한일 역사 인식은 한국 드라마 시청의 높은 몰입행위를 나타냈고, 높은 몰입행위는 전체적인 한국 드라마 평가와 한국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역사 인식이 한국 드라마 수용의 주요 영향 요인임을 밝힌 연구결과는 발전적인 한국 드라마 유통을 위해 일본 시청자의 왜곡 없는 한일 역사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상호 문화외교적 정책방안이 재고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viewing Korean TV drama on the Japanese attitude toward Korea.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how Japanese's recognition about Korea and Japanese history influence the evaluation of Korean TV drama. This study conducts survey on 250 Japanese female viewers. As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일 역사적 관계가 일본에서의 한국 드라마 교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일본에서의 한국 드라마 유통과 문화교류 정책의 효율성을 점검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본 시청자들이 한일 역사 인식에 따라 한국 드라마를 어떻게 시청하고, 이로 인해 형성된 한국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지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이렇듯 한일 양국은 과거 문화적 단절을 딛고 상호 문화교류의 양적 확대가 목격되고 있지만, 여전히 일본내 우익단체들은 한국 문화에 대한 강한 반감을 혐한류로 표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일 역사적 관계가 일본에서의 한국 드라마 교류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일본에서의 한국 드라마 유통과 문화교류 정책의 효율성을 점검해 보고자 한다.
  • 이에 한일 영상물 유통 과정에서 주목할 문화적 요인으로 한일 역사 인식을 주목하게 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일본 시청자들이 한일 역사 인식에 따라 한국 드라마 시청 성과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일본 시청자의 한일 역사 인식이 영상 콘텐츠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의 발전적 성과를 논의하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함의를 지닌다. 하지만 일본 시청자들의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패턴이나 한국에 대한 태도를 다양한 측정변인을 통해 역동적인 관계를 파악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류의 영향을 퍼뜨린 드라마로 무엇이 있는가? ‘한류(韓流, Korean Wave)’는 1997년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 CCTV(China Central Television)를 통해 방영된 이래로, 1998년 베트남에서 <모델>, <의가형제>, <별은 내 가슴에>, 2003년 일본에서 <겨울연가>, 2005년 홍콩과 대만에서 <대장금> 방영 등으로 이어지며 동아시아 전체를 대상으로 확산되어 왔다. 2013년 한국영상물수출입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영상물의 97% 이상이 아시아 시장에 수출되고, 이중 일본은 59.
한국영상물수출입이 조사한 2013년 외국으로 수출되는 국내 영상물 비율은? ‘한류(韓流, Korean Wave)’는 1997년 <사랑이 뭐길래>가 중국 CCTV(China Central Television)를 통해 방영된 이래로, 1998년 베트남에서 <모델>, <의가형제>, <별은 내 가슴에>, 2003년 일본에서 <겨울연가>, 2005년 홍콩과 대만에서 <대장금> 방영 등으로 이어지며 동아시아 전체를 대상으로 확산되어 왔다. 2013년 한국영상물수출입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영상물의 97% 이상이 아시아 시장에 수출되고, 이중 일본은 59.9.4%를 차지해 한국 영상물 유통에서 가장 주목할 국가 중 하나라는 것을 알 수 있다[1].
역사적 지배-피지배 관계인 일본과 한국은 해방 이후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이러한 특수성은 양국 대중문화 교류 역사에서도 잘 나타난다. 한국은 해방 이후 현대 일본문화 수입금지 조치라는 국가정책을 통해 서양문화보다 더 낯선 문화로 일본문화를 바라보았고, 일본 또한 독도문제, 위안부 문제 등과 같은 첨예한 논쟁점들을 통해 한국에 대한 강한 반한 감정을 내포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방송통신위원회, 2013년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2013. 

  2. K. Iwabuchi, "한류가 재일 한국인과 만날 때-초국가적 미디어 교류와 로컬 다문화 정치의 교착", 프로그램/텍스트, 제11호, pp.87-120, 2004. 

  3. 유세경, 김미선, 정지인,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 중국, 일본 수용자의 문화적 정체성에 따른 시청동기, 행위, 평가 분석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진흥회 연구보고서, 2012. 

