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졸업학년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과 수행자신감 조사연구: 실습교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Practicum among Final Yea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2, 2014년, pp.162 - 173  

한애경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조동숙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원종순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and to analyze nursing students' self-confidence according to learning experiences for core nursing skills (CNS). Method: Participants were 502 final year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도권과 충청권 소재 7개 간호교육기관에 재학 중인 502명의 졸업학년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기본간호실습, 시뮬레이션실습, 임상실습의 간호학 3대 실습교과에서 이루어지는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간호학생들의 학습경험과 수행자신감 정도를 파악하고 학습경험에 따른 수행자신감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간호학 실습교육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본간호실습, 시뮬레이션실습, 임상실습 등 3대 간호학 실습교과에서 이루어진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학습경험과 수행자신감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간호학 실습교과에서 이루어진 핵심기본간호술 학습 경험과 수행자신감 정도를 파악하고 학습경험에 따른 수행자신감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간호학 실습교육 개선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간호학 실습교과인 기본간호실습, 시뮬레이션실습, 임상실습에서 이루어진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과 수행자신감을 파악하고 실습교과 특성과 핵심기본간호술 학습경험에 따른 수행자신감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졸업간호사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이 제시한 핵심기본간호술을 중심으로 간호학생이 실습교과인 기본간호실습, 시뮬레이션실습, 임상실습에서 간호술을 어느 정도 학습하였으며 졸업시점에서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이 어떠한지, 간호술 학습경험에 따라 수행자신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간호학 실습교과과정의 구성과 운영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은 어떠한 측면에서 지적되었는가? 간호학은 실무학문이므로 실습교육이 중요함에도 실습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현장 중심으로 운영되지 못해 졸업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이 대상자나 임상현장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음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어 왔다(Byeon et al., 2003-a; Cho & Kwon, 2007; Kim, 2006; Kwon, 2002; Yang, 2006).
한국간호교육평가원이 간호교육인증평가에서 제시하는 핵심기본 간호술 인증평가내용은? 즉 간호학생이 졸업학년까지 필수적으로 성취해야할 가장 핵심적이고 기본이 되는 간호술 20항목을 도출하여 공적인 합의절차를 거쳐 구체적으로 명시하였다. 핵심기본간호술 관련 인증평가기준을 살펴보면, 평가기준 2.2.3.은 간호학 실습교과목의 학습목표는 학습성과와 핵심기본간호술을 반영하고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한 실습내용을 명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평가기준 6.1.2.는 대학은 졸업학년의 핵심기본간호술 성취 수준이 일정수준 이상 유지되도록 관리하여 임상현장에서의 적응과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량을 보장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KABONE, 2012-b).
간호술이란 무엇인가? 간호술은 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임상수행능력 중 가장 기본적인 실무능력으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술기이다(Park & Lee, 2008). Byeon 등(2003-a)은 신규 임상간호사에게는 투약, 영양, 배설 등의 기본적인 간호술 수행능력이 대상자 간호문제 해결의 최우선 요건임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실습교육은 졸업간호사들에게 요구되는 기본적인 간호술 수행능력을 충분히 준비시켜주지 못하고 있어 졸업간호사들이 환자간호 실무 수행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임상간호사들의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oyama, M., Tamura, Y., Ishikawa, Y., Yada, M., & Miyawaki, I. (2013). Confidence-weighted testing: A descriptive study of Japanese nursing students. Nursing and Health Sciences, 15, 504-509. 

  2. Bae, S. H., & Park, J. S. (2013).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 and importance of nursing program outcom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 203-214. 

  3. Byeon, Y. S. (2005).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 169-176. 

  4. Byeon, Y. S., Lim, N. Y., Kang, K. S., Sung, M. S., Won, J. S., Ko, I. S., et al. (2003-a). Clinical nursing competency for new graduate nurses: A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0, 47-56. 

  5. Byeon, Y. S., Lim, N. Y., Kang, K. S., Sung, M. S., Won, J. S., Ko, I. S., et al. (2003-b). Analysis on basic nursing content required for the clinical performance by novic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0, 427-436. 

  6. Cho, M. H., & Kwon, I. S. (2007).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3, 143-154. 

  7. Eom, M. R., Kim, H. S., Kim, E. K., & Seong, K. Y. (2010).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151-160. 

  8. Han, M. H. (2008). Educational effects of OSCE module development activity o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14-21. 

  9. Kang, K. S., & Kong, E. S. (1997). A study on the content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Korea -Focused on nursing professors and clinical educa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7, 83-95. 

  10. Kim, K. H., Chang, S. O., Kang, H. S., Kim, K. S., Kim, J. I., Kim, H. S., et al. (2011). Cont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 506-519. 

  11. Kim, M. W. (2006). Development of objectives in nursing clinical education based on the nursing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389-402. 

  12. Kim, N. C., Lee, H. Y., Kim, B. H., & Shin, K. R. (2005). The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of clinical practicum for adult health nursing at Four-year nursing colleg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 831-843. 

  1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a, September). Core clinical nursing skill evaluation items for Korean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Retrieved May 20, 2013, from http://kabon.or.kr/HyAdmin/upload/goodFile/120130201102332.pdf 

  14.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b).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 (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Retrieved May 20, 2013, from http://kabon.or.kr/kabon02/120120319133351.pdf 

  15. Kwon, I. S.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706-715. 

  16. Kwon, I. S., & Seo, Y. M. (2012).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 25-33. 

  17. Lee, Y. W., & Seo, W. S. (1998). A study on the contents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650-661. 

  18. Lim, K. C. (2011). Directions of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ing practic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246-256. 

  19. Park, S. N., & Lee, S. K. (2008). Factors influencing basic nu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6-13. 

  20. Shin, E. J. (2008).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 380-386. 

  21. Yang, J. J. (2006). Effects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for mechanical ventilator practice on knowledge and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 231-239. 

  22. Yang, J. J.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course for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 548-560. 

  23. Yoo, M. S. (2000).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a funder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7, 60-70. 

  24. Yoo, M. S., Yoo, I. Y., Park, Y. O., & Son, Y. J. (2002).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 327-3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