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과정평가(LCA)를 이용한 친환경 인증 건축물과 일반 건축물의 환경영향 비교 사례 연구
Comparison of Environmental Impacts of Green and Traditional Buildings using Life Cycle Assessmen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3, 2014년, pp.58 - 65  

홍태훈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정광복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지창윤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행중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G-SEED)에 따른 환경영향 저감 효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G-SEED 인증을 받은 초등학교 건축물과 인증을 받지 않은 일반 초등학교 건축물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 방법론을 이용하여 4가지 환경영향범주 (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산성화, 부영양화)에 따른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는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 운영단계를 포함하였으며, 운영기간은 40년으로 설정하였다. 두 건축물의 단위연면적당 환경영향을 비교한 결과, 일반 초등학교 건축물에 비해 친환경 인증 초등학교 건축물의 환경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친환경 인증 초등학교 건축물의 지구온난화지수는 3.751 $t-CO_2eq./m^2$ 로 산출된 반면, 일반 초등학교 건축물의 지구온난화지수는 3.282 $t-CO_2eq./m^2$ 로 산출되어, 약 12.5% 크게 나타났다. 이는 G-SEED 인증이 4가지 측면에서의 환경영향의 저감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축물로부터 발생하는 환경영향의 저감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G-SEED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impact reduction of green buildings that are certified by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To ensure this end, this study assessed and compared the environmental impacts(global warning, ozone layer depletion, acidificat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CA를 활용하여, 친환경 인증 건축물과 일반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을 평가·비교함으로써, 친환경 인증 건축물의 환경적 가치를 검토하고자 한다.
  • 예를 들어, CML 2001에서는 자원고갈(Abiotic depletion),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오존층파괴(Ozone layer depletion), 산성화(Acidification), 부 영양화(Eutrophication), 광화학산화(Photochemical oxidation), 수계생태독성(Freshwater aquatic ecotoxicity), 해양생태독성(Marine aquatic ecotoxicity), 인체독성(Human toxicity), 토양생태독성(Terrestrial ecotoxicity) 등을 환경영향 범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4가지 영향범주(지구온난화, 오존층파괴, 산성화, 부영양화)에 대한 환경영향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건축물의 규모에 따라 환경영향의 총량은 달라지기 때문에, 기능단위는 단위 연면적당 환경영향으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인증 건축물과 일반 건축물의 환경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인증 건축물과 일반 건축물의 환경 영향을 평가·비교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인증 건축물에 대한 환경영향 저감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LCA 방법론을 이용하여 친환경 인증 초등학교 건축물과 일반 초등학교 건축물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 LEED와 DGNB는 친환경 인증 건축물의 환경부하 저감 측면을 보여주기 위해,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LCA)를 활용하여 건축물의 환경부하 평가결과를 평가항목에 포함하고 있다(Trusty 2006). 이를 통해, 친환경 건축물을 활성화하고, 궁극적으로 국가 전체의 환경부하 저감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그러나 G-SEED는 계획적인 부문(e.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LCA 방법론을 활용하여 G-SEED에 의해 인증된 친환경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일반 건축물)의 환경영향을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비교함으로써, G-SEED에 의해 인증된 친환경 건축물의 환경영향 저감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란 무엇인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건설산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들 중의 하나로서, 미국의 LEED (Leadership in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영국의 BREEAM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s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독일의 DGNB (Deutsche Gesellschaft für Nachhaltiges Bauen)는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이다. 대한민국에서도 2002년 1월부터 녹색건축인증제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이하 G-SEED)가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하는 정책의 목표는? 1997년 교토의정서의 발표 이후, 기후변화는 전지구적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 역시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국가 비전을 제시하고, 202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BAU(Business As Usual) 대비 30% 수준까지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많은 연구자 들은 온실가스의 저감을 위해 노력해 왔다 (Baek et al. 2011, Lee and Yang 2009, Hong et al.
대한민국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무엇인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건설산업으로부터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저감하기 위한 노력들 중의 하나로서, 미국의 LEED (Leadership in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영국의 BREEAM (Building Research Establishment's Environmental Assessment Method), 독일의 DGNB (Deutsche Gesellschaft für Nachhaltiges Bauen)는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이다. 대한민국에서도 2002년 1월부터 녹색건축인증제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이하 G-SEED)가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ek, C., Tae, S., Roh, S., Lee, J., and Shin, S. (2011). "A Study on the Requisite Elements of $LCCO_2$ Evaluation System at Planning Stage of Building,"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2(3), pp. 31-41. 

