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에서는 LCA 모델을 이용하여 8개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 운영, 해체 폐기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생애주기에서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LCA 기반의 평가모델을 정의하고, 모델을 이용하여 사례 건축물을 평가하였다. 40년의 운영기간을 가정하여 평가한 결과, 내재에너지(즉,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단계 에너지사용량의 합), 운영에너지, 해체 폐기에너지는 평균적으로 2,279, 11,182, 228 Mcal/m2로 산출되었다. 각 단계별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04, 2,708, 60 kg-CO2/m2로 산출되었다. 평가결과는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17%가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단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내재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게다가, 운영에너지는 지역에 따라 확연하게 구분되는 반면, 내재에너지는 지역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영단계의 에너지 사용량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구분된 단열 기준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total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an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Hybrid LCA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시된 Hybrid LCA모델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CA 모델을 활용하여 8개 초등학교 건축물에 대한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분석하고자 한다.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접적인 부분과 간접적인 부분을 모두 포함하여, 건축물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한다.
본 연구 역시 자재생산부터 해체·폐기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건축물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내재에너지(Embodied energy)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Embodied CO2 emission) (즉,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 단계에서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운영에너지(Operational energy)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Operational CO2 emission), 해체·폐기 에너지(Disposal energy)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Disposal CO2 emission)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LCA 모델을 이용하여, 8개 지역(서울, 광주, 대구, 부산,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에 위치한 8개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초등학교 건축물을 대상으로, 생애주기에서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분석하고자 한다.
2015).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먼저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Hybrid LCA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제시된 Hybrid LCA모델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초등학교 건축물을 대상으로, 생애주기에서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사례분석을 통하여 내재에너지 및 내재된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중요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건축물 | 건축물은 어떤 주체인가? |
생애주기(Life cycle) 기간 동안 많은 양의 자원과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표적인 주체
건축물은 생애주기(Life cycle) 기간 동안 많은 양의 자원과 에너지를 소비하는 대표적인 주체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건물부문의 에너지소비량은 국가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약 22%를 차지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가 전체 배출량의 약 25. |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내재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 본 연구에서 판단한 이유는? |
본 연구에서는 LCA 모델을 이용하여 8개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 운영, 해체 폐기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생애주기에서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LCA 기반의 평가모델을 정의하고, 모델을 이용하여 사례 건축물을 평가하였다. 40년의 운영기간을 가정하여 평가한 결과, 내재에너지(즉,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단계 에너지사용량의 합), 운영에너지, 해체 폐기에너지는 평균적으로 2,279, 11,182, 228 Mcal/m2로 산출되었다. 각 단계별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04, 2,708, 60 kg-CO2/m2로 산출되었다. 평가결과는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17%가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단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LCA 모델을 이용하여 8개 초등학교 건축물의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 운영, 해체 폐기단계를 포함하는 건축물 생애주기에서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평가할 수 있는 LCA 기반의 평가모델을 정의하고, 모델을 이용하여 사례 건축물을 평가하였다. 40년의 운영기간을 가정하여 평가한 결과, 내재에너지(즉,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단계 에너지사용량의 합), 운영에너지, 해체 폐기에너지는 평균적으로 2,279, 11,182, 228 Mcal/m2로 산출되었다. 각 단계별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604, 2,708, 60 kg-CO2/m2로 산출되었다. 평가결과는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17%가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단계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따라서 건축물의 에너지사용량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내재에너지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건축물의 운영단계 | 대부분의 기존 정책 및 연구들은 건축물의 운영단계에 발생하는 에너지사용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집중한 이유는? |
건축물의 운영단계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는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
건축물의 운영단계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는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존 정책 및 연구들은 건축물의 운영단계에 발생하는 에너지사용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에 집중하였다. 하지만, 자재생산, 자재운송, 시공 및 해체·폐기단계에서의 에너지사용량 역시 생애주기 에너지사용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Ramesh et al.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