  4. H. Schiller, Mass Communication and Cultural Dominance, White Plains, NY: International Arts and Science Press, 1976. 

  5. 정윤경, 아시아 수용자 연구,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3. 

  6. A. Steberny, "The global and the local in international communication," Mass Media and Society, pp.93-119, 2000. 

  7. J. Sinclair, Geolinguistic resion as global space: The case of Latin America, in G. Wang, J. Servases, and A. Goonasekera(eds.), The New Communications Landscape: Demystifying media Globalization(pp.19-32),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0. 

  8. J. Straubhaar, "Beyond media imperialism: Asymmetrical interdependence and cultural proximity," Critic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Vol.8, pp.39-59, 1991. 

  9. M. Elasmar, The Impact of International Television: A Paradigm Shift,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3. 

  10. J. Chan and E. Ma, "Asian television: Global trend and local processes," Gazette, Vol.58, No.1, pp.45-60, 1996. 

  11. 윤경원, 나미수, "일본 청소년들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과 문화적 정체성",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1호, pp.7-46, 2005. 

  12. 이수연, "텔레비전 드라마의 즐거움: 남성 시청자와 모래시계", 한국언론학보, 제34호, pp.136-169, 1995. 

  13. M. Rogers and K. Bhowmik, "Homophily-heterophily: Relational concepts for communication research,"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4, pp.523-538, 1970. 

  14. 박웅기, 송진경,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서의 감정적 동일시에 관한 연구: 동질성, 시청동기, 시청만족도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2호, pp.233-275, 2009. 

  15. 김성필, 김종숙, 이민순, "한류 이미지가 한국교육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대학생들의 몰입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460-474, 2013. 

  16. A. Rubin, "Uses of daytime television soap operas by college students," J.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29, pp.241-258, 1985. 

  17. D. Zillmann, Empathy: Affect from bearing witness to the emotions of others, Zillmann, Dolf(Ed),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es Communication(pp.135-167), Englan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1. 

  18. C. Hall, National Images: A Conceptual Assessment, Paper present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Boston, 1996. 

  19. 유승관, "한.일 양국 수용자의 드라마 시청과 국가이미지 형성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방송통신연구, 여름호, pp.193-220, 2009. 

  20. 유재웅, "한국 TV 드라마 시청이 제작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국홍보학연구, 제11권, 제2호, pp.126-158, 2007. 

  21. B. Goodall and G. Ashworth, Marketing in the tourism industry: The promotion of destination regions, London: Routledge, 1990. 

  22. 김훈순, 한은경, 이동후 공편, "텔레비전 드라마의 여성들", 미디어 性과 像, pp.217-339, 나남, 2003. 

  23. S. Alexis and K. Suarchavarat, "American TV and Social Stereotypes Of Americans in Thailand," Journalism Quarterly, Vol.65, No.4, pp.648-654, 1988. 

  24. P. Suzanne and H. Robert, "U.S. Programs on Australian Television: The Cultivation Effect," J. of Communication, Vol.31, No.1, pp.97-105, 1981. 

  25. I. Martin and J. Crella, Commercial Television as an Educational and Political Institution: A Case Study of Its Impact on the Students of Telesecundaria, in R. Atwood and E.G. McAnany(eds.), Communication and Latin America Society: Trends in Critical Research.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86. 

  26. 김주연, 안경모, "중국에서의 한류콘텐츠 선호가 한국상품 구매, 한국방문 및 한글학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447-458, 2012. 

  27. M. Shapiro, and A. Lang, "Making Television Reality: Unconscious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Communication Research, Vol.18, pp.685-705, 1991. 

  28. 히라타 유키에, 한국을 소비하는 일본: 한류, 여성, 드라마, 책세상, 2005. 

  29. 심두보, "국제 커뮤니케이션 현상으로서의 한류와 하이브리디티", 프로그램/텍스트, 제11호, pp.65-85,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