  2. Bare, J.C., Norris G.A., Pennington D.W., and Mckone T. (2003). "TRACI: The Tool for the Reduction and Assessment of Chemical and Other Environmental Impacts." J. Ind. Ecol., 6(3), pp. 49-78. 

  3.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CAK). (2011). General Information for Construction.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Seoul, South Korea. 

  4.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2005). Spatial differentiation in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 The EDIP 2003 methodology. EPA, Danish Ministry of the Environment. p. 43. 

  5. Guinee, J.B., Gorree, M., Heijung, R., Huppoes, G., Kleijn, R., Koning, A., Oers, L., Wegener Sleeswijk, A., Suh, S., Udo de Haes, H.A., Bruijn, H. Duin R., Huijbregts, M.A.J., (2001). Life cycle assessment: An operational guide to the ISO standards. final report part 2A. Ministry of Housing, Spatial Planning and the Environment(VROM) and Centre of Environmental Science-Leiden University (CML). pp. 65-66. 

  6. Hauschild, M. and Wenzel H. (1998). Environmental assessment of products: scientific background volume2. 1st ed, Champman & Hall, London. 

  7. Heijungs, R., Guinee, J., Huppes G., Lankreijer, R.M., Udo de Haes H.A., Wegener Sleeswijk A., Ansems A.M.M., Eggle, P.G., Duin R., Goede, H.P. (1992). Environmental Life Cycle Assessment of products. Guide and Backgrounds. CML, Leiden University, Leiden. 

  8. Hong, T., Ji, C., and Jang, M. (2012a). "An analysis on $CO_2$ emission of structural steel materials by strength using Input-Output LCA."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3(4), pp. 131-139. 

  9. Hong T, Ji C, Jang M, Park H. (2012b). "Integrated Model for Assessing the Cost and CO2 Emission (IMACC) for Sustainable Structural Design in Ready-Mix Concrete." J. Environ. Manage., 103. pp. 1-8. 

  10. Hong, T., Ji, C., and Jeong, K. (2012c).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Buildings based on Life Cycle Assessment (LCA) Methodology."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3(5), pp. 85-94. 

  11. Hong T., Koo C., and Park S. (2012d). "A decision support model for improving a multi-family housing complex based on CO2 emission from gas energy consumption." Build. Environ., 52(6), pp. 142-151. 

  12. Hong T., Kim H., and Kwak T. (2012e). "Energy Saving Techniques for Reducing CO2 Emission in Elementary Schools." J. Manage. Eng., 28(1), pp. 1-12. 

  13. Hong, T., Ji, C., Jang, M., Park, H. (2013). "Assessment Model for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scheduled for publication in J. Manage. Eng. 

  14. IPCC Working Group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ISO 14040 (2006). Environmental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Principles and Framework.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6. Kim, Y,D., Cha, H.S., Kim, K.R., and Shin, D.W. (2011). "Evaluation Method of Green Construction Technologies Using Integrated LCC and LCA Analysi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2(3), pp. 91-100. 

  17.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04). The Environmental Load Unit Composition and Program Development for LCA of Building - The Construction of Method with LCA for Estimating Environmental Building.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South Korea. 

  18. Lee, K.H., Kim, N.G., and Rhee, E.K. (2003).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Green Remodeling Considering LCA and LCC."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23(1), pp. 57-67. 

  19. Lee, K.H. and Yang, J.H. (2009). "A Study on the Functional Unit Estima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Construction Materi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6), pp. 43-50. 

  20.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MEST), (2010).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outh Korea. 

  21. Pennington DW, Potting J, Finnveden G, Lindeijer E, Jolliet O, Rydberg T (2004). "Life cycle assessment Part 2: Current impact assessment practice." Environment International, 30(5), pp. 721-739. 

  22. Tae S., Shin S., Woo J., Roh S. (2011). "The development of apartment house life cycle CO2 simple assessment system using standard apartment houses of South Korea." Renew. Sust. Energ. Rev., 15(3), pp. 1454-1467. 

  23. Trusty W. (2006). Integrating LCA into LEED - Working group A Interim Report #1. US Green Building Council, p. 11. 

  24. Wang M.Q. (1999). GREET 1.5: Transportation fuel-Cycle model, volume 2: appendixes of data and results.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Energy Systems Division, Argonne National Laboratory, Argonne, Illinois. 

  25.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WMO) (2006). Scientific Assessment of Ozone Depletion:2006, Chapter 8 in: Daniel, J.S., Velders, G.J.M., and Coauthors, Halocarbon Scenarios, Ozone Depletion Potentials, and Global Warming Potentials, WMO Genev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