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Lab실-임상실습 혼합실습교육 연계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효과비교
Comparison of Blended Practicum Combined E-learning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2, 2014년, pp.341 - 349  

최순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소향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최자윤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유성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  윤소영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김명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송미옥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blended practicum with clinical and lab combined e-learning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group on learning outcomes. Method: A total of 63 junior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University in G city from May, 2012 to June, 2012. Ten hours l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임상실습 기간 중 임상에서 실제 실습하기 어려운 임상술기를 10시간의 실습실 실습을 통해 숙련 후 임상실습과 연계하던 혼합형 실습교육 모델을 보완하여 복합적인 임상상황에 대한 온라인 콘텐츠 개별학습과 세미나와 실기 리허설로 구성된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먼저 개별학습군에서 효과가 있었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에 관한 효과를 논의하려고 한다. 기존연구에서는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이 간호학 실습과목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없었으며, 온라인 콘텐츠 협동 학습과 개별학습을 비교한 연구 역시 없었다.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다. 본 연구 대상 대학의 커리큘럼 운영은 이론 수업 후 실습형 블록제로 3월부터 4월까지 9주 이론강의(시험 1주 포함) 후 6주 임상실습을 하는 학사운영체제이다.
  • 본 연구는 실습실실습과 임상실습 혼합교육에 온라인 콘텐츠 협동학습이나 개별학습을 연계시키는 학습이 학습성취(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지식 및 실무수행능력) 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과 Lab 실습의 혼합형 실습교육에 온라인 콘텐츠 이러닝과 오프라인 협동학습을 적용한 군과 온라인 콘텐츠 이러닝 개별학습만 적용한 군 간에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지식 및 실무수행능력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엘스비어 코리아사의 간호술기 온라인 교육 데이터베이스인 Mosby’s Nursing Skills (MNS)의 구조화되고 자가학습이 용이한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하여 한 군은 개별학습을 시행하였고, 또 한군은 매주 2시간씩 8주에 걸쳐 튜터와 함께 협동학습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임상 실습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임상실습과 실습실 실습을 혼합한 실습교육 모델에 온라인 콘테츠 협동학습군과 개별학습군 간의 학습효과를 비교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엘스비어 코리아사의 간호술기 온라인 교육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이러닝과 오프라인의 협동학습을 적용한 후 혼합형 실습교육을 실시한 군과 온라인 콘텐츠를 개별적으로 학습한 후 혼합형 실습교육을 실시한 군 간에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은 개별학습군이 높았고, 실무수행능력에서는 협동학습군에서 높았다.
  • 셋째, 온라인콘텐츠 협동학습의 단기 학습효과를 측정하지 않고 6주 후 장기 학습효과를 측정하여 장기 학습효과가 없었을 뿐 단기 효과는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본 연구에서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협동학습이나 개별 학습 후 바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해 단기 학습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점은 있으나, 본 연구의 목적이 온라인 콘텐츠 활용 협동학습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가 아니라 최종적으로 실습교육 성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단기 효과를 측정하지 않았다. 그러나 추후연구에서는 단기효과와 장기 효과를 각각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란 무엇인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주도하는데 필요한 인적 특성 및 능력, 학습에 대한 태도 등 능력을 지칭하는 것을 의미하며(Guglinelmino, 1997), 본 연구에 서는 Guglinelmino (1997)의 58문항으로 구성된 자기주도 준비도 검사도구를 바탕으로 Yu (1997)가 번안해 수정·보완한 32문항의 자기주도적 학습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으로 하여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총점을 산출하였다.
협동학습법이란 무엇인가? 따라서 Lab 실습전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한 협동학습 혹은 개별학습을 도입 하여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의 고리 역할의 학습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협동학습법은 학습능력이 각기 다른 학생들이 동일한 학습목표를 위해 소그룹 안에서 함께 활동하는 수업방식이다(Slavin, 1987). 협동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상호작용을 하면서 학업성취도가 향상되고(Kim, 2009; Kim & Kwon, 2011; Roseth, Johnson, & Johnson, 2008), 사회적 기술이 증진 되면서 협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며(Jeon, 2007; Johnson, & Johnson, 2002),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향상된다 (Lee, 2012).
Mosby’s Nursing Skills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교수들은 4가지 간호수기를 학습하는데 온라인 콘텐츠인 MNS가 효과적이라는데 모두 동의하였으며, 선정된 4가지 간호수기 학습과 관련된 제반사 항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MNS는 구체적 간호 수기에 대한 학습 요약, 체크리스트, 이미지 및 애니메이션, 비디오학습, 평가, 심화학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ck, C. Y. (2008).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on the critical care nurses’ competence of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1(1), 59-71. 

