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상품 이용만족을 통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Korean Drama Viewing on Korean National Image, Mediated by Consumption of Korean Products in Chin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6, 2015년, pp.91 - 103  

변상호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  송휘영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  최배석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상품 소비에 따른 만족감과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 TV드라마가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아니면 한국 상품 소비와 같은 다른 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상하이에 거주는 현지인 10대에서 50대 이상 현지인 105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하여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은 한국 상품 이용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은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셋째, 중국인의 한국 상품 이용만족은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은 한국 상품 이용만족을 매개로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현실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how Korean drama viewing of chinese people influence their formation of Korea's national image as well as their satisfaction through consumption of Korean products. The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of Korean drama viewing on Korea's national image were focused. The sur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상품을 소비할 때 만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끝으로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상품 소비를 통해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바로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지, 아니면 한국 상품 소비와 합쳐져 일종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방식으로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을 유도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선 중국내 한류의 한축을 이루는 한국 드라마 시청이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상품을 소비할 때 만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끝으로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상품 소비를 통해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분석하고자 한다.
  • 다만 그의 연구에서는 한류 인식이 한국 상품의 이미지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류와 국가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 2를 통해 한국 TV 드라마의 시청이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 상품 이용만족이 한국의 긍정적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문제 3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또한 중국내 한류의 상징인 한국 TV드라마가 한국 상품 이용만족을 경유하여 한국의 긍정적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문제 4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TV드라마가 같은 한류 콘텐츠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아이면 한국 상품 소비와 같은 다른 요인들과 결합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 무엇보다 한류 콘텐츠 접촉 – 한국 상품 소비 – 한국 상품에 대한 만족이라는 과정이 발생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한국 TV 드라마의 중국내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한류 콘텐츠 중 ‘TV드라마 시청’으로 범위를 좁혀, 이것이 실제적으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 형성에 어떻게 어떤 경로를 통하여 형성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중국내 한류의 한축을 이루는 한국 드라마 시청이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직접적으로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상품을 소비할 때 만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또한 중국내 한류의 상징인 한국 TV드라마가 한국 상품 이용만족을 경유하여 한국의 긍정적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문제 4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한국의 국가이미지에 TV드라마가 같은 한류 콘텐츠가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아이면 한국 상품 소비와 같은 다른 요인들과 결합해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국내 한류 붐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한국 TV드라마가 한국 상품 소비와 한국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 TV드라마가 한국 상품 소비에 따른 만족감, 그리고 한국의 긍정적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본 뒤, 한국 TV드라마가 한국 상품 소비를 통해 한국의 긍정적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과 비교 분석하였다.
  • 연구문제 1은 한국 드라마 시청이 증가할수록 한국 상품 이용만족이 커지느냐에 관한 것이다.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결과([그림 2] 참조), 한국 드라마 시청은 한국 상품 이용만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비표준화 경로계수 = .
  • 연구문제 2는 한국 드라마 시청이 증가할수록 한국 국가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형성되느냐에 관한 것이다.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결과([그림 2] 참조), 한국 드라마 시청은 한국의 긍정적 국가이미지 형성에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비표준화 경로계수 = - .
  • 끝으로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상품 소비를 통해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바로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지, 아니면 한국 상품 소비와 합쳐져 일종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는 방식으로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을 유도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신윤환[13]과 채지영[14]도 이들의 연구에서 한류 콘텐츠에 대한 인기가 중국인 등 외국인으로 하여금 한국에 대한 실체적 경험 욕구를 유발하며, 이것이 상품 소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15].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이 같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중국내 한류의 가장 중요한 축을 이루는 한국 TV드라마에 대한 중국인의 시청빈도가 한국 상품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 1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엇보다 한류 콘텐츠 접촉 – 한국 상품 소비 – 한국 상품에 대한 만족이라는 과정이 발생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한국 TV 드라마의 중국내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한류 콘텐츠 중 ‘TV드라마 시청’으로 범위를 좁혀, 이것이 실제적으로 한국의 국가 이미지 형성에 어떻게 어떤 경로를 통하여 형성되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TV드라마에 대한 선호는 어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가? 그러나 한류가 한국산 상품 판매와 한국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서로 엇갈린 연구결과가 도출되고 있지만 긍정적 효과가 지배적일 것이라는 주장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세경, 고민경의 연구[1]는 한국 TV드라마에 대한 선호가 한국에 대한 이미지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한국무역협회 설문조사(Trade Brief 15호, 2014년 3월 11일)에 따르면 중국인들의 43.
중국인들이 한국 TV드라마를 통해 어떤 한국의 이미지를 떠올리는가? 4%가 한국 이미지 형성에 도움을 받은 콘텐츠로 ‘TV드라마’를 꼽았다[2]. 이는 중국인들이 한국 TV드라마를 통해 ‘급속한 발전’, ‘경이로움’, ‘높은 문화수준’등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갖게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중국이나 일본에 수출되는 한국 TV 드라마가 모두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만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닌 근거는? 한류에 관한 선행연구들[3][5]은 한국 TV 드라마가 한국에 대한 국가 이미지를 높이는 효과는 있으나,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거나 연령대별로 영향이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류는 중국, 일본 등지에 확산되면서 호의적 반응만 나타난 것은 아니며, 한류 확산과 더불어 부작용 또는 반작용이라고 할 수 있는 소위 ‘혐한류’, ‘반한류’ 현상이 동시에 대두된 바 있다.1 따라서 중국이나 일본에 수출되는 한국 TV 드라마가 모두 한국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만을 담고 있는 것도 아니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유세경, 고민경, "한국 TV 드라마의 시청행위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태도 관계 연구 :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제6호, pp.46-76, 2006. 

