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실습 중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경험정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Experiences on the Essential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2, 2014년, pp.184 - 191  

최동원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periences on the essential of fundamental nursing skills (EFNS) on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233 students who completed the 2nd grade courses of nursing cur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임상수행능력을 추상적 개념들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대부분으로 실제적인 간호활동 경험, 특히 핵심기본간호술의 임상경험여부와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의 임상경험 정도와 임상수행능력에 핵심 기본간호술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교육과 실습현장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 경험정도를 파악하고 핵심기본간호술 경험정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핵심기본간호술을 실제로 임상에서 수행하는 간호학생은 일부에 불과하고 직접 수행보다는 관찰 경험이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과 핵심기본간호술이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함으로써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의 경험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 경험 정도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 경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현실적으로 기본간호학을 통해 학습한 다양한 간호활동은 물론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항목만으로 구성된 핵심기본간호술 조차도 임상에서 실제 경험해 보기는 여러 이유로 어려운 상황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핵심기본간호술 경험 정도를 파악하고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무엇인가? 간호학은 실제적, 잠재적 문제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다루는 실무중심 학문이고, 간호교육의 일차적 목표는 지식, 기술및 태도를 갖춘 전문직 간호 인력을 양성하는 데 있다(Chan, 2002; Jerlock, Falk, & Severinsson, 2003). 이러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단계인 임상실습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Cho & Kwon, 2007). 간호학 임상실습교육은 이론적 지식을 임상상황에 적용할 기회를 갖게 되므로 간호학생이 대상자들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간호 전문인으로 되는데 필수적인 학습과정이다(Jerlock, Falk, & Severinsson, 2003).
임상수행능력이란 무엇인가? 임상수행능력은 학습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바탕으로 간호실무 상황에서 역할을 적절하고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Barret & Myrick, 1998). 최근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적절히 대처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환자를 간호해야 하는 간호사의 능력이 더욱 요구되면서, 신규간호사나 간호대학 졸업생에게 최소한의 표준화된 임상수행능력을 갖는 것이 더 중요해졌다(Klein & Fowles, 2009).
실습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실제 임상실습 교육은 급박하고 예측할 수 없는 임상환경과 대상자의 질적 간호 요구 증가, 간호사고 위험성 및 현장의 교육인력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실제 간호 수행보다는 관찰 위주로 진행되고 있고, 적절한 실습 기관의 부족과 대학실습교육 여건의 미비로 인해 실습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어려운 실정이다(Cho & Kwon, 2007; Kim, 2003; Midgley, 2006). 특히 정규임상실습을 마친 후에도 필요한 간호행위를 충분히 경험하지 못하여 임상수행능력이 부족한 채 졸업하게 된 간호학생들은 신규간호사로서 활동하는 데에 많은 제한을 느끼게 되고 졸업 후 바로 임상실무에 투입되지 못하고 재교육에 시간과 비용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Cho & Kwon, 2007; Kwon & Seo,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rre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2. Chan, D. S. (2002). Development of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inventory: Us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learning environment studies to assess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hospital as a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1(2), 69-75. 

  3. Chaung, S. K. (201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71-78. 

  4. Cho, H. S. (2005).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2), 222-231. 

  5. Cho, M. H. & Kwon, I. S. (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2), 143-154. 

  6. Choi, M. S.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Dillon, P. (2002). The cognitive, competence and confidence development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over an academic year with clinical experience. Doctoral dissertation, Widener University, Pennsylvania. 

  8.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9. Han, J. Y., & Park, H. S. (2011). Effect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on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3), 365-372. 

  10. Jerlock, M., Falk, K., & Severinsson, E. (2003). Academic nursing education guidelines: Tool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ursing Health Science, 5(3), 219-228. 

  11. Kang, Y. S., Cho, H., Roh, Y. S., Boo, E. H., & Ahn, K. H. (2006). The effects of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2(1), 13-20. 

  12. Kim, M. A., Nam, S. H., & Kim, H. E. (2004). Changes in student nurses' perception between initial and final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1), 21-30. 

  13. Kim, M. W. (2003). Development of objectives of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4. Kim, Y. H. (2002).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and confidence in basic nursing skills after the completion of clinical practice: Focused on basic nursing skills of low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5. Klein, C. J., & Fowles, E. R. (2009). An investigation of nursing competence and the competence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curricular approach: Senior students' self-reported perceptions.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5(2), 109-121. 

  16.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 Standard and riteria for accreditation of baccalaureate degree nursing program.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17. Kown, I. S., & Seo, Y. M. (2012).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1), 25-33. 

  18. Lee, W. H., Kim, C. J., Yoo, J. S., Hur, H. K., Kim, K. S., & Lim, S. M. (1990). Development of a clinical competency measurement tool for student. Yeonsei Nursing, 13, 17-29. 

  19. Midgley, K. (2006). Pre-registration student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learning environment during clinical placements. Nurse Education Today, 26(4), 338-345. 

  2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2). Medical service act: Article 7. Retrieved October 3, 2013, from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Web site: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43005#0000 

  21. Park, J. A., & Kim, B. J. (200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40-850. 

  22. Shin, K. A., & Cho, B. H. (2012).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1), 46-56. 

  23. Shon, Y. H., Kang, H. S., Park, Y. S., Han, H. J., Kwon, S. B., Cho, K. S., Lim, N. Y., Kim, D. O., Kim, J. H., Son, H. M., Lee, E. H., & Lee, Y. J. (2006). Comparison of student nurses graduating from a junior college or a university on observation and performance of nursing roles. Journal of Korean Fundamentals of Nursing, 13(2), 172-181. 

  24. Song, J., & Kim, M. (2013). Study on clinical education for nursing in hospital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2), 251-264. 

  25. Sung, M. H. (2010). Correlations between motivation to achieve,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for diploma and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1), 90-98. 

  26. Yang, J. J., & Park, M. Y. (2004). The relationship of clinical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0(2), 271-27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