  2. Baghcheghi, N., Koohestani, H. R., & Rezaei, K. (2011). A comparis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in theory classes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 with patients at clinical settings. Nurse Education Today, 31(8), 877-882. 

  3. Ballard, P., & Trowbridge, C. (2004). Critical care clinical experience for novice students: Reinforcing basic nursing skills. Nurse Educator, 29(3), 103-106. 

  4. Choi, S. H., Hong, M. S., So, H. S., Choi, J. Y., Yun, S. Y., & Chung, H. I. (2010). Effect of blended practicum on nursing students' skills and satisfaction.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15(1), 73-81. 

  5. Doucette, E., Brandys, D., Canapi, B. K., Davis, A., Dinardo, J., & Imamedjian, I. (2011). The intensive care unit as an untapped Learning resource: A student perspective. Dynamics, 22(1), 19-23. 

  6. Facione, N. C., Facione, P. A., & Sanchez, C. A. (199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ement: 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8), 345-350. 

  7. Guglielmino, L. M. (197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Georgia. 

  8. Hoke, M. M., & Robbins, L. K. (2005). The impact of active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success. Journal of Holistic Nursing, 23(3), 348-355. 

  9. Hsu, L. L., & Hsieh, S. I. (2011). Factors associated with learning outcome of BSN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Contemporary Nurse, 38(1-2), 24-34.. 

  10. Hwang, S. Y., Kang, H. Y., Choi, J. Y., & So H. S. (2012). Effect of a web-enhanced clinical practicum on learning outcomes of adult nursing practicum in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8(2), 36-41. 

  11. Jang, K. S., Kim, N. Y., Ryu, S. A., Kim, Y. M., & Chung, K. H. (2007).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on problem-solving proce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tacogni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2), 191-198. 

  12. Jeon, Y. Y. (2007). Cooperative Learning: A Review and Prospect of Previous Overseas Research During the Past 15 Years. The Journal of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25(2), 125-151. 

  13. Johnson, D. W., & Johnson, R. T. (2002). Learning together and alone: Overview and meta­analysis.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 22(1), 95-105. 

  14. Kim, E. Y. (2009).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wome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7(2), 1-24. 

  15. Kim, K. S., Kim J. A., & Ahn, J. W. (2013).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self-directed critical care nursing e-learning program.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9(1), 51-60. 

  16. Kim, S. W., & Kwon, S. Y. (2011). Effects of cooperative Blended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19(2), 249-252. 

  17. Kim, Y. H., Kang, S. Y. Kim, M. W., Jang, K. S., & Choi, J. Y. (2008). Usefulness of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for graduation certific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3), 344-351. 

  18. Kwon I. S. (2002). An analysis of research on clinical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2(5), 706-715. 

  19. Kwon, I. S., Lee, G. E., Kim, G. D., Kim, Y. H., Park, K. M., Park, H. S., et al. (2006).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6), 950-958. 

  20. Larue, C. (2008). Group learning strategies for nursing students: Reflections on the tutor rol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 1-17. 

  21. Lee, H. J. (2012). The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model on self-directed learning in higher English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8(1), 1-24. 

  22. Lu, D. F., Lin, Z. C., & Li, Y. J. (2009). Effects of a web-based course on nursing skills and knowledge learn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8(2), 70-77. 

  23. McGaughey, J. (2009). Acute care teaching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Nursing in Critical Care. 14(1), 11-16. 

  24. Roseth, C. J., Johnson, D. W., & Johnson, R. T. (2008). Promoting early adolescents'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s: The effects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goal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134(2), 223-246. 

  25. Song, Y. S. (2012).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71-80. 

  26. Yu, K. O. (1997). A study on the self-direction of adult learners and its demographic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7. Slavin, R. E. (1987). Cooperative learning: Where behavioral and humanistic approaches to classroom motivation mee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8(1), 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