  2.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Trade Brief, 제15호, 2014년.03.11. http://www.kita.net/newtri2/report/iitreporter_view_kita.jsp?pageNum1&nGubun3&s_con&s_text&sStartDt&sEndDt&sOrder&sClassification&rowCnt20&search_word&s_date1&s_date2&actionName&sNo1110 

  3. 김설화, 중국의 '한류'현상과 그 수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2. 

  4. 이운영, "중국에서의 한류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10권, 제2호, pp.107-136, 2006. 

  5. 장 영, 중국에서 '한류' 현상과 한국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6. Zhou Yu bo, "중국 영상 문화에 끼친 한류의 영향 : 영화와 드라마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 언론학회 연구보고서 및 기타간행물, pp.95-113, 2005. 

  7. 김용준, 중국 상업별 현황과 전망,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0. 

  8. 정형식, "중국시장에서 소비자의 한류지각이 한국 상품 구매 및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 연구, 제17권, 제3호, pp.79-101, 2006. 

  9. 유재웅, "한국 TV 드라마 시청이 제작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중국과 일본 시청자를 대상으로", 홍보학연구, 제11-2호, pp.126-158, 2007. 

  10. 김세도, 서상호, "중국 시청자들의 한류드라마 수용에 관한 주관성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 32집, pp.177-206, 2011. 

  11. 허 진, "중국의 한류 현상과 한국 TV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6권, 제1호, pp.296-529, 2002. 

  12. E. Ma, Culture, politics and television in Hong Kong, Routledge, 1999. 

  13. 신윤환, "동아시아의 한류 현상: 비교분석 평가",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제42권, pp.5-34, 2002. 

  14. 채지영, "체험상품으로서의 대중음악 소비행위에 관한 연구", 소비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15-139, 2003. 

  15. J. L. Singer, Daydreaming: An Introduction to the experimental study of inner experience, Random House Inc, 1966. 

  16. W. J. Bilkey and E. Nes, "Country -of- origin effects on production evaluation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Vol.13, pp.89-99, 1982. 

  17. S. A. Eroglu and K. A. Machleit, "Effects of individual and product specific variables on utilizing country of origin as a product quality cue,"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Vol.6, pp.27-41, 1989. 

  18. M. S. Roth and J. B. Romeo, "Matching product category and country image perceptions: A framework for managing country-of-origin effect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Vol.23, pp.477-498, 1992. 

  19. D. K. Tse and G. J. Gorn, "An Experiment on the salience of country- of-origin in the era of global brands,"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Vol.1, pp.57-76, 1993. 

  20. 황낙건, "중국 내 K-DRAMA 특성이 한류 문화 컨텐츠 만족과 국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논문지, 제8권, 제1호, pp.13-21, 2014. 

  21. 조혜영, 손미정, 최금해, 중국 청소년들의 한류 인식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2. 

  22. 문효진, 박성현, "한류인기 요인과 호감도 및 국가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일본, 미국, 프랑스를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247-280, 2012. 

  23. K. Iwabuchi, Recentering globalization : Popular culture and Japanese transnationalism, Duke University Press, 2002. 

  24. A. Nagatani, "Exoticism and nostalgia: Consuming southeast asian handicrafts in Japan," IIAS Newsletter, Vol.30, p.20, 2003. 

  25. 윤경원, 나미수, "일본 청소년들의 한국 대중문화 수용과 문화적 정체성",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1호, pp.7-46, 2005. 

  26. 정상철, 한국 대중문화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한류(韓流)의 지속화 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정책개발원, 2001. 

  27. 유세경, 이경숙, "동북아시아 3국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문화적 근접성", 한국언론학보, 제 45권, 제3호, pp.230-267, 2001. 

  28. 허 진, 이치한, 한류 현상과 한중 문화교류- 21세기 동아시아의 과제와 전망, 창원대학교 출판부, 2002. 

  29. 양은경, "동아시아의 트렌디 드라마 유통에 대한 문화적 근접성 연구", 방송연구, 여름호, pp.197-220, 2003. 

  30. 염성원, "한국의 국가 이미지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14권, 제3호, pp.87-117, 2003. 

  31. 이준웅, "한류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 중국인의 한국 문화상품 이용이 한국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제47권, 제5호, pp.5-35, 2003. 

  32. 이준웅 , "중국의 한류현상에 대한 '매개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효과 모형 검증 연구: 중국인의 한국, 미국, 일본, 대만 문화상품 이용에 따른 신념, 감정, 태도 형성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3호, pp.277-323, 2006. 

  33. 고정민, "한류 지속과 기업의 활용 방안", CEO Information, 제503권, 삼성경제연구소, 2005. 

  34. 안종석, "다차원 속성의 국가 이미지가 제품평가 및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국제경영연구, 제16권, 제2호, pp.63-90, 2005. 

  35. 한은경, "한류의 소비자 지각상 경제적 파급효과 : 한류 파생 문화산업 및 한국 소비재산업에 대한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3호, pp.325-360, 2005. 

  36. 손병우, 양은경, "중국의 한국 TV 드라마 수용을 통해본 한류", 김수이(편), 한류 와 21세기 문화비전, 청동거울, 2006. 

  37. G. C. Jeon and T. J. Yoon, "Realizing the Korean Wave into an Asiatic Cultural Flow," 한국방송학보(The international edition), Vol.19, pp.66-87, 2005. 

  38. P. Kotler, Principles of marketing, Prentice-Hall, 1980. 

  39. I. A. Kleppe, N. M. Iversen, and I. G. Stensaker, "Country image in marketing strategies : Conceptual issues and an empirical Asian illustration," Journal of Brand Management, Vol.10, pp.61-74, 2002(9). 

  40. 김일철, "국가 이미지 제고를 위한 유관기관 간 공조방안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6권, 제2호, pp.64-95, 2002, 

  41. 박종식, IMF 외환위기 이후 정부의 국가 이미지 개선을 위한 홍보 활동 연구,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42. 서수연, 문화 이미지 강화를 통한 국가홍보 방안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43. 염성원, 오경수, "한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 활동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7권, 제2호, pp.98-142, 2003. 

  44.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pp.411-423, 1988. 

  45. 김주연, 안경모, "중국에서의 한류콘텐츠 선호가 한국 상품 구매, 한국방문 및 한글학습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447-458, 2012. 

  46. 이문행,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한국 드라마의 특성 - 인터넷 게시판에 나타난 시청의견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6호, pp.167-175,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